진봉위(鎭封衛)
주요 정보 | |
---|---|
대표표제 | 진봉위 |
한글표제 | 진봉위 |
한자표제 | 鎭封衛 |
관련어 | 토관(土官), 경성(鏡城), 종성(鍾城) |
분야 | 정치/군사·국방/편제 |
유형 | 집단·기구 |
지역 | 대한민국 |
시대 | 조선 |
왕대 | 세종~? |
집필자 | 윤훈표 |
조선왕조실록사전 연계 | |
진봉위(鎭封衛) | |
조선왕조실록 기사 연계 | |
『세종실록』 18년 윤6월 2일 |
조선시대 영안도(永安道) 경성도호부(鏡城都護府)에 설치된 토관서반(土官西班)의 위호(衛號).
내용
경성에 토관이 처음으로 설치된 것은 1436년(세종 18)이었는데, 그 당시 서반의 위호를 진봉위로 정하였다. 그리고 정5품 건충대위(建忠隊尉) 진봉위 중령사직(中領司直) 1명, 종5품 여충대위(礪忠隊尉) 좌령사직(左領司直) 1명, 우령사직(右領司直) 1명, 정6품 건신대위(建信隊尉)중령부사직(中領副司直) 1명, 종6품 여신대위(礪信隊尉) 좌령부사직(左領副司直) 1명, 우령부사직(右領副司直) 1명, 정7품 돈의도위(敦義都尉) 중령사정(中領司正) 1명, 종7품 수의도위(守義都尉) 중령사정(中領司正) 2명, 좌령사정(左領司正) 2명, 우령사정(右領司正) 2명, 정8품 분용도위(奮勇徒尉)중령부사정(中領副司正) 1명, 종8품에 효용도위(效勇徒尉) 중령부사정(中領副司正) 2명, 좌령부사정(左領副司正) 2명, 우령부사정(右領副司正) 2명, 정9품 중령대장(中領隊長) 4명, 좌령대장(左領隊長) 4명, 우령대장(右領隊長) 4명, 종9품 중령대부(中領隊副) 6명, 좌령대부(左領隊副) 6명, 우령대부(右領隊副) 6명을 두었다. 그 뒤 경성의 도절제사영(都節制使營)을 종성(鍾城)으로 옮기면서 토관도 함께 이설(移設)하였다. 이로 인해 주민들의 불만이 높아지자 마침내 1451년(문종 1)에 다시 설치하였다. 이후 정5품 여직(勵直)·종5품 부여직(副勵直) 각각 1명, 정6품 여과(勵果)·종6품 부여과(副勵果)·정7품 여정(勵正)·종7품 부여정(副勵正) 각각 2명, 정8품 여맹(勵猛)·종8품 부여맹(副勵猛) 각각 3명, 정9품 여용(勵勇) 4명, 종9품 부여용(副勵勇) 4명으로 정하였다.
용례
西班 正五品建忠 隊尉鎭封衛中領司直一 從五品礪忠隊尉左領司直一, 右領司直一 正六品建信隊尉中領副司直一(『세종실록』 18년 윤6월 2일)
참고문헌
- 『경국대전(經國大典)』
-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
- 李載龒, 『朝鮮初期社會構造硏究』, 一潮閣, 1984.
- 李章熙, 「朝鮮初期 土官武職의 性格」, 『韓國史論』7, 國史編纂委員會, 1981.
- 吉田光男, 「15世紀朝鮮の土官制 - 李朝初期地方支配體制の一斷面-」, 『朝鮮史硏究會論文集』18, 1981.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