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곡역(幽谷驛)
주요 정보 | |
---|---|
대표표제 | 유곡역 |
한글표제 | 유곡역 |
한자표제 | 幽谷驛 |
상위어 | 유곡도(幽谷道) |
관련어 | 문경현(聞慶縣), 역도(驛道), 속역(屬驛), 찰방(察訪), 장수도(長水道長水道) |
분야 | 경제/교통/육운 |
유형 | 집단·기구 |
집필자 | 조성운 |
조선왕조실록사전 연계 | |
유곡역(幽谷驛) |
조선시대 경상도 지역의 역도 중 하나인 유곡도에 속한 역.
개설
고려시대 성종대에 전국의 525개 역을 22개 역도(驛道)로 편성하는 과정에서 유곡역(幽谷驛)은 상주도(尙州道)에 소속되었다. 이후 조선시대 들어와서는 세조 연간에 역제를 41역도-543속역 체제로 개편하면서 유곡도(幽谷道)의 속역이 되었다. 경상도 문경에 위치하였으며, 찰방(察訪)이 파견되어 역무를 관장하였다.
설립 경위 및 목적
『고려사(高麗史)』 참역 조에 따르면, 유곡역은 고려시대 상주도에 소속된 25개의 속역 가운데 하나였다. 설치 시기는 정확히 알 수 없으나, 고려의 역제가 22역도-525속역 체제로 정비된 995년(고려 성종 14)에서 1067년(고려 문종 21) 사이에 설치된 것으로 보인다. 조선시대에 들어와서는 1462년(세조 8)에 요성역(聊城驛)·덕통역(德通驛)·지보역(知保驛)·수산역(守山驛) 등 17개 역과 더불어 유곡도에 소속되었다.
조직 및 역할
『유곡도중기책(幽谷道重記冊)』에 따르면, 유곡역은 6방 체제 아래 이방(吏房)·호장(戶長)·호방(戶房)·예방(禮房)·병방(兵房)·공방(工房) 등으로 나누어 업무를 분담하고 있었다. 유곡역의 역민 편성과 그 추이를 정리하면 다음의 <표 1>과 같다.
『영남역지(嶺南驛誌)』에 따르면, 유곡역에는 동헌(東軒) 6칸, 내동헌(內東軒) 4칸, 천교정(遷喬亭) 6칸, 전명청(傳命廳) 8칸, 내삼문(內三門) 6칸, 문루(門樓) 6칸, 사환고(社還庫) 4칸, 진휼창(賑恤倉) 20칸, 수직간(守直間) 6칸, 작청(作廳) 10칸, 형리청(刑吏廳) 6칸, 통인청(通引廳) 4칸, 관노청(官奴廳) 8칸, 사령청(使令廳) 6칸, 마단(馬壇) 5칸, 포청(砲廳) 6칸 등이 있었다.
변천
1401년(태종 1)에 개편되기 시작한 조선시대의 역제는 세종과 세조대를 거쳐 완성되었다. 세종대에는 4군 6진의 설치를 계기로 북방 개척에 주력하였고, 그에 따라 역참의 신설 지역도 확대되었다. 이후 세조대에는 1457년(세조 3), 1460년(세조 6), 1462년(세조 8) 세 차례에 걸쳐 개편을 단행하였다. 이는 역제 개편 과정에서 여러 도와 역의 역승(驛丞)을 없애고 찰방으로 하여금 여러 도를 아울러 관리하게 하면서 발생한 각종 폐단을 시정하기 위한 것이었다. 그 결과 경상좌도에는 황산도(黃山道)·성현도(省峴道)·안기도(安奇道)·송라도(松羅道)·장수도(長水道)가, 경상우도에는 유곡도(幽谷道)를 비롯하여 자여도(自如道)·소촌도(召村道)·사근도(沙斤道)·김천도(金泉道)가 설치되었다.
유곡역은 세조 연간인 1460년에 유곡도가 장수도에 통합되면서 장수도 관할이 되었으나, 1462년에 유곡도가 복설되면서 다시 유곡도에 속하게 되었다. 이후 조선후기까지 존속하다가, 1896년(고종 33) 1월 18일에 대한제국 칙령 제9호 ‘각 역 찰방 및 역속 폐지에 관한 건’에 따라 폐지되었다.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에 따르면, 유곡역은 문경현 남쪽 40리 지점에 위치하였다. 일제강점기에 조선총독부에서 조사한 바에 따르면, 유곡역은 문경도호부의 서쪽 113리 거리에 있었다고 한다. 오늘날의 위치는 경상북도 문경시 서남면 유곡리이다.
참고문헌
-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 『유곡도중기책(幽谷道重記冊)』
- 『영남역지(嶺南驛誌)』
- 조병로, 『韓國近世 驛制史硏究』, 국학자료원, 2005.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