욕수(蓐收)
주요 정보 | |
---|---|
대표표제 | 욕수 |
한글표제 | 욕수 |
한자표제 | 蓐收 |
동의어 | 금정(金正), 욕수씨(蓐收氏) |
관련어 | 구망(句芒), 우사(雩祀), 축융(祝融), 현명(玄冥), 후직(后稷), 후토(后土) |
분야 | 왕실/왕실의례/예기 |
유형 | 고사 |
지역 | 대한민국 |
시대 | 조선 |
집필자 | 박봉주 |
조선왕조실록사전 연계 | |
욕수(蓐收) |
오행(五行) 중 금(金)을 다스리고, 가을과 서쪽을 주관하는 신령.
개설
욕수는 오행 중 금을 관리하는 신령이기 때문에 ‘금정(金正)’이라고도 하는데, 금정의 ‘정(正)’은 관장(官長)을 의미하였다. 조선시대에 국가 제례로 편입되어 중사(中祀)로서 강우를 기원하면서 올리는 제례인 우사(雩祀)의 여섯 신령, 즉 구망(句芒)·축융(祝融)·욕수(蓐收)·현명(玄冥)·후토(后土)·후직(后稷) 가운데 하나가 되었다.
내용
욕수의 연원에 대해서는 몇 가지 설이 전해지는데, 그중 하나는 본래 백제(白帝) 소호씨(少皥氏)의 네 아들, 중(重)·해(該)·수(脩)·희(熙) 가운데 해로서, 왼쪽 귀에 뱀이 매달려 있고 두 마리의 용을 타고 다니는 신묘한 인물이었다는 것이다. 그는 금과 가을을 다스리는 상제 겸 부친인 소호씨를 보좌하여 공덕을 쌓았고, 그 공로를 인정받아 가을과 금의 신령으로 승격되고 제향 대상이 되었다고 한다. 소호씨는 오제(五帝)의 첫 번째 군주인 황제(黃帝)의 아들로서 동이족(東夷族)의 시조라고도 전해진다.
다른 설에 의하면 오제의 세 번째 군주인 제곡(帝嚳)을 보좌하는 오행관(五行官)의 하나로서 금과 가을·서쪽을 다스렸고, 그로 인해 금정으로 칭해지게 되었다고 한다. 제곡을 보좌한 오행관은 욕수 외에도, 목(木)과 봄·동쪽을 다스리는 관리인 목정(木正) 구망, 화(火)와 여름·남쪽을 다스리는 관리인 화정(火正) 축융, 수(水)와 겨울·북쪽을 다스리는 관리인 수정(水正) 현명, 토(土)와 중앙을 다스리는 관리인 토정(土正) 후토 등이었다.
조선초기에 국가 제례 체계를 대대적으로 정비하는 과정에서, 이들 오정(五正)은 오곡(五穀)의 신인 후직과 함께 강우를 기원하며 올리는 우사 제례의 봉행 대상이 되었다.
참고문헌
- 『국조오례서례(國朝五禮序例)』
- 『예기(禮記)』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