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경원(昭慶園)

sillok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조선 인조의 맏아들인 소현세자의 묘.

개설

소현세자(昭顯世子)는 인조와 인열왕후(仁烈王后) 한씨(韓氏) 사이에서 태어난 맏아들이며, 효종에게는 형이 된다. 1625년(인조 3)에 세자로 책봉되었으며, 병자호란 직후인 1637년(인조 15)부터 8년 동안 심양에 볼모로 억류되어 있었다. 1645년(인조 23) 귀국하였으나, 두 달 만에 갑자기 세상을 떠났다. 세자의 장지는 인종과 인성왕후의 능인 효릉(孝陵) 오른쪽에 을좌신향(乙坐辛向)으로 정했으며(『인조실록』 23년 6월 10일), 묘호는 ‘소현’이라 하였다. 소현묘(昭顯墓)는 1870년(고종 7)에 소현원(昭顯園)으로 격상되었고, 곧이어 소경원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조성 경위

1645년 4월 26일 세자가 훙서하자, 장례를 치르기 위해 빈궁도감(殯宮都監), 예장도감(禮葬都監), 혼궁도감(魂宮都監)을 설치하였다(『인조실록』 23년 4월 26일). 묘의 조성을 담당한 기구는 묘소도감(墓所都監)이었으며, 묘소의 제도는 명종의 아들 순회세자(順懷世子)의 묘인 순회묘의 예에 따랐다(『인조실록』 23년 5월 3일).

조성 상황

묘소를 조성하는 총책임자인 도제조(都提調)에는 낙흥부원군(洛興府院君)김자점(金自點)이 임명되었다. 묘의 상설(象設)은 곡장을 삼면에 둘렀으며, 혼유석 1개, 장명등 1개, 문인석 1쌍을 비롯해 마석(馬石), 양석(羊石), 호석(虎石)을 각각 2개씩 배설하였다.

변천

1870년(고종 7)에는 세자와 세손의 무덤을 ‘원(園)’으로 높이도록 함에 따라 소현묘는 소현원이 되었다. 그리고 곧이어 원으로 승격시킨 묘의 이름을 결정하기 위한 빈청 회의를 거쳐 소경원으로 명칭이 바뀌었다(『고종실록』 7년 12월 10일).

관련 사항

소현묘를 조성할 때, 세자의 장례에 대해 상고할 만한 의궤가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으로 소실되어 『조선왕조실록』과 이전의 사례를 참고하였다. 그중 가장 가까운 시기에 있은 순회세자의 장례에 준하여 대부분의 절차와 묘소의 상설이 이루어졌다. 순회세자는 명종의 장자로, 1563년(명종 18)에 13세의 나이로 요절하여 서오릉 가운데 하나인 경릉(敬陵) 경내에 안장되었다. 순회묘(順懷墓) 역시 소현묘와 마찬가지로 1870년에 원으로 승격되었다가, 곧이어 순창원(順昌園)으로 개칭되었다. 한편 순회세자의 장례는 세조의 장자로 나중에 덕종으로 추존된 의경세자(懿敬世子)의 예에 따랐다(『명종실록』 18년 10월 23일).

참고문헌

  • 『춘관통고(春官通考)』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