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대도감(山臺都監)

sillok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대규모 나례를 설행하기 위해 설치했던 임시 기관.

개설

산대도감(山臺都監)은 조선시대에 대규모 나례를 행할 때 인력 동원, 물자 동원, 설치물 제작 등의 일을 전체적으로 관장했던 임시 기구이다. 나례는 음력 섣달 그믐날에 민가와 궁중에서 묵은해의 잡귀를 몰아내기 위하여 벌이던 의식이었다. 또한 나례는 왕의 행차나 사신을 접대할 때도 행해졌다. 이런 나례 의식을 관장하는 기구로 나례도감, 나례청이 널리 쓰였음에도 산대도감이라는 명칭이 따로 존재하는 이유는 대규모 나례에서 산대(山臺)라는 무대 장치가 그만큼 큰 비중을 차지했기 때문이다. 산대도감에서는 산대를 만들기 위해 재료를 조달하는 일, 장인(匠人)을 동원하여 산대를 제작하는 일 등을 관리하였다.

내용 및 특징

산대도감의 업무는 의금부와 군기시를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이들은 왕이나 사신 행차 등이 지나가는 길 양쪽에서 벌어지는 나례를 한쪽씩 맡아서 관장하였다. 산대를 만들고 잡상(雜像)을 진열하며 잡희(雜戱)를 공연할 물력과 인력 동원에 힘썼다.

산대도감에서 장인(匠人)들을 소집하여 만든 산대의 종류로는 한 장소에 고정시켜놓은 대산대(大山臺), 바퀴가 달려있어 이동할 수 있는 예산대(曳山臺), 다정산대(茶亭山臺) 등이 있다. 조선 성종대까지는 3종의 산대가 활용되었지만 광해군 이후부터는 재목 조달의 곤란함, 장인 동원의 어려움, 공간의 협소함 등을 이유로 예산대만 사용되었다. 예산대는 규모가 작은 편이고 바퀴가 있어 끌고 가서 보관하였다가 다시 쓸 수 있는 장점이 있어 물력과 인력 낭비를 줄일 수 있었다.

산대는 나례 의식을 행하기 위해 설치한 임시 무대로, 산의 외형을 본떴으며 규모가 크고 높았다. 기암괴석이 첩첩한 산의 모양을 이루었고 여러 층으로 무대를 구성하였으며 그 높이가 60자 즉, 18m 정도에서 90자 즉, 27m 정도 가까이 되었다. 이러한 모습은 왕이나 중국 사신을 찬미하는 표현임과 동시에 그 존재의 위상을 드러내는 상징물이었다.

산대의 무대에는 잡상을 세워놓았는데, 고사(故事) 속의 전형적인 인물을 잡상으로 등장시킴으로써 관객으로 하여금 연극을 본 것 같은 효과를 발생시켰다. 산대 주위에는 땅재주, 탈춤, 줄타기 등 각종 연희가 함께 연행되기도 하여 다양한 민간의 놀이를 한꺼번에 즐길 수 있었다.

산대라는 장식 무대, 산대에 배치했던 잡상, 산대 주위에서 공연했던 민간 예능인, 이는 모두 산대도감에서 이루어낸 결과물이었다. 산대도감은 대규모 나례에 동원되는 산대를 제작하여 설치하고 산대에 장식할 물건과 인형을 만들며 온갖 기예를 펼치는 재인들을 전국에서 불러 모아, 조형물과 공연으로 환영과 송축의 의미를 담아내는 역할을 해냈다.

변천

산대도감은 산대를 마련한 채 나례를 설행했던 나례 의식의 변천사와 궤를 함께한다. 조선초기에는 산대를 만들어서 나례를 벌였던 일이 빈번하였기 때문에 산대도감도 자주 설치되었다. 그러나 인조대 이후부터는 산대를 놓고 나례를 하는 경우가 적어졌고 그 규모도 축소되어, 중국 사신이 방문했을 경우에만 시행하는 방식으로 존속되었다. 영조대부터는 인습적인 행사로 남아있었을 뿐 실질적으로는 거행하지 않은 적이 많았으며, 1784년(정조 8)을 끝으로 사신을 접대하는 산대 나례를 폐지하였다. 산대도감 역시 인조대부터 존재성이 약화되었고, 이후 산대에서 선보였던 공연을 의미하는 놀이나 놀이 집단의 의미로 변화된 채 통용되었다.

참고문헌

  • 『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
  • 『조선부(朝鮮賦)』
  • 『나례청등록(儺禮廳謄錄)』
  • 사진실, 『한국연극사연구』, 태학사, 1997.
  • 사진실, 『공연문화의 전통 -樂·戱·劇-』, 태학사, 2002.
  • 신선희, 『한국 고대극장의 역사』, 열화당, 2006.
  • 윤광봉, 『韓國의 演戱』, 반도출판사, 1992.
  • 이두현, 『韓國의 假面劇』, 일지사, 1985.
  • 사진실, 「공연예술의 기록, 나례청등록 1」, 『문헌과 해석』 창간호, 문헌과해석사, 1997.
  • 안대회, 「18·19세기 탈춤꾼·山臺造成匠人 卓文漢 연구」, 『정신문화연구』 제33권 제4호 통권121호 , 한국학중앙연구원, 2010.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