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簠)

sillok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조선시대 국가 제사 의례에 사용된 주요 제기(祭器)로서 쌀[稻]과 메조[粱]를 담는 그릇.

개설

의궤에는 보의 본체와 덮개가 함께 갖추어진 한 벌이라는 뜻으로 ‘보개구(簠盖具)’라고 명명되어 있다. 보는 메기장[黍]과 조[稷]를 담는 제기인 궤(簋)와 짝을 이루어 각각의 제사에서 동일 수량으로 진설되었고, 상호 밀접한 연관성을 지녀서 ‘보궤(簠簋)’로도 병칭되었다. 보의 외형은 네모나게 각이 졌고, 궤는 둥글고 부드러운 형태이다. 이는 예부터 ‘방보원궤(方簠圓簋)’라 하여 네모진 모양[方形]의 ‘보’와 둥근 모양[圓形]의 ‘궤’가 음양(陰陽)의 조화를 이루는 동시에, ‘천원지방(天圓地方)’, 즉 하늘은 둥글고 땅은 네모나다고 하는 동양적 우주관을 함께 구현하도록 제작, 사용되었다. 방형의 보는 땅이 네모나다는 뜻을 담았고 ‘음’에 해당하며, 원형의 궤는 하늘이 둥글다는 뜻을 담았고 ‘양’에 해당한다.

연원 및 변천

중국 고대 때부터 있어온 것으로 정확한 연원은 알 수 없다. 중국 고대의 삼례(三禮) 가운데 하나인 『주례(周禮)』에 ‘보궤’가 등장하고, 또 『주례』의 주(注)에 네모진 보와 둥근 궤라는 뜻의 ‘방보원궤(方簠圓簋)’라는 내용을 수록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 적어도 보의 연원은 『주례』의 편찬 시기까지 거슬러 올라간다고 볼 수 있다. 조선시대에는 세종대의 『세종실록』 「오례」에서 처음으로 도설(圖說)이 확인된다(『세종실록』 오례 길례 서례 제기도설 보). 이후 성종대의 『국조오례서례(國朝五禮序例)』, 대한제국 시기의 『대한예전(大韓禮典)』 등 역대 전례서 및 다수의 의궤에 보의 도설이 다양하게 수록되어 있다.

형태

보의 몸체는 윗부분이 넓고 아랫부분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역사다리 모양이다. 덮개는 몸체와 직접 닿는 아랫부분이 넓고 윗부분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사다리 모양을 하고 있어서, 몸체와 덮개가 상하 대칭형을 이룬다. 보는 몸체 정면에 짐승 머리 모양의 장식이 붙어 있고, 좌·우 양면에는 짐승 머리 모양의 귀[器耳]가 붙어 있다. 또 몸체 아래에는 짧고 뭉툭한 장방형의 다리 네 개가 붙어 있는데, 다리에는 문양이 없다.

중국 남송대의 주희(朱熹)가 지은 『소희주현석전의도(紹煕州縣釋奠儀圖)』의 보의 외형 및 규격에 관한 설명에 따르면, 보는 구리로 만들며, 덮개까지 포함한 무게는 13근 2냥(약 7.9㎏), 덮개까지 포함한 전체 높이는 7치(약 21㎝), 곡식을 담는 몸체 내부의 깊이는 2치(약 6㎝), 너비는 8치 1푼(약 24.5㎝), 복부 윗부분의 길이는 1자 1푼(약 31㎝)이라고 되어 있다. 조선시대에는 이 기록을 참조하여 보를 제작하였다.

300px

생활·민속 관련 사항

참고문헌

  • 『국조오례서례(國朝五禮序例)』
  • 『종묘의궤(宗廟儀軌)
  • 『춘관통고(春官通考)』
  • 『대한예전(大韓禮典)』
  • 『주례(周禮)』
  • 『소희주현석전의도(紹熙州縣釋奠儀圖)』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