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관성(騎官星)

sillok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전통 별자리인 28수(宿) 가운데 저수(氐宿)에 속한 별자리.

개설

기관성(騎官星)은 28수 가운데 저수에 속하며 27개의 별로 이루어졌다. ‘기관’은 천자의 호위무사[虎賁]로 궁정을 지키는[宿衛] 기병(騎兵)이다. 기관성은 저수의 남쪽에 있는데, 서양 별자리로는 이리자리와 켄타우루스자리에 걸쳐 있다.

내용 및 특징

『조선왕조실록』에는 기관성 관측과 관련된 기사가 6번 정도 실려 있는데, ‘기관’ 또는 ‘기관성’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여섯 번 모두가 유성 관측 기록인데, 이처럼 기관성은 유성 관측의 좌표로 사용되었다. 이 가운데에는 상당히 큰 유성이 떨어져 유성의 붉은빛이 땅에까지 비추었다고 한 기록도 있다(『인조실록』 18년 5월 28일).

고천문에서는 하늘을 31개의 구역으로 나누어서 별자리를 배속시켜 분류하였는데, 그 분류는 시대별로 달랐다. 『보천가(步天歌)』 이후 삼원(三垣)과 28수의 별자리 분류 체제가 확립되면서 기관성은 28수 가운데 동방 7수의 저수에 속하였다. 그 이전인 『사기(史記)』「천관서(天官書)」에서는 동궁(東宮)에 속하였고, 『삼가성경(三家星經)』에는 석씨외관(石氏外官), 그리고 『진서(晉書)』「천문지(天文志)」에는 28수 외에 속하는 것으로 분류되어 있었다.

천문분야론에 따르면, 기관 성좌는 하늘을 12구역으로 나눈 십이성차(十二星次) 가운데 수성(壽星)의 차에 속하는데, 서양 황도십이궁의 천칭자리[天秤宮]와 상응한다. 해가 수성의 차에 위치할 때는 십이진(十二辰)의 진(辰)의 방향에 해당하고, 시절은 음력 8월이 된다. 하늘의 분야에 대응하는 땅의 분야는 십이주국(十二州國)의 정(鄭)나라와 연주(兗州)이다.

기관성의 별 27개는 별들이 셋씩 모여 서로 연결된 군진(軍陣)의 형태를 보여주고 있다. 『보천가』에서는 이 모양을 “기관의 별은 스물일곱 개, 셋씩 서로 연결되었는데 열에서 하나가 모자라네” 하고 읊었다. 기관성은 하늘에서 아주 넓은 지역을 차지하고 있다. ‘천상열차분야지도(天象列次分野之圖)’에서는, 저수(氐宿)의 남쪽, 고루성(庫樓星)의 동쪽, 방수(房宿)의 서남쪽으로 둘러싸여 있다. 하늘에서 이 지역은 서양 별자리의 이리자리와 켄타우루스자리에 걸쳐 있다.

기관성은 천자의 궁전을 지키는 호위 무사들의 모양을 본떠 하늘에 올려 별자리를 삼은 것으로, 무관(武官)을 상징한다. 기관성은 또 호분(虎賁)이라고도 하는데, 호분은 옛날에 귀족과 제후들의 자제를 뽑아 만든 무사들로, 천자를 시종하고 곁에서 지키는 임무를 맡았다. 당나라 때 하늘의 별자리를 본떠 십이군(十二軍)을 설치하였는데, 여기에는‘기관(騎官)’도 포함되어 있었다.

기관성이 무관을 상징하므로, 기관성의 천문 현상도 군대와 관련시켜 해석하였다. 기관성에 속한 별들이 모이면 천하가 편안하고, 성기게 되면 기사들이 반란을 일으키며, 보이지 않으면 전쟁이 일어난다고 하였다. 오행성이 기관성을 범하면 전쟁이 일어나고, 객성(客星)이 기관성을 지키고 있으면 장군이 쫓겨난다고 해석하였다. 유성이 기관성 안으로 들어와도 전쟁이 일어나고, 이때 유성의 색이 창백하면 장군이 죽는 일이 일어난다고 보았다. 여기서 범한다[犯]는 것은 가까이 다가가는 것을 의미하며, 들어간다[入]는 것은 들어갔다가 다시 나오는 것을 의미하고, 지킨다[守]는 것은 들어가서 오랜 동안 있는 것을 의미한다.

참고문헌

  • 『천문류초(天文類抄)』
  • 『통지(通志)』「천문략(天文略)」
  • 『진서(晉書)』「천문지(天文志)」
  • 『송사(宋史)』「천문지(天文志)」
  • 『삼가성경(三家星經)』
  • 『보천가(步天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