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이(鷄彛)
주요 정보 | |
---|---|
대표표제 | 계이 |
한글표제 | 계이 |
한자표제 | 鷄彛 |
상위어 | 이(彝), 준이(尊彝) |
관련어 | 가이(斝彝), 명수(明水), 울창주(鬱鬯酒), 유이(蜼彝), 조이(鳥彝), 호이(虎彝), 황이(黃彝) |
분야 | 왕실/왕실의례/예기 |
유형 | 물품·도구 |
지역 | 대한민국 |
시대 | 조선 |
집필자 | 박봉주 |
용도 | 제기(祭器) |
재질 | 청동(靑銅) |
조선왕조실록사전 연계 | |
계이(鷄彛) |
국가 제사 의례에 사용된 제기(祭器)로 술잔 겸 물 그릇으로 사용된 그릇.
개설
계이는 고대로부터 국가 제례에서 중요하게 사용된 6종의 이기(彝器) 중 하나로서, 몸체 표면에 닭 모양을 새기거나 그려 넣은 술동이를 말한다. 계이는 새, 그 중에서도 봉황 모양을 새겨 넣은 조이(鳥彝)와 짝을 이루어 조선시대의 종묘(宗廟), 경모궁(景慕宮), 육상궁(毓祥宮), 저경궁(儲慶宮)에서 봄, 여름, 가을, 겨울과 납일(臘日)에 올리는 오향제(五享祭) 중 봄 제사와 여름 제사에 사용되었다. 봄 제사에서는 계이에 달밤에 거울로 달을 비춰 맺힌 이슬을 모아 만든 맑은 물인 명수(明水)를 담고, 검은 기장에 울금향(鬱金香)을 넣어 빚은 향기 나는 술인 울창주(鬱鬯酒)를 조이에 담았으며, 여름 제사에서는 이와는 반대로 조이에 명수를 담고, 계이에 울창주를 담았다.
연원 및 변천
한국과 중국에서는 고래로부터 각종 국가 제사를 거행할 때에 계이, 조이, 가이(斝彝), 황이(黃彝), 호이(虎彝), 유이(蜼彝) 등 6종의 이(彝)를 강신(降神) 절차에 사용되는 울창주와 명수를 담아 두는 용도로 사용하였다. 이것은 각각 그릇 표면에 새겨 넣은 문양에 따라 이름이 붙여진 것이다. 가이는 벼 이삭 모양을 그려 넣었으며, 황이는 황금 눈[黃目]으로 장식을 했고, 호이는 호랑이 그림으로, 유이는 원숭이 그림을 새겨 넣은 그릇이다. 조선시대에는 국가 제례에서 오향제를 올리는 규모가 크고 격이 높은 제례, 즉 대사(大祀) 및 중사(中祀) 중에서도 보다 중요하고 격이 높은 일부 제례에서만 사용되었다. 두 종류씩 짝을 이루어 계절별로 역할을 바꾸면서 활용되었다.
오향제 중에서도 봄 제사인 사제(祠祭)에서는 계이에 명수를 담고 조이에 울창주를 담았으며, 여름 제사인 약제(禴祭)에서는 이와 반대로 조이에 명수를, 계이에 울창주를 담았다. 또한 가을 제사인 상제(嘗祭)에서는 가이에 명수를, 황이에 울창주를 담았으며, 겨울 제사인 증제(蒸祭)와 납일의 제사에서는 이와는 반대로 황이에 명수를, 가이에 울창주를 담았다.
형태
『조선왕조실록』과 의궤, 전례서 등에 수록된 계이의 그림은 전기와 후기에 큰 변화 없이 동일한 형태를 유지하고 있다. 오행사상에 의하면 닭은 동방의 동물로서 인(仁)을 상징하며, 봄은 동방과 상응하므로, 봄 제사에서 명수를 담는 데 사용하는 이기로는 봄, 동방, 인을 상징하는 닭을 새겨 넣은 계이를 제작하여 활용한 것이다.
참고문헌
- 『국조오례서례(國朝五禮序例)』
- 『춘관통고(春官通考)』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