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릉(健陵)

sillok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조선 정조와 비 효의왕후(孝懿王后) 김씨(金氏)의 능.

개설

건릉(健陵)은 1800년(정조 24)에 정조가 승하함에 따라 사도세자(思悼世子)의 무덤인 현륭원(顯隆園) 동쪽 기슭 강무당 터에 조성되었다. 그 후 1821년(순조 21)에 효의왕후가 죽자, 오늘날의 경기도 화성시 안녕동인 수원 구읍의 향교 터로 건릉을 옮기면서 합장하였다. 고종 연간에는 현륭원이 융릉(隆陵)으로 격상되면서 가까이에 자리한 건릉과 융릉이 일원을 형성하게 되었다. 현재는 두 왕릉이 함께 사적 제206호로 지정되어 있다.

조성 경위

1800년 6월 28일 정조가 창경궁 영춘헌(迎春軒)에서 승하하자, 왕대비의 명에 의해 빈전은 환경전(歡慶殿)으로, 혼전은 선정전(宣政殿)으로 정해졌다. 국장을 이끌 총호사(總護使)는 좌의정(左議政) 이시수(李時秀)로, 빈전도감(殯殿都監) 제조(提調)는 김재찬(金載瓚)·이만수(李晩秀)·한용귀(韓用龜)로, 국장도감(國葬都監) 제조는 이조원(李祖源)·이재학(李在學)·조진관(趙鎭寬)으로, 산릉도감(山陵都監) 제조는 서유린(徐有隣)·김문순(金文淳)·이득신(李得臣)으로 정하고, 제반 절차는 영조 때 편찬된 『국조상례보편(國朝喪禮補編)』을 따르도록 했다.

7월 6일 빈청 회의에서 묘호(廟號)는 정종(正宗)으로, 전호(殿號)는 효령(孝寧)으로, 능호는 건릉으로 정했다. 그러나 7월 13일, 효령이 숙종의 전호와 비슷하다고 하여 효원(孝元)으로 고쳤다. 산릉은 현륭원 동쪽 강무당 옛터의 해좌(亥坐)로 정하였다. 그런데 건릉의 위치를 정하고 봉표(封標)하자 현륭원 어진(御眞) 봉안각과 너무 가까워지게 되었다. 결국 화성 행궁에 전각을 건립하고 옮겨 봉안하라는 대비의 하교가 있었다. 이 어진 봉안각의 전호는 1801년(순조 1) 빈청 회의에서 화령전(華寧殿)으로 결정되었고, 강무당에서 남쪽으로 77보, 낙남헌(洛南軒)에서 북쪽으로 79보 떨어진 길지(吉地)에 유방(酉方)을 등지고 묘방(卯方)을 바라보는 방향, 즉 서쪽에서 동쪽을 바라보는 방향으로 건립되었다(『순조실록』 1년 1월 29일).

정조의 영구는 같은 해 11월 3일 발인해서 11월 6일에 묻혔다. 국장이 끝난 11월에 암행어사신현(申絢)의 청에 따라 화성의 지지대(遲遲臺)에 사적비를 세웠다. 지지대는 정조가 헌륭원에 행행할 때 항상 머물던 곳이었기 때문이다.

건릉이 조성된 지 21년 만인 1821년(순조 21) 3월 9일, 효의왕후가 자경전(慈慶殿)에서 승하했다. 빈전은 환경전, 곡반(哭班) 처소는 명정전(明政殿), 혼전은 통화전(通和殿)으로 하여 국장이 진행되었다. 이때 빈청에서 효의왕후의 전호는 효희(孝禧)로, 능호는 정릉(靜陵)으로 아뢰어 정했다. 그런데 효의왕후의 국장이 진행되는 동안 한편에서는 건릉의 이전이 논의되고 있었다. 건릉의 자리가 좋지 않다는 소문이 있자 정조의 국장 당시 총호사를 맡았던 이시수가 적극 주장하여 천장(遷葬)을 결정하고, 더불어 효의왕후와 합장하도록 정하였다.

천장할 곳으로는 교하의 장릉(長陵) 재실 뒤와 수원의 옛날 향교 터가 물망에 올랐는데, 수원이 교하에 비해 매우 귀하고 길하다는 상지관(相地官)의 말에 따라 수원으로 정하였다. 또 봉분은 영릉과 장릉의 전례에 따라 합분하기로 하였다. 새로 옮길 곳이 이전의 능과 아주 가까웠으므로 능에 설치할 석물(石物)을 모두 옮겨다 썼으며, 합장했지만 현륭원의 예에 의거하여 모든 석물은 이전과 똑같이 하였다(『순조실록』 21년 4월 21일).

조성 상황

건릉의 현궁(玄宮)은 회격분(灰隔墳)으로 조성되었다. 능상(陵上)의 봉분 주위에 병풍석을 두르고 뒤쪽에 곡장(曲墻)을 설치했다. 봉분의 사방에는 양석과 호석 각 4개씩을 놓고, 상계(上階)에는 혼유석과 망주석 1쌍을 설치하고, 중계(中階)에는 장명등(長明燈)과 문인석, 마석 1쌍씩, 하계(下階)에는 무인석과 마석 1쌍씩을 배치했다. 정자각은 정전(政殿)이 3칸, 배위청(拜位廳)이 2칸이며, 맞배지붕을 하고 있다. 정자각의 왼쪽에는 표석을 보호하기 위한 비각을 설치했으며, 향어로(香御路)의 좌우에는 수라간과 수복방(守僕房)을 두었으나 현재는 수라간만 남아 있다. 향어로의 끝에는 홍살문을 배치하였다.

변천

건릉의 변화는 주로 재실에 있었다. 1873년(고종 10)에 재실이 화재로 불에 타서 중수(重修)하였으며, 일제강점기인 1912년에는 조선총독부에서 수원군화산(花山)의 삼림 면적이 광활하여 관리하기 어렵다며 융릉(隆陵)과 건릉의 재실 일부에 임업사무소를 두었다. 이로 인해 일본인들이 자주 드나들게 되었으며, 1914년에는 부속 건물을 수리하기도 했다. 조선총독부 산하 임업사무소에서 화산의 삼림을 대부분 주기적으로 벌목과 보식(補植)하도록 정했으나, 융릉과 건릉 및 소속 사원(寺院) 주위의 삼림은 금벌림(禁伐林)으로 획정하였다.

건릉의 또 하나의 변화는 표석에 있었다. 대한제국 선포 후 1900년(광무 4)에 선대왕을 황제로 추존하고 각릉 표석의 내용을 고치는 작업이 있었는데, 이때 건릉과 함께 고쳐진 능은 건원릉(健元陵), 제릉(齊陵), 정릉(貞陵), 융릉, 인릉(仁陵), 수릉(綏陵)이다. 표석의 음각을 위한 글씨[陰記]는 고종이 직접 썼다.

관련 사항

건릉은 사적 제206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다른 조선 왕릉과 더불어 세계 문화유산에 등재되었다.

참고문헌

  • 『건릉산릉도감의궤(健陵山陵都監儀軌)』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