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ildongBookClub2
Intellectuals in Modern Korea
목차
기획 의도
한국문학연구소는 이야기의 씨앗이 될, 한국의 슈퍼 IP의 탐색을 목표로 독서프로그램 <필동북클럽>을 기획했습니다. 그동안 한국문학연구소는 과거부터 현대를 아우르는 한국문학의 다양한 측면에 주목하여 우리 문학이 가진 이야기의 힘을 찾아내고 여기에 함의된 한국문화의 여러 지층을 발굴하고자 주력해왔습니다.
그 두 번째 시즌에서는 동국대학교가 자리한 중구, 그 중에서도 문화예술 1번지 ‘명동’을 탐구해보는 자리를 마련했습니다.
1945년 해방을 맞이한 후 침울하던 명동 거리도 다시 활기가 돋습니다. 해방 전부터 명동을 주무대로 활동하던 작가 이봉구는 명동거리를 수놓은 무수한 다방, 술집, 식당, 극장 등에서 벌어지던 예술가들의 일화를 애정 어린 시선으로 담아낸 <그리운 이름 따라-명동 20년>이라는 작품을 써냈습니다.
이번 북클럽에서는 <그리운 이름따라-명동 20년>(지만지, 2014)을 읽으며 이봉구의 안내에 따라 1950년대의 명동 거리로 시간여행을 떠나보기로 합니다.
또한 이번 시즌에는 디지털 인문학적 방법론을 활용한 읽기를 통해 다각적으로 명동을 읽어보고자 합니다.
문화예술 1번지, 1950년대의 명동 거리 위로 펼쳐지는 텍스트와 디지털의 무수한 교차점을 함께 만들어 보시기 바랍니다.
진행일정
주차 | 날짜 | 강의 내용 | 강의 형식 | 강의자 | 강의 자료 |
---|---|---|---|---|---|
01주차 | 11월14일 18:00~20:00 |
명동백작 이봉구: 이봉구와 <명동 20년> 그 서술의 전경 | 토론 | 조은애 | 01주차 강의 자료 |
02주차 | 11월21일 18:00~20:00 |
공간으로 읽는 명동1: 다방 '모나리자' 시대 | 토론/발표 | 최진경 | 02&03주차 강의 자료 |
03주차 | 11월28일 18:00~20:00 |
공간으로 읽는 명동2: '동방싸롱·은성' 시대 | |||
04주차 | 12월05일 18:00~20:00 |
디지털로 읽는 명동: 명동의 StoryMap & 네트워크 그래프 만들어보기 답사지도 만들기 |
실습/발표/토론 | 김지선 | ↓04주차 실습 자료 |
05주차 | 12월12일 18:00~21:00 |
그리운 명동은 어디로 갔나: 명동 답사 | 답사 | * | 답사지도 |
참여인원
가나다순
강연자
주요 참여자
- 박수양(동국대 고전문학 석사과정)
- 신유진(동국대 국어국문문예창작학부)
- 안지영(동국대 고전문학 석사과정)
- 장지훈(동국대 고전문학 석박통합과정)
- 장커신(동국대 국어국문문예창작학부)
- 정혜선(동국대 고전문학 석사과정)
- 채인욱(동국대 고전문학 석사과정)
진행장소
함께 나눈 이야기
1주차
|
---|
2·3주차
지금바로보시조: 공간
적시조: 술
노래한곡뽑조: 문화
느껴보시조: 여성
|
---|
4주차 실습 자료김지선
1. StoryMap○사전 준비물: ①협업시트(팀당 최소 5개씩 입력), ②Google 계정
○위키 문서에 임베딩
실습 참고 자료○EBS 문화사 시리즈 - 명동백작(2~23부)
2. 네트워크 그래프
3. 답사지도
|
북클럽 결과물
참고 자원
How to use Mediawiki
○자기소개 위키 문서 작성법
○위키문법(DH Edu)
○출처표기법(DH Edu)
○엑셀 to Wiki 변환 사이트
○김지선·장문석·류인태, 「공유와 협업의 글쓰기 플랫폼, 위키」, 『한국학연구』60,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21.open
명동 관련 자료
○명동의 다방과 주점: 문화의 산실 Wiki
○1961년 서울상계지도에 표시한 명동 관련 건물들
○서울역사박물관(2011),『명동: 공간의 형성과 변화』 46쪽(pdf기준) "1940년대~1950년대 명동일대 다방(1940년 지적도에 표시)" 그림 참고
○1983년 2월 1일 겨울비 속에 간 명동신사
○서울역사아카이브 제공 1961년 명동의 업종별 분포 현황 사진 모음: 서울생활문화자료조사'명동'
○명동 모나리자 다방 사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