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finition
국가 제례에서 사용된 6종의 준(尊)은 몸체의 외형이나 몸체 표면에 새겨 넣는 문양에 따라, 희생의 문양이 있는 희준(犧尊) , 코끼리 문양의 상준(象尊) , 몸체가 불룩한 호준(壺尊) , 산에 구름이 낄 형세의 문양이 있는 산준(山尊) 과 입구가 넓고 몸체가 불룩하며 문양이나 장식을 새기지 않은 밋밋한 모양의 대준(大尊) 과 착준 등으로 구분되었다.[1]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Additional Attributes
Contextual Relations
Online Reference
type: 해설, 참고, 3D_모델, VR_영상, 도해, 사진, 동영상, 소리, 텍스트
Bibliography
author
title
publication
edition
URL
박봉주,
「조선시대 국가 제례(祭禮)와 변두(豆)의 사용」, 『동방학지』159,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12.
박봉주,
「조선시대 국가 祭禮와 준․뢰의 사용」, 『조선시대사학보』58,
조선시대사학회, 2011.
박수정,
「조선초기 의례(儀禮)제정과 희준(犧尊)·상준(象尊)의 역사적 의미」, 『조선시대사학보』60,
조선시대사학회, 2012.
최순권,
「종묘제기고(宗廟祭器考)」, 『종묘대제문물』60,
궁중유물전시관, 2004.
최순권,
「조선시대 이준(彛尊)에 대한 고찰」, 『생활문물연구』14,
국립민속박물관, 2004.
정소라,
「조선전기 길례용 분청사기 연구 -충효동요지 출토유물을 중심으로-」, 『미술사학연구』223,
조선시대사학회, 1999.
하은미,
「종묘제기와 조선시대 제기도설 연구」,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김종일,
「조선후기 종묘제기와 유기장의 제작기술 연구」,
한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김종임,
「조선왕실 금속제기 연구 : 종묘제기를 중심으로」, 『미술사학연구』제277호,
한국미술사학회, 2013.
손명희,
「조선의 국가 제사를 위한 그릇과 도구」, 『조선의 국가의례, 오례』,
국립고궁박물관, 2015, 85~136쪽.
이귀영,
「종묘제례의 제기와 제수의 진설 원리」, 『한국미술사교육학회지』제27호,
한국미술사교육학회, 2013.
윤방언,
『조선왕조 종묘와 제례』,
문화재청, 2002.
국립고궁박물관,
『종묘, 조선의 정신을 담다』,
국립고궁박물관, 2014.
궁중유물전시관,
『종묘대제문물』,
궁중유물전시관, 2004.
Notes
↑ 박봉주, "착준 ", 『조선왕조실록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