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뢰
Definition
조선시대의 각종 국가·왕실 의례에서 사용된 제기. 술이나 물을 담는 큰 항아리이다. 산에 구름이 낀 형세를 몸체에 새기거나 그려 넣은 술동이. 산준은 고대로부터 국가 제례에서 중요하게 사용된 6종의 준(尊) 중 한 종류이다. ‘산뢰(山罍)’라는 별칭으로 보다 널리 사용되었기 때문에, 6준은 실제로는 5준 1뢰를 의미한다. ‘뢰(罍)’는 구름과 우레가 널리 혜택을 베푸는 것이 마치 왕의 은혜가 여러 신하들에게 두루 미치는 것과도 같다는 의미가 있었다. 이런 뜻으로 인해 산준보다는 ‘산뢰’로 많이 지칭되었다. [1]
『세종실록오례』 ◎ 산뢰(山罍) : 《예서(禮書)》에 이르기를, "산뢰(山罍)는 산준(山尊)이다. 준(尊)에 새겨 그림을 그려서 산에 구름이 있는 형상을 만든다. 뇌(罍)라 이르는 것은, 구름과 우레가 널리 혜택을 베풂이 인군(人君)이 은혜를 여러 신하들에게 미치게 함과 같음을 취하여 형상한 것이다. 산뢰(山罍)는 하(夏)나라 우왕(禹王)의 준(尊)이다."고 하였고, 《주례도(周禮圖)》에 이르기를, "산에 구름이 있는 형상을 그려서, 한 개에는 현주(玄酒)를 채우고, 한 개에는 앙제(盎齊)를 채운다."고 하였다. ◎ 山罍 : 《禮書》云: "山罍, 山尊也。 刻而畫之, 爲山雲之形。 謂之罍者, 取象雲雷博施, 如人君下及諸臣。 山罍, 夏后氏之尊也。" 《周禮圖》云: "畫山雲形, 一盛玄酒, 一盛盎齊。"[2]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
산뢰 | Object | 물품 | 제기 | 산뢰(山罍) | 산뢰 | 山罍 | ritual vessel |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산뢰 |
|
Additional Attributes
propertyName | value |
---|---|
id | 산뢰 |
이칭/별칭 | 산준 |
재질 | |
색상 | |
사용처 | 국가제사, 왕실제사, 사직제, 길례, 흉례 |
Contextual Relations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
세종실록오례 | 산뢰 | documents | |
국조오례의 | 산뢰 | documents | |
국조상례보편 | 산뢰 | documents | |
종묘의궤 | 산뢰 | documents | |
사직서의궤 | 산뢰 | documents | |
제기도감의궤 | 산뢰 | documents | |
경모궁의궤 | 산뢰 | documents | |
대준 | 산뢰 | isRelatedTo | |
산뢰 | 국립고궁박물관 | currentLocation | |
산뢰 | 사직제 | isUsedIn | |
산뢰 | 길례 | isUsedIn | |
산뢰 | 흉례 | isUsedIn | |
산뢰 | 예서 | references | |
산뢰 | 현주-玄酒 | goesWith | |
산뢰 | 앙제-盎齊 | goesWith |
Online Reference
type | resource | title | description/caption | URL |
---|---|---|---|---|
도설 | 조선왕조실록 | 세종실록 오례:산뢰 | http://sillok.history.go.kr/id/kda_20002008_022 | |
도설 | 국조오례의 | 산뢰 | http://kyudb.snu.ac.kr/book/text.do?book_cd=GK00185_00&vol_no=0001 | |
해설 | 조선시대 왕실문화 도해사전 | 산뢰 | http://kyujanggak.snu.ac.kr/dohae/sub/schDetail.jsp?no=D0572&category=A&sWord=산뢰 | |
해설 | 한국전통지식포탈 | 산뢰 | https://www.koreantk.com/ktkp2014/search-all/search-by-keyword.page?pageNo=1&pageSize=&keyword=산뢰&target=CRA | |
해설 | 역주조선왕조실록 | 산준(山尊) | http://waks.aks.ac.kr/rsh/dir/rview.aspx?rshID=AKS-2013-CKD-1240001&callType=srch&dataID=AKS-2013-CKD-1240001_DIC@00013453 | |
해설 | 민족문화대백과 | 산뢰(山罍)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SearchNavi?keyword=산뢰&ridx=0&tot=4 | |
해설 | 민족문화대백과 | 백자 청화철화삼산뇌문 산뢰(白磁靑畵鐵畵三山雷文山罍)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56884 | |
해설 | Encyves | 산뢰 | http://dh.aks.ac.kr/Encyves/wiki/index.php/산뢰 | |
도해 | 조선왕조실록 | 세종실록 오례:산뢰 | http://sillok.history.go.kr/images/slkimg/ida_040008b02.jpg |
- type: 해설, 참고, 3D_모델, VR_영상, 도해, 사진, 동영상, 소리, 텍스트
Bibliography
author | title | publication | edition | URL |
---|---|---|---|---|
박봉주, | 「조선시대 국가 제례(祭禮)와 변두(豆)의 사용」, 『동방학지』159, |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12. | ||
박봉주, | 「조선시대 국가 祭禮와 준․뢰의 사용」, 『조선시대사학보』58, | 조선시대사학회, 2011. | ||
박수정, | 「조선초기 의례(儀禮)제정과 희준(犧尊)·상준(象尊)의 역사적 의미」, 『조선시대사학보』60, | 조선시대사학회, 2012. | ||
최순권, | 「종묘제기고(宗廟祭器考)」, 『종묘대제문물』60, | 궁중유물전시관, 2004. | ||
최순권, | 「조선시대 이준(彛尊)에 대한 고찰」, 『생활문물연구』14, | 국립민속박물관, 2004. | ||
정소라, | 「조선전기 길례용 분청사기 연구 -충효동요지 출토유물을 중심으로-」, 『미술사학연구』223, | 조선시대사학회, 1999. | ||
하은미, | 「종묘제기와 조선시대 제기도설 연구」, |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 ||
김종일, | 「조선후기 종묘제기와 유기장의 제작기술 연구」, | 한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 ||
김종임, | 「조선왕실 금속제기 연구 : 종묘제기를 중심으로」, 『미술사학연구』제277호, | 한국미술사학회, 2013. | ||
손명희, | 「조선의 국가 제사를 위한 그릇과 도구」, 『조선의 국가의례, 오례』, | 국립고궁박물관, 2015, 85~136쪽. | ||
이귀영, | 「종묘제례의 제기와 제수의 진설 원리」, 『한국미술사교육학회지』제27호, | 한국미술사교육학회, 2013. | ||
윤방언, | 『조선왕조 종묘와 제례』, | 문화재청, 2002. | ||
국립고궁박물관, | 『종묘, 조선의 정신을 담다』, | 국립고궁박물관, 2014. | ||
궁중유물전시관, | 『종묘대제문물』, | 궁중유물전시관, 2004. |
Notes
- ↑ 박봉주, "산뢰",
『조선시대 왕실문화 도해사전』online , 규장각한국학연구원.
박봉주, "산준(山尊)",『조선왕조실록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세종실록』, 오례 / 길례 서례 / 제기도설 / 산뢰.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