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2-017"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anyang2
이동: 둘러보기, 검색
(신체시)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하나는 보이지 않습니다)
3번째 줄: 3번째 줄:
 
==Story==  
 
==Story==  
  
1877년 빅토리아 양식으로 지어진 주택으로 미국 워싱턴 DC 워싱턴에 위치한 대한제국 공사관 건물.키워드고종대한제국공사관워싱턴공사관박정양개설1889년 2월부터 16년 동안 미국 주재 대한제국 공사관으로 사용되었던 곳이다. 당시 재외 공사관으로는 유일하게 단독 건물이었고, 현재까지 원형이 그대로 남아 있는 유일한 공사관 건물이기도 하다.역사적 변천1877년에 워싱턴(Washington D.C.) 개발위원장을 지냈던 펠프스(Seth Ledyard Phelps, 1824∼1885)의 집이다. 플라우먼(Thomas M. Plowman)과 윌리암(Joseph William)이 설계하였고, 빅토리아 양식으로 지었다.1887년에 초대 주미 전권공사로 파견된 박정양(朴定陽, 1841∼1904)은 고종이 하사한 내탕금 2만5천달러를 이용하여, 당시 미국 국무차관이자 펠프스의 사위였던 브라운(Sevellon A. Brown)에게 구입하였다. 해외공관 중 유일한 조선정부 소유 건물이었다. 이듬해부터 공사관으로 사용하면서 1891년 12월에 등기를 마쳤고, 1893년에는 시카고 박람회를 준비하기도 하였다. 하지만 1905년에 을사늑약으로 공사관의 기능을 잃었고, 1910년에는 일제에 강제로 빼앗겼다. 제2차 세계대전 동안에는 흑인을 위한 레크리에이션 센터로 이용되었다가 미국 트럭노조인 팀스터스 유니온(Teamsters Union)의 사무실로 쓰였으며, 1972년부터는 개인 집으로 사용되었다. 2012년에 한국 정부가 350만달러를 들여 다시 구입하였고, 이듬해부터 국외소재문화재재단이 복원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내용이 건물은 로간 서클(Logan Circle)의 중심에 위치하고 있다. 이곳은 워싱턴 D.C. 전체를 설계하였던 랑팡(Pierre Charles L'Enfant, 1754∼1825)이 백악관과 듀퐁 서클(Dupont Circle)을 연결한 삼각점의 한 부분이다. 주변에는 당시에지은 빅토리아 양식의 건물이 들어서 있는데, 보존 상태가 좋아서 1972년에 역사보존지구로 지정되었다. 1960년대에는 주로 흑인이 살았기에, 워싱턴 D.C. 흑인 문화의 중심지라고 불린다.특징이 건물은 로간 서클에 있는 여러 채의 빅토리아 양식의 건물 중에서 그 외관이 뛰어나, 당시 여러 나라의 공사관 가운데서도 아름다운 건물로 자주 소개되었다. 1893년의 시카고 박람회 때 촬영한 사진과 비교하면, 지금도 당시의 외관과 함께 내부의 주요 골조(骨組)를 그대로 유지하고 있는 상태이다. 특히 바깥쪽 앞면의 창문 장식과 철제 장식은 원래 모습 그대로이며, 지붕 위로 솟은 벽난로의 모습도 이채롭다. 다만 현관에 둔 지붕인 태극 무늬를 새긴 포치(porch)는 사라지고 없는 상태이다.의의와 평가1890년대에 워싱턴 D.C.에 자리하였던 30여 곳의 외국 공사관 중에 원형이 그대로 보존되어 있는 유일한 건물이다. 미국과의 독자적인 자주 외교를 지향하였지만 일본에 강제로 빼앗겨 독립정신을 일깨우게 한 대한제국시기의 대표적인 외교 관련 유적으로 알려져 있다.
+
1877년 빅토리아 양식으로 지어진 주택으로 미국 워싱턴 DC 워싱턴에 위치한 대한제국 공사관 건물. 1889년 2월부터 16년 동안 미국 주재 대한제국 공사관으로 사용되었던 곳이다. 당시 재외 공사관으로는 유일하게 단독 건물이었고, 현재까지 원형이 그대로 남아 있는 유일한 공사관 건물이기도 하다. 1877년에 워싱턴(Washington D.C.) 개발위원장을 지냈던 펠프스(Seth Ledyard Phelps, 1824∼1885)의 집이다. 1887년에 초대 주미 전권공사로 파견된 박정양(朴定陽, 1841∼1904)은 고종이 하사한 내탕금 2만5천달러를 이용하여, 당시 미국 국무차관이자 펠프스의 사위였던 브라운(Sevellon A. Brown)에게 구입하였다. 해외공관 중 유일한 조선정부 소유 건물이었다. 이듬해부터 공사관으로 사용하면서 1891년 12월에 등기를 마쳤고, 1893년에는 시카고 박람회를 준비하기도 하였다.
 +
그러나 1905년에 을사늑약으로 공사관의 기능을 잃었고, 1910년에는 일제에 강제로 빼앗겼다. 제2차 세계대전 동안에는 흑인을 위한 레크리에이션 센터로 이용되었다가 미국 트럭노조인 팀스터스 유니온(Teamsters Union)의 사무실로 쓰였으며, 1972년부터는 개인 집으로 사용되었다. 2012년에 한국정부가 350만달러를 들여 다시 구입하였고, 이듬해부터 국외소재문화재재단이 복원작업을 진행하였다.
 +
건물은 로간 서클(Logan Circle)의 중심에 위치하고 있다. 이곳은 워싱턴 D.C. 전체를 설계하였던 랑팡(Pierre Charles L'Enfant, 1754∼1825)이 백악관과 듀퐁 서클(Dupont Circle)을 연결한 삼각점의 한 부분이다. 주변에는 당시에 지은 빅토리아 양식의 건물이 들어서 있는데, 보존 상태가 좋아서 1972년에 역사보존지구로 지정되었다. 1960년대에는 주로 흑인이 살았기에, 워싱턴 D.C. 흑인 문화의 중심지라고 불린다. 1890년대에 워싱턴 D.C.에 자리하였던 30여 곳의 외국 공사관 중에 원형이 그대로 보존되어 있는 유일한 건물이다. 미국과의 독자적인 자주 외교를 지향하였지만 일본에 강제로 빼앗겨 독립정신을 일깨우게 한 대한제국시기의 대표적인 외교 관련 유적이다.
  
 
==Semantic Data==  
 
==Semantic Data==  
23번째 줄: 25번째 줄: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note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note
 
|-
 
|-
| [[E2-107]] || [[]]  || [[isRelatedTo]]  ||  ||
+
| [[E2-107]] || [[워싱턴]]  || [[isRelatedTo]]  ||  ||
 
|-
 
|-
| [[E2-017]] || [[]]  || [[isRelatedTo]]  ||  ||
+
| [[E2-017]] || [[펠프스]]  || [[isRelatedTo]]  ||  || Seth Ledyard Phelps
 +
|-
 +
| [[E2-107]] || [[박정양]]  || [[isRelatedTo]]  ||  ||
 +
|-
 +
| [[E2-017]] || [[내탕금]]  || [[isRelatedTo]]  ||  ||
 +
|-
 +
| [[E2-107]] || [[해외공관]]  || [[isRelatedTo]]  ||  ||
 +
|-
 +
| [[E2-017]] || [[시카고박람회]]  || [[isRelatedTo]]  ||  ||
 +
|-
 +
| [[E2-107]] || [[대조선주차미국화성돈공사관]]  || [[isRelatedTo]]  ||  ||
 +
|-
 +
| [[E2-017]] || [[이채연]]  || [[isRelatedTo]]  ||  || 대리공사
 +
|-
 +
| [[E2-107]] || [[풀턴]]  || [[isRelatedTo]]  ||  || Horace K. Fulton
 +
|-
 +
| [[E2-017]] || [[김윤정]]  || [[isRelatedTo]]  ||  || 대리공사
 
|-
 
|-
 
 
|}
 
|}
  
41번째 줄: 58번째 줄:
 
| 참고 || The JoongAng || 5달러에 뺏긴 대한제국공사관, 113년만에 태극기 날린다 ||  || https://www.joongang.co.kr/article/22625884#home
 
| 참고 || The JoongAng || 5달러에 뺏긴 대한제국공사관, 113년만에 태극기 날린다 ||  || https://www.joongang.co.kr/article/22625884#home
 
|-
 
|-
| 원문 || || ||  ||
+
| 참고 || 위키백과 || 대조선 주차 미국 화성돈 공사관 ||  || https://ko.wikipedia.org/wiki/대조선_주차_미국_화성돈_공사관
 
|-
 
|-
| 원문 || || ||  ||
+
| 참고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 화성돈대한제국공사관(華盛頓大韓帝國公使館) ||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73720
 
|-
 
|-
| 원문 || || ||  ||
+
| 참고 || 이기환 기자의 흔적의 역사 || "기생들이냐" 박정양 초대주미공사의 '워싱턴' 데뷔기 ||  || https://leekihwan.khan.kr/entry/팟
 
|-
 
|-
 
|}
 
|}
58번째 줄: 75번째 줄:
 
| 논문 || 김종헌, 「워싱턴 D.C 소재 ‘대죠션쥬미국공사관’의 역사적 의미 해석을 통한 복원 및 활용 방안 연구」, 『건축역사연구』 95, , 2014. ||  ||
 
| 논문 || 김종헌, 「워싱턴 D.C 소재 ‘대죠션쥬미국공사관’의 역사적 의미 해석을 통한 복원 및 활용 방안 연구」, 『건축역사연구』 95, , 2014. ||  ||
 
|-
 
|-
| 논문 || , 「」, 『』 , , . || KCI ||
+
| 논문 || 김종헌, 「최초의 주미조선공사관 피서옥(皮瑞屋) 개설과 그 의미에 관한 연구」, 『건축역사연구』 28-6, 한국건축역사학회, 2019. || KCI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547320
 +
|-
 +
| 논문 || 한철호, 「초대 주미전권공사 朴定陽의 활동과 그 의의」, 『한국사학보』 77, 고려사학회, 2019. || KCI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527895
 
|-
 
|-
| 논문 || , 「」, 『』 , , . || KCI ||
+
| 논문 || 이민식, 「금산 이하영 연구(1858~1929)」, 『백산학보』 50, 백산학회, 1998. || ||
 
|-
 
|-
| 논문 || , 「」, 『』 , , . || KCI ||
+
| 논문 || 한종수, 「주미 조선공사관 개설과 자주외교 상징물 연구」, 『역사민속학』 44, 한국역사민속학회, 2014. || ||
 
|-
 
|-
| 논문 || , 「」, 『』 , , . || KCI ||
+
| 단행본 || 문화재청, 『주미대한제국공사관의 역사적 가치와 활용방안』, 문화재청·문화유산국민신탁, 2012. || ||  
 
|-
 
|-
| 논문 || , 「」, 『』 , , . || KCI ||
+
| 단행본 || 박정양(한철호 옮김), 『미행일기』, 국외소재문화재재단, 2014. || ||  
 
|-
 
|-
| 단행본 || 문화재청, 『주미대한제국공사관의 역사적 가치와 활용방안』, 문화재청·문화유산국민신탁, 2012. ||  ||  
+
| 단행본 || 호러스 알렌(신복룡 역주), 『조선견문기』, 집문당, 1984. ||  ||  
 
|-
 
|-
 
| 단행본 || 홍인근, 『대한제국의 해외공관』, 나남, 2012. ||  ||  
 
| 단행본 || 홍인근, 『대한제국의 해외공관』, 나남, 2012. ||  ||  
 
|-
 
|-
| 단행본 || , 『』, , . ||  ||  
+
| 단행본 || 이민식, 『개화기의 한국과 미국 관계』, 한국학술정보, 2009. ||  ||  
 
|-
 
|-
| 단행본 || , 『』, , . ||  ||  
+
| 단행본 || 국외소재문화재재단, 『한미우호의 요람 주미대한제국공사관』, 2014. ||  ||  
 
|-
 
|-
 
|}
 
|}

2021년 11월 22일 (월) 12:36 기준 최신판

대한제국 워싱턴 공사관은 한국이 해외에서 처음 사들인 건물

Story

1877년 빅토리아 양식으로 지어진 주택으로 미국 워싱턴 DC 워싱턴에 위치한 대한제국 공사관 건물. 1889년 2월부터 16년 동안 미국 주재 대한제국 공사관으로 사용되었던 곳이다. 당시 재외 공사관으로는 유일하게 단독 건물이었고, 현재까지 원형이 그대로 남아 있는 유일한 공사관 건물이기도 하다. 1877년에 워싱턴(Washington D.C.) 개발위원장을 지냈던 펠프스(Seth Ledyard Phelps, 1824∼1885)의 집이다. 1887년에 초대 주미 전권공사로 파견된 박정양(朴定陽, 1841∼1904)은 고종이 하사한 내탕금 2만5천달러를 이용하여, 당시 미국 국무차관이자 펠프스의 사위였던 브라운(Sevellon A. Brown)에게 구입하였다. 해외공관 중 유일한 조선정부 소유 건물이었다. 이듬해부터 공사관으로 사용하면서 1891년 12월에 등기를 마쳤고, 1893년에는 시카고 박람회를 준비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1905년에 을사늑약으로 공사관의 기능을 잃었고, 1910년에는 일제에 강제로 빼앗겼다. 제2차 세계대전 동안에는 흑인을 위한 레크리에이션 센터로 이용되었다가 미국 트럭노조인 팀스터스 유니온(Teamsters Union)의 사무실로 쓰였으며, 1972년부터는 개인 집으로 사용되었다. 2012년에 한국정부가 350만달러를 들여 다시 구입하였고, 이듬해부터 국외소재문화재재단이 복원작업을 진행하였다. 이 건물은 로간 서클(Logan Circle)의 중심에 위치하고 있다. 이곳은 워싱턴 D.C. 전체를 설계하였던 랑팡(Pierre Charles L'Enfant, 1754∼1825)이 백악관과 듀퐁 서클(Dupont Circle)을 연결한 삼각점의 한 부분이다. 주변에는 당시에 지은 빅토리아 양식의 건물이 들어서 있는데, 보존 상태가 좋아서 1972년에 역사보존지구로 지정되었다. 1960년대에는 주로 흑인이 살았기에, 워싱턴 D.C. 흑인 문화의 중심지라고 불린다. 1890년대에 워싱턴 D.C.에 자리하였던 30여 곳의 외국 공사관 중에 원형이 그대로 보존되어 있는 유일한 건물이다. 미국과의 독자적인 자주 외교를 지향하였지만 일본에 강제로 빼앗겨 독립정신을 일깨우게 한 대한제국시기의 대표적인 외교 관련 유적이다.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class groupName partName label hangeul hanja english infoUrl iconUrl
E2-017 Story Episode 대한제국 워싱턴 공사관은 한국이 해외에서 처음 사들인 건물 대한제국 워싱턴 공사관은 한국이 해외에서 처음 사들인 건물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E2-017

Contextu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note
E2-107 워싱턴 isRelatedTo
E2-017 펠프스 isRelatedTo Seth Ledyard Phelps
E2-107 박정양 isRelatedTo
E2-017 내탕금 isRelatedTo
E2-107 해외공관 isRelatedTo
E2-017 시카고박람회 isRelatedTo
E2-107 대조선주차미국화성돈공사관 isRelatedTo
E2-017 이채연 isRelatedTo 대리공사
E2-107 풀턴 isRelatedTo Horace K. Fulton
E2-017 김윤정 isRelatedTo 대리공사

Web Resource

type resource title description/caption URL
참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 주미대한제국공사관(駐美大韓帝國公使館)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76935
참고 The JoongAng 5달러에 뺏긴 대한제국공사관, 113년만에 태극기 날린다 https://www.joongang.co.kr/article/22625884#home
참고 위키백과 대조선 주차 미국 화성돈 공사관 https://ko.wikipedia.org/wiki/대조선_주차_미국_화성돈_공사관
참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화성돈대한제국공사관(華盛頓大韓帝國公使館)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73720
참고 이기환 기자의 흔적의 역사 "기생들이냐" 박정양 초대주미공사의 '워싱턴' 데뷔기 https://leekihwan.khan.kr/entry/팟
  • type: 해설, 참고, 원문 / 사진, 동영상, 도면, 그림, 지도, 3D_지도, 3D_모델

Bibliography

type bibliographic index online resource url
논문 김종헌, 「워싱턴 D.C 소재 ‘대죠션쥬미국공사관’의 역사적 의미 해석을 통한 복원 및 활용 방안 연구」, 『건축역사연구』 95, , 2014.
논문 김종헌, 「최초의 주미조선공사관 피서옥(皮瑞屋) 개설과 그 의미에 관한 연구」, 『건축역사연구』 28-6, 한국건축역사학회, 2019. KCI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547320
논문 한철호, 「초대 주미전권공사 朴定陽의 활동과 그 의의」, 『한국사학보』 77, 고려사학회, 2019. KCI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527895
논문 이민식, 「금산 이하영 연구(1858~1929)」, 『백산학보』 50, 백산학회, 1998.
논문 한종수, 「주미 조선공사관 개설과 자주외교 상징물 연구」, 『역사민속학』 44, 한국역사민속학회, 2014.
단행본 문화재청, 『주미대한제국공사관의 역사적 가치와 활용방안』, 문화재청·문화유산국민신탁, 2012.
단행본 박정양(한철호 옮김), 『미행일기』, 국외소재문화재재단, 2014.
단행본 호러스 알렌(신복룡 역주), 『조선견문기』, 집문당, 1984.
단행본 홍인근, 『대한제국의 해외공관』, 나남, 2012.
단행본 이민식, 『개화기의 한국과 미국 관계』, 한국학술정보, 2009.
단행본 국외소재문화재재단, 『한미우호의 요람 주미대한제국공사관』, 2014.
  • type: 단행본, 논문, 도록, 자료집
  • online resource: KCI, RISS, DBpia, 네이버 학술정보 .....

Notes


Semantic Network Graph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