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토리:2022 시안"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anyang2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text-align:left" ! id || clsss || label || note || remark |- | S2022-R1-01 || Story || S2022-R1-01: 창덕궁의 탄생 || || |- | S2022-R1...)
 
16번째 줄: 16번째 줄:
 
| [[S2022-R1-07]] || Story || S2022-R1-07: 창덕궁 연경당(演慶堂)과 효명세자(孝明世子)  ||  ||  
 
| [[S2022-R1-07]] || Story || S2022-R1-07: 창덕궁 연경당(演慶堂)과 효명세자(孝明世子)  ||  ||  
 
|-
 
|-
| [[S2022-R1-08]] || Story || S2022-R1-08: 조선황실의 마지막 공간 낙선재(樂善齋) ||  || |-\r\n
+
| [[S2022-R1-08]] || Story || S2022-R1-08: 조선황실의 마지막 공간 낙선재(樂善齋) ||  ||
 
|-
 
|-
 
| [[S2022-R1-10]] || Story || S2022-R1-10: 조선 왕실의 인테리어 필수품 - 일월오봉도 병풍 ||  ||  
 
| [[S2022-R1-10]] || Story || S2022-R1-10: 조선 왕실의 인테리어 필수품 - 일월오봉도 병풍 ||  ||  

2022년 7월 6일 (수) 14:13 판

id clsss label note remark
S2022-R1-01 Story S2022-R1-01: 창덕궁의 탄생
S2022-R1-02 Story S2022-R1-02: 조선 왕들이 가장 사랑한 궁궐 창덕궁
S2022-R1-03 Story S2022-R1-03: 창덕궁을 재건했으나 그곳에 살고 싶지 않았던 광해군
S2022-R1-04 Story S2022-R1-04: 난정(蘭亭)보다 아름다운 창덕궁 후원의 세 정자
S2022-R1-05 Story S2022-R1-05: 창덕궁 애련정(愛蓮亭)과 숙종
S2022-R1-06 Story S2022-R1-06: 창덕궁 규장각(奎章閣)과 정조
S2022-R1-07 Story S2022-R1-07: 창덕궁 연경당(演慶堂)과 효명세자(孝明世子)
S2022-R1-08 Story S2022-R1-08: 조선황실의 마지막 공간 낙선재(樂善齋)
S2022-R1-10 Story S2022-R1-10: 조선 왕실의 인테리어 필수품 - 일월오봉도 병풍
S2022-R1-11 Story S2022-R1-11: 창덕궁 인정전의 샹들리에
S2022-R1-12 Story S2022-R1-12: 정희왕후의 선택, 성종
S2022-R1-13 Story S2022-R1-13: 연산군과 창덕궁
S2022-R1-14 Story S2022-R1-14: 중종반정의 현장
S2022-R1-15 Story S2022-R1-15: 문정왕후 친영
S2022-R1-16 Story S2022-R1-16: 임진왜란과 창덕궁
S2022-R1-17 Story S2022-R1-17: 광해군의 창덕궁 재건
S2022-R1-18 Story S2022-R1-18: 광해군의 후금외교
S2022-R1-19 Story S2022-R1-19: 숙종의 재궁(梓宮)을 준비하다
S2022-R1-20 Story S2022-R1-20: 안동 김씨의 대표자 순원왕후
S2022-R1-21 Story S2022-R1-21: 강화도령 철종
S2022-R1-22 Story S2022-R1-22: 제사는 간소하게, 진전다례(眞殿茶禮)
S2022-R1-23 Story S2022-R1-23: 창덕궁을 지키는 사물들
S2022-R1-24 Story S2022-R1-24: 효명세자의 공부방, 기오헌과 의두합
S2022-R1-25 Story S2022-R1-25: 갑신정변의 무대 – 관물헌
S2022-R1-26 Story S2022-R1-26: 조선왕의 휴식처 – 소요정
S2022-R1-27 Story S2022-R1-27: 역사와 함께한 수목화초
S2022-R1-28 Story S2022-R1-28: 시지(試紙)의 재활용
S2022-R1-29 Story S2022-R1-29: 장렬왕후의 만수무강을 기원하며 효종의 효심으로 지어진 만수전
S2022-R1-30 Story S2022-R1-30: 민회빈 강씨의 옥사: 인조 후궁 귀인 조씨의 저주사건
S2022-R1-31 Story S2022-R1-31: 창덕궁의 내불당
S2022-R1-32 Story S2022-R1-32: 헌종과 후궁 경빈 김씨의 사랑 공간, 낙선재와 석복헌
S2022-R1-33 Story S2022-R1-33: 피부병과 눈병 치료차 창덕궁을 출발하여 인경궁 초정(椒井)으로 목욕 가는 날
S2022-R1-34 Story S2022-R1-34: 효명세자의 서재, 의두합
S2022-R1-35 Story S2022-R1-35: 순원왕후의 사순 기념 궁중 연향
S2022-R1-36 Story S2022-R1-36: 효명세자가 대리청정을 시작하며 순조와 순원왕후에게 존호를 올리던 장소, 자경전
S2022-R1-37 Story S2022-R1-37: 숙종 후궁 숙빈 최씨의 출산일기
S2022-R1-38 Story S2022-R1-38: 누이를 위해 한글로 풀어쓴 효명세자의 문집, 학석집
S2022-R1-39 Story S2022-R1-39: 연잉군 부부가 출합하던 날
S2022-R1-40 Story S2022-R1-40: 순조와 순원왕후의 신혼시절 대조전의 벽을 장식한 구추봉도
S2022-R2-01 Story S2022-R2-01: 창경궁의 역사
S2022-R2-02 Story S2022-R2-02: 천문기상 관측시설과 과학기술 관청, 인쇄소가 있는 궁궐
S2022-R2-03 Story S2022-R2-03: 중종의 주치의 대장금
S2022-R2-04 Story S2022-R2-04: 장희빈이 저주물을 묻은 통명전
S2022-R2-05 Story S2022-R2-05: 조선시대의 신데렐라 동이
S2022-R2-06 Story S2022-R2-06: 1743년 영조의 대사례와 『대사례의궤』
S2022-R2-07 Story S2022-R2-07: 창경궁 홍화문에서 임금과 백성이 소통하다
S2022-R2-08 Story S2022-R2-08: 효명세자의 입학례와 복식
S2022-R2-09 Story S2022-R2-09: 창경궁 자경전(慈慶殿), 경축의 장소: 자경전진작(1827), 무자진작(1828), 기축진찬(1829)
S2022-R2-10 Story S2022-R2-10: 창경궁 자경전과 정조-순조-덕온공주로 이어지는 조선 왕실 3대의 효심
S2022-R2-11 Story S2022-R2-11: 창경궁 통명전에서 치러진 경빈 김씨의 성년식
S2022-R2-12 Story S2022-R2-12: 창경궁과 정조: 국왕 정조와 인간 이산(李祘)
S2022-R2-13 Story S2022-R2-13: 소현세자와 사도세자 - 창경궁에서 죽은 비운의 세자들
S2022-R2-14 Story S2022-R2-14: 효종부부의 시집간 네 딸과 사위가 머물던 곳: 통화전 서쪽의 네 전각
S2022-R2-15 Story S2022-R2-15: 숙종 후궁 숙의 김씨와 헌종 후궁 경빈 김씨의 삼간택 장소, 창경궁의 숭문당과 통명전
S2022-R2-16 Story S2022-R2-16: 성종 태실이 창경궁으로 옮겨진 사연
S2022-R2-17 Story S2022-R2-17: 혜경궁의 관례(冠禮) 60주년 기념 궁중 연향 공간, 창경궁 경춘전
S2022-R2-18 Story S2022-R2-18: 순조의 탄생 장소, 집복헌과 ‘경술대경(庚戌大慶)’의 의미
S2022-R2-19 Story S2022-R2-19: 혜경궁의 환갑잔치에 홍화문 밖에서 가난한 백성들에게 쌀을 나눠주다.(弘化門賜米圖)
S2022-R2-20 Story S2022-R2-20: 원자(元子)의 돌잔치 풍경
S2022-R2-21 Story S2022-R2-21: 인조의 둘째아들 봉림대군의 왕세자 책봉의식과 창경궁 명정전
S2022-R2-22 Story S2022-R2-22: 환경전을 생모 유빈 박씨의 시신을 모실 빈궁(殯宮)으로 삼은 순조의 효심
S2022-R2-23 Story S2022-R2-23: 장렬왕후, 창경궁 숭문당 앞뜰에서 망곡례를 행하다!
S2022-R2-24 Story S2022-R2-24: 창경궁 통명전(通明殿), 경축의 장소: 무신진찬(1848), 정축진찬(1877)
S2022-R2-25 Story S2022-R2-25: 창경궁 명정전(明政殿), 경축의 장소: 기축진찬(1829)
S2022-R3-01 Story S2022-R3-01: 가장 긴 건물 종묘 정전
S2022-R3-02 Story S2022-R3-02: 영녕전(永寧殿)의 인물들
S2022-R3-03 Story S2022-R3-03: 종묘제례는 언제, 어떻게 시작할까?
S2022-R3-04 Story S2022-R3-04: 종묘제례의 순서
S2022-R3-05 Story S2022-R3-05: 세종 - 종묘제례악의 작곡자
S2022-R3-06 Story S2022-R3-06: 종묘대제 때 희생으로 사용된 흑우와 제주도
S2022-R3-07 Story S2022-R3-07: 구천을 떠돌아야 하는 연산군과 광해군
S2022-R3-08 Story S2022-R3-08: 조선을 방문한 비숍이 목격한 1894년 고종의 종묘 행차
S2022-R3-09 Story S2022-R3-09: 제례의 준비: 어숙실(御肅室), 전사청(典祀廳), 수복방(守僕房), 악공청(樂工廳)
S2022-R3-10 Story S2022-R3-10: 종묘와 주변: 창엽문(蒼葉門), 하마비(下馬碑), 향대청(香大廳), 망묘루(望廟樓),
S2022-R3-11 Story S2022-R3-11: 백성의 일상생활을 돌보는 일곱 신을 모신 칠사당
S2022-R3-12 Story S2022-R3-12: 공신당(功臣堂)과 인물들, 배향공신(配享功臣)의 명예
S2022-R3-13 Story S2022-R3-13: 엄숙한 종묘 제사 때 왜 춤과 음악이 공연되었을까?
S2022-R3-14 Story S2022-R3-14: 일무에 사용된 무구
S2022-R3-15 Story S2022-R3-15: 종묘제례악에 가수가 있었다.
S2022-R3-16 Story S2022-R3-16: 『춘관통고』의 일무 그림이 외면 받는 이유
S2022-R3-17 Story S2022-R3-17: 둥근 섬이 있는 네모난 연못
S2022-R4-01 Story S2022-R4-01: 흥인문(興仁門)이 흥인지문(興仁之門)이 되다.
S2022-R4-02 Story S2022-R4-02: 동관왕묘(東關王廟)는 무엇일까?
S2022-R4-03 Story S2022-R4-03: 관왕묘를 중시한 조선의 왕들
S2022-R4-04 Story S2022-R4-04: 관우는 어떻게 신이 되었을까?
S2022-R4-05 Story S2022-R4-05: 조선에서 관우 사당의 역사
S2022-R4-06 Story S2022-R4-06: 조선에서 삼국지가 유행한 까닭?
S2022-R4-07 Story S2022-R4-07: 동관왕묘에 머무른 외국인
S2022-R4-08 Story S2022-R4-08: 국가 의례에서 민간 기복신앙으로의 변화
S2022-R5-01 Story S2022-R5-01: 문묘(文廟): 문선왕(文宣王) 공자(孔子)의 사당
S2022-R5-02 Story S2022-R5-02: 전묘후학(前廟後學): 문묘의 공간적 특징
S2022-R5-04 Story S2022-R5-04: 세계의 공자묘
S2022-R5-05 Story S2022-R5-05: 공신당과 문묘에 함께 모셔진 인물
S2022-R5-06 Story S2022-R5-06: 문묘에 봉안된 인물들
S2022-R5-07 Story S2022-R5-07: 문묘에 모신 우리 조상
S2022-R5-08 Story S2022-R5-08: 문묘가 있다면 무묘도 있어야지?
S2022-R5-09 Story S2022-R5-09: 세조 묘의 배향 공신 한확
S2022-R5-10 Story S2022-R5-10: 문묘에서 울리는 문묘제례악
S2022-R5-11 Story S2022-R5-11: 문묘 입구의 탕평비각
S2022-R5-12 Story S2022-R5-12: 성균관의 은행나무와 편석
S2022-R5-13 Story S2022-R5-13: 성균관 육일각과 영조 대사례
S2022-R5-14 Story S2022-R5-14: 성균관 앞의 선비 하숙촌
S2022-R5-15 Story S2022-R5-15: 성균관의 소고기 전매권 현방
S2022-R5-16 Story S2022-R5-16: 성균관 유생의 시위문화
S2022-R5-17 Story S2022-R5-17: 명륜당 안에 70여 개나 걸려 있는 각종 현판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