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헌:고문헌

hanyang2
이동: 둘러보기, 검색
region No. id1 id2 자료명 간행시기 내용 비고 소장처 note
2022-R4 07 기안:1895-1899 기안(起案) 1895-1899 법부검사국에서 각 부·재판소에 훈령·지령·조회한 것과 법부대신의 상주안의 기안문을 묶은 책 규장각 奎17277의1-v.1-33
2022-R3 63 종묘의궤 종묘의궤:1697 종묘의궤(宗廟儀軌) 1697 1697년(숙종 23)에 국초의 「국조오례의」외 종묘의례를 바탕으로 하여, 그 후 시대가 흐름에 따라 새로이 기재되어야 할 사항을 첨가하여 작성한 의궤. 4책, 필사본 규장각 奎14220
2022-R3 65 종묘의궤 종묘의궤:1706 종묘의궤(宗廟儀軌) 1706 조선 건국 이후부터 1706년(숙종 32)까지, 그리고 1794년(정조 18)부터 1800년(정조 24)까지 종묘와 영녕전의 창건, 중수, 제향 등에 관련된 일체의 사실들을 정리한 의궤이다. 조선시대 전반기 및 정조 대의 종묘와 관련된 의식 내용 및 절차를 볼 수 있는 자료이다. 장서각
2022-R3 44 제례등록 제례등록:1637-1743 제례등록(祭禮謄錄) 1637-1743 1637년(인조 15)부터 1743년(영조 19)까지 예조에서 담당한 국가 제례의 시행에 관하여 계제사에서 4책, 典享司에서 1책, 모두 5책으로 펴낸 등록 자료. 종묘와 영녕전의 열성 신주를 봉안하는 절목을 마련부터 춘향대제에 향축을 친전하기를 아뢰는 계에 이르기까지 무려 106년간의 기록 장서각 K2-4806
2022-R3 46 제례등록 제례등록:1693-1700 제례등록(祭禮謄錄) 1693-1700 종묘 동향친제·하향친제 등이 있고, 1700년 국왕이 매년 세수에 종묘 전알하는 것과 같이 왕세자가 영소전 전알을 매년 세수에 거행하는 일, 종묘 하향친제 등 병자호란 직후의 1637년(인조 15)부터 영조 대 중반에 걸친 조선 후기 제례의 전반적인 흐름을 살필 수 있음 장서각 K2-4808
2022-R3 47 제례등록 제례등록:1701-1708 제례등록(祭禮謄錄) 1701-1708 숙종대 1701~1708년까지 예조의 전향사에서 담당한 국가 제례의 시행. 1703년은 종묘 친향재계 기간에 대신이 사망했을 경우 제향에 음악을 쓰지 않거나 음복을 정지하는 일에 대한 논의, 1704년 종묘 산릉 축첩에 중국 연호를 쓰는 일 등에 대한 상소, 종묘 울창주 灌池 구멍 개조, 1705~1708년 종묘 하향친제 병자호란 직후의 1637년(인조 15)부터 영조 대 중반에 걸친 조선 후기 제례의 전반적인 흐름을 살필 수 있음 장서각 K2-4807
2022-R4 15 제례등록 제례등록:1701-1708 제례등록(祭禮謄錄) 1701-1708 숙종대 1701~1708년까지 예조의 전향사에서 담당한 국가 제례의 시행 1701년, 1703년 동관왕묘 중수 고유제와 이환안제, 본상 수리 장서각 K2-4807
2022-R3 48 제례등록 제례등록:1727-1735 제례등록(祭禮謄錄) 1727-1735 하향친제,동향친제,종묘덕종실축문개정수의,영녕전축식개정,종묘추향대제친향,동관왕묘등의논의, 예조의 전향사에서 국가 제향의 반복적 시행과 제향의 거행을 위한 절차 및 그 과정에서의 논의들 장서각 K2-4809
2022-R3 49 제례등록 제례등록:1744-1750 제례등록(祭禮謄錄) 1744-1750 계제사 등록으로 종묘, 문묘, 진전, 남단, 사묘 등에서 제례를 친행하는 일과 관련하여 왕에게 올린 계사, 시행절목 등과 관련된 문서를 모아 날짜별로 기록 병자호란 직후의 1637년(인조 15)부터 영조 대 중반에 걸친 조선 후기 제례의 전반적인 흐름을 살필 수 있음 장서각 K2-4810
2022-R5 10 제례등록 제례등록:1744-1750 제례등록(祭禮謄錄) 1744-1750 계제사 등록으로 종묘, 문묘, 진전, 남단, 사묘 등에서 제례를 친행하는 일과 관련하여 왕에게 올린 계사, 시행절목 등과 관련된 문서를 모아 날짜별로 기록 1746년, 1749년, 1750년의 문묘 작헌례 장서각 K2-4810
2022-R3 64 종묘의궤 종묘의궤:1820 종묘의궤(宗廟儀軌) 1801-1820 1816년(순조16)에 작성된 숙종·영조대의 의궤를 바탕으로 하여 만들어진 종묘의 의궤로 정조의 승하와 순조의 즉위를 계기로 발생했던 국휼, 부묘, 제향, 증수 등 종묘와 영녕전에 관련된 각종 의식을 정리함. 1책 151장, 정조를 종묘 15실에 봉안, 종묘의궤의 수정 요청 등 규장각 奎14222, 장서각 K2-2199
2022-R3 76 추존시의궤:1899 추존시의궤(追尊時儀軌) 1899 태조고황제와 신의·신덕고황후, 장조의황제와 의황후, 정조선황제와 선황후, 순조숙황제와 숙황후, 문조익황제와 익황후의 추존과 관련하여 옥책과 옥보를 태복사에서 조성한 일에 대해 장례원 주관으로 작성된 의궤 종묘책판장봉심,추존책보태묘로이동하는반차도,태조고황제신위판을환구단→인정전권안(영녕전각실위판에개제)→환구단 장서각 K2-2854, K2-2855
2022-R3 75 추존시의궤:1908 추존시의궤(追尊時儀軌) 1908 1908년 음력 4~7월, 진종·헌종·철종을 황제로, 각 왕후를 황후로 추존한 사실을 기록한 의궤. 하향대제를 위해 종묘에 거둥한 순종에 의해 진행된 대한제국 마지막 추존의례 장서각 K2-4830
2022-R3 73 추숭도감의궤:1776 추숭도감의궤(追崇都監儀軌) 1776 진종대왕과 효순왕후를 추숭하는 일과 관련한 논의와 의주 등을 기록한 의궤 창경궁에 있는 효순묘의 옛 혼전을 연복전으로 하여 종묘에 들어가기 전까지 봉안 장서각 K2-2850
2022-R2 28 추숭도감의궤:1835 추숭도감의궤(追崇都監儀軌) 1834-1835 헌종 즉위 이후 순원왕후의 명으로 효명세자(1809~1830)를 추숭하는 일과 관련한 논의와 의주 등을 기록한 의궤 함일재의 신주를 효화전에 봉안 장서각 K2-2851
2022-R3 26 국조오례통편 국조오례통편(國朝五禮通編) 1810경 이지영(1730∼?)이 『국조오례의』와 그 속편들을 총정리하여 집성한 예서 전례서 편찬의 현황과 변화 및 의절의 개정 등 장서각 K2-2122
2022-R3 50 종묘각실책보봉안도 종묘각실책보봉안도(宗廟各室冊寶奉安圖) 1899년 이후 종묘 감실에 봉안되어 있는 冊·寶의 봉안 모습을 설명과 그림으로 제시한 첩 제1실 태조~제10실 현종까지의 책보 봉안도 수록 장서각 K2-2168
2022-R5 01 광여도 광여도(廣輿圖) 18C 0003책 035면 : 문묘 / 文庙 규장각 古4790-58
2022-R5 13 해동지도 해동지도(海東地圖) 18C 0003책 035면 : 문묘 / 文庙, 0005책067면:문묘/文庙, 0007책034면:문묘/文庙 규장각 古大4709-41-v.1-8
2022-R1 18 창덕궁일기초출 창덕궁일기초출(昌德宮日記抄出) 1920 이후 이왕직에서 1920년 2월 9일부터 7월 24일까지 창덕궁에 거처한 순종의 일상을 기재한 창덕궁일기를 抄略한 것이다. 1920년대 창덕궁에 거처한 순종의 동정을 살필 수 있다. 장서각
2022-R4 11 성계집 성계집(聖乩集) 19-20C 고종대 삼성제군 신앙의 본거지인 동관왕묘 및 남관왕묘의 신앙 행태를 보여 주는 책자 왕실에서 관왕묘를 후원하고 있음이 나타남 규장각 古299.514-Se65
2022-R5 11 청구요람 청구요람(靑邱要覽) 19C 0001책 016b면 : 문묘 / 文廟 규장각 古4709-21A-v.1-2
2022-R1 06 서향각봉안총목 서향각봉안총목 미상 창덕궁 秘苑 宙合樓 西便에 있던 건물인 書香閣에서 보관하고 있던 圖書의 目錄 규장각
2022-R2 21 창경궁급비원평면도 창경궁급비원평면도(昌慶宮及祕苑平面圖) 미상 장서각 MF35-004672
2022-R3 58 종묘열성휘호 종묘열성휘호(宗廟列聖徽號) 미상 朝鮮의역대왕,왕비의徽號를 宗廟의各室별로기록한책 규장각 奎9834
2022-R1 08 어제창덕궁 어제창덕궁 영조연간 창덕궁의 추억과 조상 등에 관해 영조가 지은 시 장서각 K4-4682
2022-R1 09 어제창덕궁경희궁 어제창덕궁경희궁 영조연간 창덕궁과 경희궁에 대해 영조가 지은 시 장서각 K4-4686
2022-R1 01 궁궐지 궁궐지(宮闕誌) 조선숙종 연간, 고종연간 조선시대 궁궐의 각 전각의 명칭·위치·연혁을 기록한 사적기. 각 전각별 위치와 그곳에서 펼쳐진 중요한 정치문화적 사건들을 기록 장서각 K2-4359
2022-R5 02 묘정문묘배향교서록 묘정문묘배향교서록(廟廷文廟配享敎書錄) 철종연간 인조에서 헌종까지 묘정과 문묘에 공신을 배향 혹은 종사하는 일에 관한 교서 배향·종사에 관련된 특정 주제의 교서를 별도로 편찬 장서각 K2-2446
2022-R2 27 철인장황후추상존호옥책문 철인장황후추상존호옥책문(哲仁章皇后追上尊號玉冊文) 1908년(융희 2) 7월에 순종(純宗)이 철종(哲宗)의 비(妃)였던 철인왕후(哲仁王后)에게 ‘장황후(章皇后)’라는 호를 추존하면서 올린 책문. 장서각
2022-R2 30 헌경혜빈빈궁혼궁도감의궤 헌경혜빈빈궁혼궁도감의궤(獻敬惠嬪殯宮魂宮都監儀軌) 빈궁, 혼궁 관련 도설과 원소까지 발인하는 행렬의 반차도가 포함되어 주목된다.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22-R2 31 헌경혜빈양예도감의궤 헌경혜빈양예도감의궤(獻敬惠嬪襄禮都監儀軌) 빈궁, 혼궁 관련 도설과 원소까지 발인하는 행렬의 반차도가 포함되어 주목된다.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22-R2 35 효정전일기 효정전일기(孝正殿日記) 순조(純祖)의 왕비(王妃) 순원왕후(純元王后, 1789년~1857년)가 1857년(철종 8) 8월 초4일 술시(戌時)에 창경궁(昌慶宮) 양심각(養心閣)에서 승하한 이후 1859년(청종 10) 10월 7일 부묘(祔廟)까지 상례(喪禮)과정을 기록한 일기(日記). 수행인원, 물품 소요 등에 대한 기록들을 확인 할 수 있다. 장서각
2022-R3 32 사전사례편고 사전사례편고(祀典事例便考) 祀典과 관련한 여러 조건과 定式 등을 참고의 편의를 위해 모아 엮음 국가 제사에 쓰이는 제수의 양, 진설 방법, 만드는 법 등 설명 장서각 K2-2538
2022-R3 77 친향의궤 친향의궤(親享儀軌) 조선 후기에 시행된 각종 국가 제향에서 국왕이 친제하는 의주를 정리 국가 제사의 친향의례 파악 장서각 K2-4832
2022-R4 10 사조어제어필동남관왕묘비 사조어제어필동남관왕묘비(四朝御製御筆東南關王廟碑) 숙종, 영조, 사도세자, 정조가 친히 撰하고 글씨까지 쓴 御製御筆로 된 關羽의 廟碑銘을 탁본하여 모아 엮은 59折 118面의 탁본첩. 蝴蝶裝本1帖(59折 118面), 판본 : 拓本 규장각 奎10086
2022-R5 09 문묘향사지 문묘향사지(文廟享祀志) 조선시대 문묘에 배향된 성현의 연보와 위차 및 제향 절차를 설명해놓은 책 1권 1책 하버드옌칭도서관 TK1789/8240
2022-R3 25 국조오례의 국조오례의:1475 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 1475 성종대에 신숙주・정척 등이 왕명에 의해 오례를 중심으로 조선의 기본적인 예법과 절차 등을 규정해놓은 책. 8권 6책,목판본 규장각 奎1136
2022-R3 33 사직종묘문묘제기도감의궤 사직종묘문묘제기도감의궤:1605 사직종묘문묘제기도감의궤(社稷宗廟文廟祭器都監儀軌) 1605 1604年(선조 37) 10月부터 다음해 3月에 걸쳐서 社稷, 宗廟, 永寧殿, 敎敬殿, 文廟의 祭器를 만들 때의 기록한 의궤. 1책 43장, 필사본 규장각 奎14930
2022-R5 03 문묘비명 문묘비명:1626 문묘비명 1626 비문기타기념비(碑文其他記念碑) 탁본류 장서각 RD04189
2022-R5 14 회재선생집 회재선생집:1631 회재선생집(晦齋先生集) 1631 회재 이언적(1491~1553)의 시문집, 1575년(선조 8년) 그의 손자 이준이 주관하고 노진 이제민의 도움을 받아 출간한 것을 1631년(仁祖 9)에 옥산서원에서 중간한 것 5권 2책, 5권에는 을사사화 후 신원되는 과정과 문묘에 종사되는 과정 규장각 奎 1641, 奎3072
2022-R2 22 창경궁수리도감의궤 창경궁수리도감의궤:1633 창경궁수리도감의궤(昌慶宮修理都監儀軌) 1633 1633년(仁祖 11)에 昌慶宮을 수리한 사실을 기록한 儀軌 창경궁수리소의궤와 동일본. 규장각 奎14915
2022-R2 23 창경궁수리소의궤 창경궁수리소의궤:1633 창경궁수리소의궤 1633 1633년(仁祖11)에 창경궁을수리한사실을기록한의궤 규장각
2022-R2 15 인열왕후국휼등록 인열왕후국휼등록:1635 인열왕후국휼등록(仁烈王后國恤謄錄) 1635 1635년 12월 9일에 인렬왕후가 창경궁에서 승하한 직후부터 1636년 4월 24일 졸곡 거행까지의 기간에 계제사와 관련된 단자·전교·계·상소·차자·장계·비망기 등이 날짜별로 수록되어 있다. 장서각
2022-R3 57 종묘수리도감의궤 종묘수리도감의궤:1637 종묘수리도감의궤(宗廟修理都監儀軌) 1637 병자호란으로 파손되거나 망실된 종묘 및 신주를 수리하고 새로 개조한 사실을 기록한 등록 신주목으로 밤나무가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국립중앙박물관 2664, 장서각 K2-3587
2022-R3 52 종묘등록 종묘등록:1637-1726 종묘등록(宗廟謄錄) 1555, 1698, 1705, 1789 추존왕 목조부터 인조와 인조비 인렬왕후 한씨까지의 기록인 1555년본, 이후는 추록된 사실 등을 개정 보완. 종묘서에서 종묘와 영녕전의 각 신실에 봉안한 각종 책보의 연대, 수량, 물품 내역을 기록한 등록 장서각 K2-2171~2174
2022-R3 51 종묘개수도감의궤 종묘개수도감의궤:1639-1897 종묘개수도감의궤(宗廟改修都監儀軌) 1637, 1726 1637년 병자호란으로 훼손된 종묘를 보수하고 종묘의 신주를 수리하고 새로 만든 과정을 기록하거나, 경종의 부묘를 앞두고 1726년(영조 2) 종묘의 3실을 증축할 당시의 전말을 기록한 의궤 1637년본은 체재가 정형화되기 전인 17세기 초 의궤 양식 규장각 奎14225, 장서각 K2-3584~3586, 국립중앙박물관 2663
2022-R1 15 창덕궁수리도감의궤 창덕궁수리도감의궤:1647 창덕궁수리도감의궤(昌德宮修理都監儀軌) 1647 1647년 6월 13일부터 11월 21일까지 인경궁(仁慶宮)을 해체하고 그 자재를 이용하여, 이괄(李适)의 난(1624년, 인조 2)으로 소실된 창덕궁(昌德宮)의 대조전(大造殿)·선정전(宣政殿)·희정당(熙政堂) 등의 전각을 중건하는 과정을 기록한 의궤. 1책 183장, 인경궁을 해체한 건축자재 활용. 장서각 K2-3599, 국립중앙박물관 2622, 프랑스 파리 국립도서관
2022-R3 13 인조대왕인열왕후부묘도감의궤 인조대왕인열왕후부묘도감의궤:1651 【인조대왕인열왕후】부묘도감의궤(【仁祖大王仁烈王后】祔廟都監儀軌) 1651 1651년(효종2) 7월 7일에 혼전인 영사전과 숙녕전에서 모시고 있던 인조와 그의 비 인렬왕후의 신주를 종묘에 부묘한 과정을 기록한 의궤 신주를 모시고 혼전에서 종묘로 가는 인조대왕반차도와 인열왕후반차도가 수록 장서각 K2-2255, K2-2256
2022-R4 16 창덕궁창경궁수리도감의궤 창덕궁창경궁수리도감의궤:1652 창덕궁창경궁수리도감의궤(昌德宮昌慶宮修理都監儀軌) 1652 1652년(효종 3) 1월부터 4월까지 진행된 창덕궁(昌德宮)과 창경궁(昌慶宮), 양궁의 수리 공사를 기록한 의궤. 승군(僧軍)을 인경궁·동관왕묘 등에 분장 등이 기술됨 규장각 奎14912, 국립중앙박물관 2622
2022-R1 14 창덕궁만수전수리도감의궤 창덕궁만수전수리도감의궤:1657 창덕궁만수전수리도감의궤(昌德宮萬壽殿修理都監儀軌) 1657 1책 175장 장서각 K2-3598
2022-R3 55 종묘서일기책 종묘서일기책:1658-1735 종묘서일기책(宗廟署日記冊) 1639-1897 종묘서에서 일지형식으로 기록한글. 총10책. 종묘 담장이 무너진 일, 1819년 효명세자의 관례 날자를 정하고 종묘, 영녕전, 경모궁에 미리 고유 장서각 K2-2184
2022-R2 36 효종국장도감의궤 효종국장도감의궤:1659 효종국장도감의궤(孝宗國葬都監儀軌) 1659 창덕궁 대조전에서 5월에 승하하여 10월에 장사지낸 효종(孝宗, 1619~1659)의 국장 과정(창덕궁 선정전 이안, 창경궁의 문정전에 신주를 봉안 등)을 기록한 의궤 승채색반차도. 국립고궁박물관, 규장각 奎 13527, 奎 14866
2022-R3 23 효종대왕부묘도감의궤 효종대왕부묘도감의궤:1661 【효종대왕】부묘도감의궤(【孝宗大王】祔廟都監儀軌) 1661 효종의 삼년상을 마치고 종묘 정전의 인종·명종 신주를 영녕전으로 옮기는 조천 의식 거행, 3일 후 혼전인 경모전에 봉안했던 효종의 신주를 종묘의 정전에 봉안(반차도 有) 조천의식의 거행 방식은 1757년 『국조상례보편』 이전의 부묘 의식을 볼 수 있는 중요 자료 장서각 K2-2274, K2-2240
2022-R3 38 영녕전수개도감의궤 영녕전수개도감의궤:1667 영녕전수개도감의궤(永寧殿修改都監儀軌) 1667 1667년(顯宗 8) 종묘 영녕전의 개수 과정을 기록 1책, 182장 필사본 국립중앙박물관, 장서각 K2-3571, K2-3572, 규장각 奎奎14224
2022-R3 08 신덕왕후부묘도감의궤 신덕왕후부묘도감의궤:1669 【신덕왕후】부묘도감의궤(【神德王后】祔廟都監儀軌) 1669 태조의 둘째 왕비 신덕왕후 강씨(?~1396)의 신주를 종묘에 새롭게 모시는 과정을 기록한 의궤 신주를 모시고 종묘로 가는 반차도 수록 장서각 K2-2224, K2-2225
2022-R3 11 인선왕후부묘도감의궤 인선왕후부묘도감의궤:1676 【인선왕후】부묘도감의궤(【仁宣王后】祔廟都監儀軌) 1676 효종의 정비 인선왕후의 신주를 종묘에 부묘한 과정을 기록한 의궤 부묘 의식은 종묘 하향대제와 겸하여 거행. 제 10실 봉안. 반차도 수록 장서각 K2-2226, K2-2241
2022-R3 21 현종대왕부묘도감의궤 현종대왕부묘도감의궤:1677 【현종대왕】부묘도감의궤(【顯宗大王】祔廟都監儀軌) 1677 1676년(숙종 2) 현종(1641~1674)의 국상을 마치고 신주를 종묘에 모시는 과정을 기록한 의궤 현종의 부묘 의식은 종묘 동향대제와 겸하여 거행. 반차도 수록 장서각 K2-2227, K2-2228
2022-R3 56 종묘수개등록 종묘수개등록:1678-1692 종묘수개등록(宗廟修改謄錄) 1658-1735 1658년(효종 9)에서 1749년(영조 16) 사이에 행해진 종묘, 사직의 개수 및 제사에 관한 기록 규장각 奎12908
2022-R4 08 동문송별도 동문송별도:1682 동문송별도(東門送別圖) 1682 유창(1614-1692)이동대문밖관왕묘에서의송별연을베풀고있는장면을그림 그림의 중심은 관왕묘이고, 오른쪽에 동대문이 작게 그려져 있음 규장각 古軸2435-2
2022-R3 02 명성왕후부묘도감의궤 명성왕후부묘도감의궤:1686 【명성왕후】부묘도감의궤(【明聖王后】祔廟都監儀軌) 1686 현종비 명성왕후(1642~1683)의 국상을 마치고 신주를 종묘에 모시는 과정을 기록한 의궤 부묘도감도청의궤(祔廟都監都廳儀軌) 장서각 K2-2229, K2-2245
2022-R2 18 장렬왕후국장도감의궤 장렬왕후국장도감의궤:1688 장렬왕후국장도감의궤(莊烈王后國葬都監儀軌) 1688 8~12월의 장렬왕후 조씨의 국장 과정. 왕후의 빈전은 9월 1일 창경궁 환경전에 차려졌고, 12월 15일 발인하여 16일 동구릉 경내에 안장. 신위는 3년상을 마치고 종묘에 부묘(祔廟)될 때까지 혼전(魂殿)인 창경궁 문정전(文政殿)에 모셔짐 환경전에 모셔졌던 장렬왕후의 재실과 혼백함, 여러 의물을 가마에 싣고 능소로 가는 발인반차도 국립중앙박물관
2022-R3 14 장렬왕후부묘도감의궤 장렬왕후부묘도감의궤:1690 【장렬왕후】부묘도감의궤(【莊烈王后】祔廟都監儀軌) 1690 인조의 둘째 왕비 장렬왕후의 국상을 마치고 신주를 종묘에 모시는 과정을 기록한 의궤 부묘 의식은 종묘 동향대제와 겸하여 거행. 반차도 수록 장서각 K2-2230, K2-2231
2022-R3 01 단종대왕정순왕후복위부묘도감의궤 단종대왕정순왕후복위부묘도감의궤:1698 【단종대왕정순왕후복위】부묘도감의궤(【端宗大王定順王后復位】祔廟都監儀軌) 1698 12월 27일 단종과 그의 원비 정순왕후를 복위시켜 그 신주를 종묘 영녕전에 부묘하기까지의 기록. 신주를 모시고 종묘로 가는 행렬을 그린 반차도 수록 장서각 K2-2223, K2-2259
2022-R2 16 인현왕후국휼등록 인현왕후국휼등록:1701 인현왕후국휼등록(仁顯王后國恤謄錄) 1701 1701년 8월 14일 인현왕후가 창경궁 경춘전에서 승하하여 환경전에 빈전을 마련하였다는 기록을 시작으로 계령, 성복, 습, 백관거애 등 여러 국상 의식의 거행 장소와 날짜·길시·장소·복색·복제·의주 등이 기재되어 있다. 인현왕후 민씨(1667~1701)가 승하한 직후부터 산릉에 묻힐 때까지 약 5개월 동안의 기록 장서각
2022-R1 02 대보단사연설 대보단사연설:1705 대보단사연설 1705 明神宗의恩義에報答하기위해 昌德宮 後苑에大報壇을設置한 경위를 적은글. 규장각
2022-R5 04 문묘수개등록 문묘수개등록:1711 문묘수개등록(文廟修改謄錄) 1711 1638年(仁祖 16)부터 1711年(숙종 37)까지 禮曹典享司에서 文廟의 개수, 祭禮 절차상 수정된 점, 成均館의 改修 등에 관한 사실들을 기록한 등록. 1책 33장, 필사본 규장각 奎12888
2022-R3 04 숙종대왕인경왕후인현왕후부묘도감의궤 숙종대왕인경왕후인현왕후부묘도감의궤:1722 【숙종대왕인경왕후인현왕후】부묘도감의궤(【肅宗大王仁敬王后仁顯王后】祔廟都監儀軌) 1722 숙종의국상을마치고숙종·인경왕후·인현왕후의신주를종묘에모시는과정을기록한의궤. 신주를 모시고 종묘로 향하는 행렬의 반차도 수록 장서각 K2-2232, K2-2233
2022-R3 43 제등록 제등록:1724-1725 제등록(祭謄錄) 1678-1692 예조에서 1678년(숙종 4)부터 1692년(숙종 18)까지 국가 제사에 관한 사항을 기록한 등록 장서각 K2-2549
2022-R2 09 숙빈최씨신도비명 숙빈최씨신도비명:1725 숙빈최씨신도비명(淑嬪崔氏神道碑銘) 1725 금평위박필성에게지어비석에새기게한비문 장서각 K2-3944
2022-R2 13 영조어필-숙빈최씨사우제문원고 영조어필-숙빈최씨사우제문원고:1726 영조어필-숙빈최씨사우제문원고(英祖御筆-淑嬪崔氏祠宇祭文原稿) 1726 생모의 생신을 맞이하여 사당에 전배례를 행하고자 짓고 쓴 제문의 원고 1절첩, 종이 바탕에 먹 한국학중앙연구원
2022-R3 30 부묘도감도청의궤 부묘도감도청의궤:1726 부묘도감도청의궤(祔廟都監都廳儀軌) 1726 경종의 국상을 마치고 경종 및 단의왕후의 신주를 종묘에 모시는 과정을 기록한 의궤 채색 반차도 수록 장서각 K2-2234
2022-R2 08 빈궁도감의궤 빈궁도감의궤:1728 빈궁도감의궤(殯宮都監儀軌) 1728 1728년(영조 4) 11월 16일, 孝章世子(1719~1728)가 昌慶宮 進修堂에서 세상을 떠난 이후, 殯宮都監에서 효장세자를 장례 지내기 이전까지 빈궁에 모시는 기간 동안의 일체 사항을 종합하여 완성한 의궤 K2-2951 장서각
2022-R2 01 경종국장도감의궤 경종국장도감의궤:1728-1731 경종국장도감의궤(景宗國葬都監儀軌) 1724-1725 8월 25일 경종(景宗, 1688~1724, 재위 1720~1724)이 승하한 후 거행된 국장의식의 과정과 절차를 기록. 발인반차도 창경궁 환취정에서 승하→창덕궁 선정전으로 옮겨 봉안→혼전인 창경궁 문정전에 반우 국립중앙박물관-어람용, 奎 13566, 奎 14871
2022-R3 41 전향사제례등록목록 전향사제례등록목록:1731 전향사제례등록목록(典享司祭禮謄錄目錄) 1731 『典享司祭禮謄錄』의 목록만을 따로 정리한 책으로, 1635~1731년에 거행된 제례 관련 내용이 수록. 1책, 필사본 장서각 K2-2547
2022-R3 03 선의왕후부묘도감의궤 선의왕후부묘도감의궤:1732 【선의왕후】부묘도감의궤(【宣懿王后】祔廟都監儀軌) 1732 경종의 계비인 선의왕후의 국상을 마치고 혼전인 경휘전에서 신주·책보·교명 등을 종묘로 모시는 과정을 기록한 의궤 종묘 제12실에 봉안 및 제향을 올림. 반차도 수록 장서각 K2-2235, K2-2236
2022-R3 27 단경왕후복위부묘의궤 단경왕후복위부묘의궤:1739 단경왕후복위부묘의궤(端敬王后復位祔廟儀軌) 1739 조선 11대 왕 중종의 폐비 신씨(1487~1557)를 복위시켜 종묘에 부묘하는 전 과정을 기록한 의궤 신주를 모시고 종묘로 가는 반차도 수록 장서각 K2-2220
2022-R3 31 부묘도감의궤 부묘도감의궤:1739 부묘도감의궤(중종비신씨)(祔廟都監儀軌(中宗妃愼氏)) 1739 중종의 원비 단경왕후를 복위시켜 그 신주를 종묘에 부묘한 일을 기록한 의궤 신주를 혼전에서 종묘로 모시고 가는 반차도 장서각 K2-2242
2022-R2 34 효장궁일기 효장궁일기:1741-1842 효장궁일기(孝章宮日記) 1728-1731 영조의 맏아들 효장세자(孝章世子)(1719년~1728년)가 1728년 11월 16일에 훙서(薨逝)한 후부터 1731년 정월 초3일에 효장 세자(孝章世子)의 신주(神主)를 창의궁(彰義宮)으로 이봉(移奉)할 때까지의 상례(喪禮) 의식을 기록한 일기(日記). 장서각
2022-R3 66 종묘의궤속록 종묘의궤속록:1741-1842 종묘의궤속록(宗廟儀軌續錄) 1741, 1842 종묘의궤(1697, 숙종 23)의 속록으로 1741년(영조 17), 1842년(헌종 8)에 작성됨. 2책, 도/필사본 규장각 奎14221, 규장각 奎14223
2022-R2 11 연복전추숭의주 연복전추숭의주:1751 연복전추숭의주(延福殿追崇儀註) 1751 연복전에 모셔져 있던 효장세자와 효순왕후를 추숭하는 의주를 후대에 전사한 기록물 연복전의 의례를 알 수 있는 흔치 않은 자료 장서각 K2-2464
2022-R3 12 인원왕후부묘도감의궤 인원왕후부묘도감의궤:1759 【인원왕후】부묘도감의궤(【仁元王后】祔廟都監儀軌) 1759 숙종비 인원왕후(1687~1757)의 국상을 마치고 신주를 종묘에 모시는 과정을 기록한 의궤 혼전인 효소전에서 신주·책보·교명 등을 종묘 제11실로 봉안 장서각 K2-2237, K2-2238
2022-R5 08 문묘향사록 문묘향사록:1765 문묘향사록(文廟享祀錄) 1765 1765년(영조 41)에 영조의 명에 의해 김귀주·구상 등이 편찬한 책으로 문묘 및 계성사, 숭절사 등에 제향되는 위패의 배치, 그리고 각 향사인의 간단한 인적 정보와 행적 등을 정리한 책 1책 31장, 圖, 목판본. 성균관 대성전의 제도 정비 과정을 이해하는 데 기본 자료 규장각 奎1451, 장서각 K2-412
2022-R1 05 봉모당봉안어서총목 봉모당봉안어서총목:1776 봉모당봉안어서총목 1776 宙合樓西南즉古閱武亭趾에건립한것으로譜牒을 비롯하여 御製·御筆등을 奉安하던 곳인 奉謨堂에 소장되어있는 御書의 總目錄 규장각, 장서각
2022-R3 74 추숭의주 추숭의주:1776 추숭의주(追崇儀註) 1776 정조가 자신이 입직한 효장세자(1719~1728)와 효순세자빈(1715~1751)을 추숭할 때의 관련 의주를 수록 추숭 의식을 거행할 때의 의식 절차와 기구, 왕의 服色 등 정리 장서각 K2-2853
2022-R3 80 휘호첩 휘호첩:1777 휘호첩(徽號帖) 1777 조선의 역대 왕과 왕후, 추존왕의 시호를 돌림자 순으로 구획하여 기록한 첩이다. 조선시대 왕· 왕후 및 추존왕의 시호에 포함된 휘호를 돌림자 중심으로 나열 장서각 K2-3088
2022-R2 20 진호도감도청의궤 진호도감도청의궤:1778 진호도감도청의궤(進號都監都廳儀軌) 1778 1778년 3월 5일부터 5월 6일까지 혜경궁 홍씨(1735~1815)에게 존호를 올리는 절차와 의주를 기록한 의궤 6일 통명전에서 혜경궁에 호를 올리고, 죽책과 ‘효강혜빈지인’이란 옥인을 올림 장서각 K2-2846
2022-R3 10 영종대왕정성왕후부묘도감의궤 영종대왕정성왕후부묘도감의궤:1778 【영종대왕정성왕후】부묘도감의궤(【英宗大王貞聖王后】祔廟都監儀軌) 1778 영조의 국상을 마치고 영조 및 정성왕후, 진종, 효순왕후의 신주를 종묘에 모시는 과정을 기록한 의궤 신주를 모시고 종묘로 가는 반차도 수록 장서각 K2-2239, K2-4769
2022-R3 68 종묘책보등록 종묘책보등록:1783 종묘책보등록(宗廟冊寶謄錄) 1783 종묘서에서 종묘와 영녕전의 각 신실에 봉안한 각종 책보의 연대, 수량, 물품 내역을 기록한 등록 각 시대별로 각 신실의 책보 봉안 상황을 파악할 수 있다. 장서각 K2-2212
2022-R4 09 무안왕묘비명탁본 무안왕묘비명탁본:1785 무안왕묘비명탁본 1785 관우의 충절을 기려 제사 지내던 동묘(東廟 동관왕묘)에 1785년(정조 9) 정조(正祖)가 세운 무인왕묘비(武安王廟碑)를 탁본한 것 비명은 정조가 직접 글을 짓고 전서(篆書)로 씀. 맨 끝에 관제(關帝) 제사 때 악가(樂歌)로 쓰도록 하였음 국립중앙박물관 M번 209
2022-R4 13 유연당선생문집 유연당선생문집:17C 유연당선생문집(然堂先生文集) 17C 김대현(1553·1602)의 시문집으로 간행은 미상 잡저 제6편 말미의 「총서」는 동묘에 관한 것 등을 간략히 기록 규장각 奎5472-v.1-2
2022-R3 16 정조부묘도감의궤 정조부묘도감의궤:1802 【정조】부묘도감의궤(【正祖】祔廟都監儀軌) 1802 8월에 정조의 신주를 혼전인 효원전에서 종묘로 옮겨 부묘한 과정을 기록한 의궤 수리소의궤에는 종묘를 수리한 내용이 기록 장서각 K2-4770
2022-R3 17 정종대왕부묘도감의궤 정종대왕부묘도감의궤:1802 【정종대왕】부묘도감의궤(【正宗大王】祔廟都監儀軌) 1802 정조의 삼년상을 마치고 신주를 종묘에 부묘한 과정을 기록한 의궤 신주를 모시고 혼전인 효원전에서 종묘로 가는 채색 반차도 장서각 K2-2260, K2-2261
2022-R1 10 인정전영건도감의궤 인정전영건도감의궤:1805 인정전영건도감의궤(仁政殿營建都監儀軌) 1805 1803년(純祖 3) 12월에서 1804년 12월에 걸쳐 昌德宮의 正殿인 仁政殿을 營建한 사실을 기록한 儀軌 1책 156장 규장각 奎14334~14335
2022-R3 15 정순왕후부묘도감의궤 정순왕후부묘도감의궤:1807 【정순왕후】부묘도감의궤(【貞純王后】祔廟都監儀軌) 1807 영조의 계비 정순왕후의 신주를 종묘에 부묘한 과정을 기록한 의궤 혼전인 효안전에서 종묘로 가는 반차도 장서각 K2-2257, K2-2258
2022-R2 33 혜경궁진찬소의궤 혜경궁진찬소의궤:1809 혜경궁진찬소의궤(惠慶宮進饌所儀軌) 1809 순조의 할머니이자 정조의 어머니인 혜경궁 홍씨의 관례주갑(75세) 경축 행사를 기록한 의궤. 1책 64장. 필사본 장서각 K2-2882, 대영박물관
2022-R2 29 헌경왕후애책문 헌경왕후애책문:1815 헌경왕후애책문(獻敬王后哀冊文) 1815 1815년(純祖 15년) 12월 15일에 莊祖后인 獻敬王后 洪氏가 81세로 昌慶宮 景春殿에서 서거하자 이를 애도하기 위해에게 올린 哀冊文 장서각
2022-R2 32 혜경궁양례일기 혜경궁양례일기:1815 혜경궁양례일기(惠慶宮襄禮日記) 1815 1815년(순조 15) 12월 15일 惠慶宮 洪氏(1735~1815)가 昌慶宮의 景春殿에서 薨逝한 후 1816년(순조 16) 3월 14일까지 거행된 喪禮의 전반을 時日에 따라 기록한 자료 1815년 12월 15일부터 1816년 3월 14일까지 행해진 혜경궁의 상례 기록 장서각
2022-R2 14 왕세자입학도첩 왕세자입학도첩:1817 왕세자입학도첩(王世子入學圖帖) 1817 1817년(순조17) 3월 17일 순조의 맏아들인 효명세자의 성균관 입학례를 그린 6폭의 그림. (의식장면 5폭, 진하례(進賀禮) 1폭), 의주(儀註), 시강원 관리소작 賦, 남공철 跋文으로 구성. 서울시유형문화재제307호. 고려대학교 중앙도서관
2022-R3 22 효의왕후부묘도감의궤 효의왕후부묘도감의궤:1823 【효의왕후】부묘도감의궤(【孝懿王后】祔廟都監儀軌) 1823 정조의 비 효의왕후의 신주를 종묘에 부묘한 과정을 기록한 의궤 종묘수리작업, 효희전에서 종묘 신실 봉안 후 부묘 장서각 K2-2270, K2-2271
2022-R1 03 동궐도 동궐도:1826-1830 동궐도(東闕圖) 1826-1830 조선후기 순조 연간에 도화서 화원들이 동궐인 창덕궁과 창경궁의 전각과 궁궐 전경을 조감도식으로 그린 궁궐그림 2점. 16권. 절첩식화첩, 총길이 576×273cm의 그림. 국보 제249호. 고려대학교 박물관, 동아대학교 박물관,
2022-R2 17 자경전진작정례의궤 자경전진작정례의궤:1827 자경전진작정례의궤(慈慶殿進爵整禮儀軌) 1827 1827년 2월 효명세자의 대리청정과 7월 원손(헌종)의 탄생기념으로 창경궁 자경전에서 순조와 순원왕후 김씨에게 진연과 존호를 올리고 거행한 진작을 기록한 의궤. 자경전진작정례의궤. 활자본(整理字), 宮體筆寫本(언해본). 3卷 3冊, 圖 규장각 奎14362, 古4256.5-2, 장서각 K2-2858
2022-R2 07 무자진작의궤 무자진작의궤:1828 무자진작의궤(戊子進爵儀軌) 1828 창경궁 자경전과 연경당에서 효명세자가 올린 순조비 순원왕후의 40세 기념행사를 기록한 의궤. 효명세자가 직접 만든 악장과 정재를 선보였고, 내연에 무동이 출연하였다. 활자본(整理字) 규장각 奎14363~14366, 장서각 K2-2859~2860
2022-R2 02 기축진찬도병 기축진찬도병:1829 기축진찬도병(己丑進饌圖屛) 1829 제1폭은 효명세자와 신하가 올린 시, 2~4폭은 명정전 외진찬도. 5~7폭은 자경전 내진찬도. 제 8폭은 좌목으로 구성. 총8폭 국립중앙박물관
2022-R2 03 기축진찬의궤 기축진찬의궤:1829 기축진찬의궤(己丑進饌儀軌) 1829 1829년 순조 등극 30주년 및 보령 40세를 맞이하는 기념의 진찬을 기록한 의궤. 활자본(整理字). 보물 제1901호 규장각 奎14367~14370, 장서각 K2-2873
2022-R2 25 창경궁영건도감의궤 창경궁영건도감의궤:1830-1834 창경궁영건도감의궤(昌慶宮營建都監儀軌) 1830-1834 1830년 8월 1일 화재로 인하여 환경전, 경춘전, 양화당, 함인정 등이 모두 소실됨으로써 1830-1834년(순조 30-34)에 창경궁을 영건한 사실을 기록한 의궤. 1책 104장 규장각 奎14324~14327, 장서각 K2-3597, 고궁박물관 305-116
2022-R1 16 창덕궁영건도감의궤 창덕궁영건도감의궤:1834 창덕궁영건도감의궤(昌德宮營建都監儀軌) 1834 1833년 10월 17일 창덕궁 화재 후 燒失된 전각의 영건 과정에서 논의와 관서별로 왕래한 문서, 소용된 물품, 물력의 구획, 영건에 참여한 모든 인물의 명단을 상세히 파악할 수 있는 사료이다. 1833년(순조 33) 10월부터 1834년(순조 34) 9월까지 창덕궁(昌德宮) 영건의 전말을 기록한 의궤이다. 규장각奎奎14318~14321, 장서각 K2-3600
2022-R2 04 도감의궤 도감의궤:1834 도감의궤(昌慶宮營建都監儀軌) 1834
2022-R3 36 순종대왕추상존호악장 순종대왕추상존호악장:1835 순종대왕추상존호악장(純宗大王追上尊號樂章) 1835 순조에게 존호를 추상할 때 악장문 제술관으로 임명된 김경선이 제진한 악장문 존숭 의식을 위해 지어 올린 악장문 장서각 K2-2827,
2022-R3 62 종묘영녕전증수도감의궤 종묘영녕전증수도감의궤:1836 종묘영녕전증수도감의궤(宗廟永寧殿增修都監儀軌) 1836 종묘와 영녕전을 증수할 때의 전말을 기록하고 있는 의궤 (종묘 정전 4칸, 영녕전 좌우 각 3칸을 증수, 정전 및 제기고 등을 수리한 전말.) 2권 1책, 신주의 이안·환안 시의 의주와 행례. 규장각 奎14226, 장서각 K2-2189, K2-3588~3589.
2022-R3 07 순종대왕익종대왕부묘도감의궤 순종대왕익종대왕부묘도감의궤:1837 【순종대왕익종대왕】부묘도감의궤(【純宗大王翼宗大王】祔廟都監儀軌) 1837 순조의 3년상을 마치면서 순조와 익종(효명세자)의 신주를 종묘에 부묘하는 과정을 기록한 의궤 효성전·효화전에 모시던 순조·헌종의 신주를 종묘 정전에 봉안. 종묘 정전에 있던 경종의 신주는 영녕전으로 옮기는 조천 의식 거행 장서각 K2-2243, K2-2249
2022-R2 05 무신진찬도병 무신진찬도병:1848 무신진찬도병(戊申進饌圖屛) 1848 무신진찬도를 병풍으로, 〈인정전진하도(仁政殿陳賀圖)〉 〈통명전진찬도(通明殿進饌圖)〉, 〈통명전야진찬도(通明殿夜進饌圖)〉,〈통명전헌종회작도(通明殿憲宗會圖)〉〈좌목(座目)〉으로 구성. 총8폭으로 1~7폭에는 진찬도, 제 8폭은 좌목으로 구성. 국립중앙박물관
2022-R2 06 무신진찬의궤 무신진찬의궤:1848 무신진찬의궤(戊申進饌儀軌) 1848 1848년에 헌종이 대왕대비 순원왕후 김씨의 회갑연, 왕대비 신정왕후 조씨의 망오(41세)를 기념하여 창경궁 통명전에서 거행한 진찬의 기록의궤. 활자본(整理字) 규장각 奎14371~14373, 장서각 K2-2874, 고궁박물관
2022-R3 20 헌종대왕효현왕후부묘도감의궤 헌종대왕효현왕후부묘도감의궤:1851 【헌종대왕효현왕후】부묘도감의궤(【憲宗大王孝顯王后】祔廟都監儀軌) 1851 1851년 헌종과 그의 비 효현왕후의 신주를 종묘에 부묘한 과정을 기록한 의궤, 영녕전 조천 고동가제. 헌종대왕·효현왕후의 신주를 혼전에서 종묘로 모셔가는 반차도 수록 장서각 K2-2269
2022-R3 40 장헌세자추상존호옥책문 장헌세자추상존호옥책문:1855 장헌세자추상존호옥책문(莊獻世子追上尊號玉冊文) 1855 장헌세자에게 존호를 올린 옥책을 탁본하여 꾸민 첩 국립고궁박물관, 종묘13346(옥책), 종묘13708(금인) 장서각 K2-4940,
2022-R4 03 강화부외규장각봉안책보보략어제어필급장치서적형지안 강화부외규장각봉안책보보략어제어필급장치서적형지안:1856 강화부외규장각봉안책보보략어제어필급장치서적형지안(江華府外奎章閣奉安冊寶譜略御製御筆及藏置書籍形止案) 1856 외규장각(外奎章閣)에 왕실 구성원의 책보를 봉안하고 작성한 형지안(形止案) 관왕묘현판족자를 담은 1궤 등 모두 6개의 궤를 탁자 위에 봉안 국립중앙박물관
2022-R1 11 인정전중수도감의궤 인정전중수도감의궤:1857 인정전중수도감의궤(仁政殿重修都監儀軌) 1857 1857년(哲宗 8)에 昌德宮 正殿인 仁政殿을 重修한 사실을 기록한 儀軌 1책 109장, 圖 규장각 奎14338~14343, 장서각 K2-3577
2022-R3 34 순조대왕개상시호묘호추상존호순원왕후추상존호도감의궤 순조대왕개상시호묘호추상존호순원왕후추상존호도감의궤:1857 순조대왕개상시호묘호추상존호순원왕후추상존호도감의궤(純祖大王改上諡號廟號追上尊號純元王后追上尊號都監儀軌) 1857 순조와 순원왕후에게 개정된 묘호와 존호를 추상할 때의 과정을 기록한 의궤 철종조에 이루어진 순조의 묘호 개정과 시호의 추상 과정 장서각 K2-3073
2022-R3 06 순조대왕·순원왕후추상존호도감의궤 순조대왕·순원왕후추상존호도감의궤:1858 【순조대왕·순원왕후】추상존호도감의궤(【純祖大王·純元王后】追上尊號都監儀軌) 1858 4월 1일부터 5월 15일까지 순조대왕과 순원왕후의 존호를 추상하는 일과 관련한 논의와 의주 등을 기록한 의궤 17일 종묘 책보장을 봉심, 11일 순조대왕 추상존호 책보 내출하여 종묘에 옮김 장서각 K2-2847
2022-R3 05 순원왕후부묘도감의궤 순원왕후부묘도감의궤:1859 【순원왕후】부묘도감의궤(【純元王后】祔廟都監儀軌) 1859 순조의 비 순원왕후의 신주를 종묘에 부묘한 과정을 기록한 의궤 신주를모시고혼전인효정전에서종묘로가는행렬의반차도 장서각 K2-2247, K2-2248
2022-R3 35 순조대왕추상존호순원왕후추상존호도감의궤 순조대왕추상존호순원왕후추상존호도감의궤:1861 순조대왕추상존호순원왕후추상존호도감의궤(純祖大王追上尊號純元王后追上尊號都監儀軌) 1861 1월 순조와 순원왕후에게 존호를 추상한 과정을 기록한 의궤 19세기 왕실 존호 의식의 전 과정을 자세히 기록 장서각 K2-2825, K2-2826
2022-R1 04 매천야록 매천야록:1864-1910 매천야록(梅泉野錄) 1864~1910 한말에 난정(亂政)을 주도하였던 위정자의 사적인 비리·비행이라든가, 외세의 악랄한 광란, 특히 일제의 갖은 침략상을 낱낱이 드러내고 있으며, 이에 대한 우리 민족의 끈질긴 저항 등이 담겨져 있음 황현이 47년간 쓴 역사서 전라남도
2022-R3 19 철종대왕부묘도감의궤 철종대왕부묘도감의궤:1866 【철종대왕】부묘도감의궤(【哲宗大王】祔廟都監儀軌) 1866 철종의 삼년상을 마치고 신주를 종묘에 부묘한 과정을 기록한 의궤 19세기 국왕의 부묘 의례를 통해 고종 초기 종묘 의례 제도의 운영 실태 장서각 K2-2264, K2-2265, K2-2266
2022-R5 15 제향월령 제향월령:1867 제향월령(祭享月令) 1867 예조에서 제향을 거행하기 위해 올리는 계문의 양식을 정리하여 편찬 4~5월까지 시행 예정인 경모궁의 삭제·망제·하향대제, 문선왕석전제 장서각 K2-2567
2022-R5 07 문묘통고 문묘통고:1872 문묘통고(文廟通考) 1872 孔子의 사당인 文廟에 配享된 孔子와 儒敎의 聖賢들의 行蹟을 기록한 책. 6권 2책, 목판본 규장각 奎中3982
2022-R3 39 익종태실추정봉전칭하문 익종태실추정봉전칭하문:1875 익종태실추정봉전칭하문(翼宗太室追定奉箋稱賀文) 1875 흥인군 이최응 등이 익종대왕과 대왕대비 및 왕비전에 축원문을 올린 전문 익종의 신위를 종묘에서 불천위로 지정, 세헌례를 올리고 존호가상을 의결 장서각 K2-2166, K2-2167
2022-R4 05 관성제군성적도지속집 관성제군성적도지속집:1876 관성제군성적도지속집(關聖帝君聖蹟圖誌續集) 1876 淸의 도인인 노담이 관우의 전적을 모아 편찬한 『관제성적도지전집』의 빠진 부분을 보충하고 추가. 권3의 廟祠考에 우리나라의 동관왕묘와 남관왕묘에 대한 도설 규장각 古1422-21
2022-R2 19 정축진찬의궤 정축진찬의궤:1877 정축진찬의궤(丁丑進饌儀軌) 1877 창경궁 통명전에서 신정왕후 조씨의 칠순을 경축하는 존호와 진찬 행사를 합쳐 편찬한 의궤. 필사본, 활자본(整理字,1890) 규장각 奎14378~14402, 장서각 K2-2875, 고궁박물관
2022-R3 18 철인왕후부묘도감의궤 철인왕후부묘도감의궤:1880 【철인왕후】부묘도감의궤(【哲仁王后】祔廟都監儀軌) 1880 철종의 비 철인왕후의 삼년상이 끝나고 신주를 효휘전에서 종묘로 부묘한 과정을 기록한 의궤 부묘 의례는 종묘 추향대제와 겸행 장서각 K2-2262, K2-2263
2022-R4 04 계궁지 계궁지:1881 계궁지(桂宮誌) 1881 조선에서 중국 도교의 주요 천신인 문창제군과 관련한 경전 및 기타 문건들을 모아 편집한 책 마지막면 발문을 쓴 유운(劉雲)은 『성계집』에 의하면 1877년 무렵 흥인문 동관왕묘를 관리하는 직임에 종사한 인물 규장각 奎中2119
2022-R4 12 예조초기 예조초기:1886-1888 예조초기(禮曹草記) 1886, 1887, 1888 동관왕묘, 남관왕묘, 북관왕묘의 수보에 관한 사항을 보고한 내용 규장각 奎 93318, 72274 / 奎 93344,172273 / 奎 172272
2022-R3 29 묘호도감의궤 묘호도감의궤:1890 묘호도감의궤(廟號都監儀軌) 1890 정월에 영조의 묘호를 ‘영종’에서 ‘영조’로 고쳐 올리고, 그의 비인 정성왕후와 정순왕후에게 존호를 추상하는 의례를 정리한 의궤 책보를 올리는 의식을 거행하기 위해 종묘로 향하는 행렬의 반차도 장서각 K2-3062
2022-R3 72 추상존호도감의궤 추상존호도감의궤:1890 추상존호도감의궤(追上尊號都監儀軌) 1890 9월 28일부터 12월 6일까지 익종대왕(1809~1830)과 신정왕후(1808~1890)의 추상존호를 올리는 일과 관련한 논의와 의주 등을 기록한 의궤 종묘 책보장과 효모전의 책보장을 봉심. 신정왕후 추상 존호 책보를 효모전에 옮기는 반차도 장서각 K2-2848, K2-2849
2022-R3 09 신정왕후부묘도감의궤 신정왕후부묘도감의궤:1892 【신정왕후】부묘도감의궤(【神貞王后】祔廟都監儀軌) 1892 익종의 비 신정왕후의 신주를 종묘에 부묘한 과정을 기록한 의궤 효모전의 신주를 종묘 정전 익종의 신실에 함께 봉안 장서각 K2-2253, K2-2254
2022-R3 70 종백부제관마련기 종백부제관마련기:1894 종백부제관마련기(宗伯府祭官磨鍊記) 1894 종백부에서 갑오개혁(1894) 무렵에 왕실 제향 시에 필요한 제관의 종류와 인원을 기록 갑오개혁 시기 종백부의 역할과 조선 후기 왕실의 제향을 파악할 수 있음. 장서각 K2-2569
2022-R3 69 종묘천신월령 종묘천신월령:1895-1906 종묘천신월령(宗廟薦新月令) 1895-1906 궁내부 회계원에서 종묘에 천신하는 제물비용을 종류별로 작성한 장부 물목의 종류·단가·필요량에 따른 가격 및 합계도 기록 장서각 K2-2213
2022-R3 24 광무년종묘의궤 광무년종묘의궤:1897 광무년종묘의궤(光武年宗廟儀軌) 1897 대한제국 광무 연간에 종묘와 영녕전 제향에서 사용된 축식을 모은 의궤 국왕이 천자로 승격되면서, 황제국으로서 중국 시호를 삭제하는 등 축식의 변화 장서각 K2-2192
2022-R3 71 책서시용하청명제축식 책서시용하청명제축식:1897-1906 책서시용하청명제축식(冊書時用下淸明祭祝式) 1897-1906 본래 광무연간(1897~1906)에 왕실에서 각 왕릉에 청명제를 올릴 때에 사용하던 축문을 모음 (사직·종묘·영녕전·영희전·경모궁·문선왕·문묘·각릉·각원·문희묘·영소묘·화녕전·육상궁·경우궁·저경궁·삼각산백악산목멱산한강· 관왕묘 등) 태조 건원릉, 신의왕후 제릉, 계비 신덕왕후 정릉, 태종·원경왕후 헌릉에 대한 축문 장서각 K2-2574
2022-R3 28 대한예전서례 대한예전서례:1898 대한예전서례(大韓禮典序禮) 1898 사례소에서 편찬한 『대한예전』의 도설과 해설을 정리해 놓은 전례서의 미완본 사직이 우선이고 종묘가 다음이던 것을 천지, 종묘, 사직의 순서로 바꿈 장서각 K2-2124
2022-R4 06 관왕묘의식 관왕묘의식:1899 관왕묘의식(關王廟義式) 1899 1899年(고종36, 光武 3) 3月에 開城(松京)에 關王廟가 重建되자 그 香祝封進의 儀節을 星州, 安東, 關西의 例에 따르고 해당 지방관으로 祭를 지내도록 하라는 詔에 의해 마련된 關王廟儀式. 1책 5장, 필사본 규장각 奎19295
2022-R1 12 증건도감의궤 증건도감의궤:1900 증건도감의궤(增建都監儀軌) 1900 1900년(光武 4)에 경복궁과 창덕궁의 선원전(璿源殿)을 증건한 사실을 기록한 의궤 경복궁창덕궁증건도감의궤 장서각 K2-3592, 고궁박물관 305-96
2022-R1 13 진전중건도감의궤 진전중건도감의궤:1901 진전중건도감의궤(眞殿重建都監儀軌) 1901 1901년(光武 5)에 昌德宮內의 璿源殿을 重建한 사실을 기록한 儀軌 1책 123,장 규장각 奎14238~14242, 장서각 K2-3594, 고궁박물관 305-118
2022-R4 14 유원성차첩 유원성차첩:1902 유원성차첩(柳遠聲差帖) 1902 1902년 장례원에서 음력 정월 16일날 동묘존숭상보시에 법부주사 유원성을 거보안자(擧寶案者)로 임명. 58책 문서 말미에 ‘內入十四日未時’, ‘服色黑團領’
2022-R3 79 향수봉하책 향수봉하책:1903-1904 향수봉하책(享需捧下冊) 1903-1904 1904년경에 궁내부 회계원에서 1903년도 왕실 제향에 소요된 지출 내역을 정리 종묘와 영녕전의 춘봉심, 사직의 고유제 등에 필요한 물품의 구입과 지출 장서각 K2-2582
2022-R3 54 종묘사향대제축식 종묘사향대제축식:1907 종묘사향대제축식(宗廟四享大祭祝式) 1907 7월 이후의 종묘 사향대제 및 영녕전 춘추대제의 축식을 기록 종묘·영녕전 신주 봉안 상황 장서각 K2-2181, K2-2182
2022-R5 05 문묘의궤-1907 문묘의궤-1907:1907 문묘의궤(文廟儀軌) 1907 대한제국기에 국가 제향에서 사용되는 축식의 범례들을 모은 의궤. 문묘석전제의 축식과 고제 및 계성사, 사현사 등 선농단·선잠단의 신위는 사직에 배향되고, 그 밖의 제향 대부분은 1908년 7월 23일에 반포된 ‘칙령 제50호 향사리정건’에 의해 폐지됨 장서각 K2-2447
2022-R3 78 향비규정 향비규정:1908-1910 향비규정(享費規定) 1908-1910 궁내부에서 종묘, 경효전, 의효전의 천신비 등 각종 왕실제향에 소요되는 제수비를 규정 당시 재정 상황을 볼 수 있으며, 제1책의 맨 앞에는 종묘, 경효전, 의효전 천신비 규정이 기술되어 있음. 장서각 K2-2578~2581
2022-R3 59 종묘영녕전설비보관품부 종묘영녕전설비보관품부:1909 종묘영녕전설비보관품부(宗廟永寧殿設備保管品簿) 1909 종묘와 영녕전에 설비한 물품과 보관하고 있는 물품을 정리 물품 목록과 변화 장서각 K2-3232
2022-R3 37 시호망 시호망:1909-1910 시호망(諡號望) 1909-1910 완평군, 이승응, 홍영식 등에게 시호를 내릴 때 작성한 망단자와 상주문 모음 대한제국기 시호가 결정되는 과정과 시호의 의미 장서각 K2-3077, 장서각 K2-3078
2022-R3 60 종묘영녕전소모책 종묘영녕전소모책:1909-1915 종묘영녕전소모책(宗廟永寧殿消耗冊) 1909-1915 1909년(융희 3) 종묘와 영녕전 제향에서 소모한 물품의 종류와 수량, 단가에 대해 구체적으로 기술하고, 1910~1915년까지의 지불 총액 첨부 일제강점기 초반의 종묘와 영녕전 제향 관련 파악 장서각 K2-3233
2022-R3 42 제관전장기 제관전장기:1910 제관전장기(齊官傳掌記) 1910 궁내부 장례원 전향과의 업무 내용을 시기순으로 기록한 당직 일지 장례원 직제와 종묘의 관리 운영 실태 파악 장서각 K2-3615
2022-R3 61 종묘영녕전이월분향사비출납계산서급증거서류명세서책 종묘영녕전이월분향사비출납계산서급증거서류명세서책:1910 종묘영녕전이월분향사비출납계산서급증거서류명세서책(宗廟永寧殿二月分享祀費出納計算書及証據書類明細書冊) 1910 종묘·영녕전에서 지낸 제사 중 2월분 제사 비용의 출납 계산서 및 증거 서류 명세서를 모은 책 2월분 제사에 들어간 비용의 출납 계산서 및 증거 서류 명세서 장서각 K2-3234
2022-R3 67 종묘일월분출납계산서 종묘일월분출납계산서:1910 종묘일월분출납계산서(宗廟一月分出納計算書) 1910 1월부터 12월까지 종묘에서 매달 사용한 비용의 출납계산서와 증거명세서, 영수증을 묶어서 정리 종묘에서 사용한 매월 계산서·명세서· 영수증 등을 사용한 명목 장서각 K2-3236
2022-R5 06 문묘의궤-1910 문묘의궤-1910:1910 문묘의궤(文廟儀軌) 1910 「文廟釋奠祝式」, 「啓聖祠」, 「寧月配食壇致祭」, 「各陵 淸明」의 순서로 적혀 있다. 각 능의 淸明條에는 德陵·安陵(穆祖·孝恭王后), 智陵(翼祖), 淑陵(貞淑王后), 義陵(度祖)의 축식이 있다. 장례원에서 문묘 향사에 관한 제반 사실을 기록한 의궤 장서각 K2-2448
2022-R1 17 창덕궁이왕실기 창덕궁이왕실기:1911 창덕궁이왕실기(昌德宮李王實記) 1911 1911년(明治 44) 1월 11일 왕과 왕비가 宣政殿에서 종실과 귀족의 신년하례를 받는 것으로 시작하여 각종 행사와 접견, 召對, 勸講 등이 수록되어 있다. 1911년 양력 1월 1일부터 12월 25일까지 순종의 주요 일정이 날짜별로 수록. 장서각
2022-R2 26 창경궁전전선로도 창경궁전전선로도:1911-1911 창경궁전전선로도(昌慶宮全電線路圖) 1911-1911 장서각 MF35-004672
2022-R3 53 종묘보고존안 종묘보고존안:1914 종묘보고존안(宗廟報告存案) 1914 1914년 종묘의 시설이나 관리, 운영의 제반 상황을 파악하는 데 유용한 자료이다. 1914년 1~12월에 종묘에서 있었던 일을 통지하거나 보고하는 형식의 글을 모아 놓은 책이다. 장서각
2022-R4 02 조선고적도보 조선고적도보:1915-1935 조선고적도보 1915-1935 흥인지문의 사진 등 수록
2022-R1 07 순종국장록 순종국장록:1926 순종국장록(純宗國葬錄) 1926 고종(高宗) 국장(國葬) 때와 순종(純宗) 관련 사진자료가 실려있고, 역대 왕들에 대한 간략한 기록을 기재 경성신문사내 조선박문사에서 편찬 서울박물관 서3368
2022-R5 12 한경지략 한경지략:1936 한경지략(漢京識略) 1936 규장각 검서관을 지냈던 유본예(유득공의 아들)가 수도 한성의 인문지리 풍속 등을 저술한 책. 권1「사묘」에서는 신사와 문묘‚ 전사청‚ 동관왕묘‚ 계성사 등 주요 사묘의 내역과 연혁 등을 정리 규장각 가람古915.11-Y9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