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신진찬도병

hanyang2
이동: 둘러보기, 검색

작품:기록화

Definition

《헌종무신진찬도병》은 4월 16일경 작업이 시작되어 8월 13일 5좌가 진상되었으므로 4개월가량의 제작시기가 소요되었다. 《순조기축진찬도병》으로부터 약 20년 후에 제작된 《헌종무신진찬도병》은 여러 면에서 큰 변화를 보인다. 두 첩에 한 장면을 배치함으로써 8첩 병풍에 최대 네 개의 의식을 그렸고, 첫 장면은 진찬에 앞서 거행되는 진하례를 배치하여 경하의 의미를 배가시켰으며, 마지막 첩의 좌목에 제작 취지를 함축시켰다. 그리고 정면부감의 시점과 선원근법을 각 장면에 일관되게 적용함으로써 장대한 시각 효과를 살린 점 등 내용구성과 형식, 시점과 구도 면에서 많이 달라졌다. 《헌종무신진찬도병》이 전거의 대상으로 삼은 것은 1829년의 《순조기축진찬도병》이었다. 그러나 바로 앞선 예를 따랐지만 참고의 대상이었을 뿐 당시 진찬도병을 제작하는 데 참여하였던 이한철(李漢喆), 박기준(朴基駿), 김정규(金定圭), 백은배(白殷培)를 포함한 열명 화원들은 내용과 구성, 시점과 구도 등 여러 면에서 새로운 선택을 하였다. 1877년에는 진찬도병을 만들기 앞서 계병은 무신년(1848) 예에 의거하라는 전교가 있었으며 1887년에는 정축년(1877)의 예에 의거하라는 전교가 내려졌다. 결국 1877년과 1887년의 진찬도병은 1848년의 것이 범본이 된 셈이다. 진찬도병 제작 화원의 역할과 비중을 알 수는 없지만 1848년 진찬도병 제작에 참여한 화원 중에 이한철은 1868년과 1877년의 진찬도병 제작에도 참여했던 점은 유념할 만하다. 아무튼 1848년 《헌종무신진찬도병》이 보여주는 특징은 1902년 마지막 진연도병까지 계속되었으므로 《헌종무신진찬도병》은 내연도병의 시작임과 동시에 19세기 연향도병의 전형을 확립했다고 할 만하다.

선원근법을 적용하여 이전의 평면적인 연향도병보다 장대한 공간감을 연출한 《헌종무신진찬도병》은 주렴으로 공간이 구획되었다. 여성 왕실가족과 내빈의 자리가 있는 주렴 안[簾內], 헌종의 시연위와 공연 무대가 되는 주렴 밖[簾外], 등가 악공이 있는 보계 위[階上], 헌가 악공이 자리한 보계 아래[階下]로 구분된다. 주렴 안은 다시 왕실 가족이 앉는 기둥 안쪽[楹內]과 내빈이 시연하는 그 바깥쪽[楹外]으로 구별된다. 이러한 용어는 의궤를 읽는 데에 요긴하며 모든 배설과 위차의 설치는 이러한 공간 구분을 기준으로 정해진다.

1848년 진찬도병과 의궤도식의 제작은 같은 날 일을 시작하였으며 담당 화원들도 같았다. 《순조기축진찬도병》과 비교할 때 우선 전체적으로 부드럽고 통통한 느낌의 인물 유형에서 차이를 느낄 수 있다. 1848년 진찬도병이 의복을 더 풍성하고 부드러운 실루엣으로 묘사하였다. 치마 밑단이 뒤로 길게 끌리거나 옆으로 많이 퍼지지 않고 중간에서 한껏 부풀다가 밑단에서 가지런하게 오므라드는 형태는 길고 세장한 느낌의 《순조기축진찬도병》 인물과 다르다. 여령들이 손에 끼는 오색한삼(五色汗衫)도 비교적 짧고 통통하게 그려져 가늘고 길게 그려진 《순조기축진찬도병》과 차이가 난다.

이 도병에서 기억할 만한 점은 야진찬과 익일야연에서 공연된 처용무(處容舞)가 궁중예연에서는 마지막이었다는 점이다. 5명의 여령들이 공연했지만 각 방위에 해당하는 상의(上衣), 수공화(首拱花)를 꽂은 사모, 가면 등의 복식 때문에 남자처럼 보인다. 또 한가지는 어제(御製)로 만들어진 향령무(響鈴舞)가 처음 공연되었으며 관동무(關東舞)가 민간으로부터 유입되었다는 점이다.

《무신년진찬도병(戊申年進饌圖屛)》  141.5x49.5㎝, 8폭,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소장품번호 본관 13243. 《무신진찬도병(戊申進饌圖屛)》  136.1x47.6㎝, 8폭,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소장품번호 덕수 1663.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class groupName partName label hangeul hanja english infoUrl iconUrl note
무신진찬도병 Object 그림 궁중기록화 무신진찬도병(戊申進饌圖屛) 무신진찬도병 戊申進饌圖屛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무신진찬도병 2022:구현회

Contextu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note
무신진찬도병 무신년진찬 depicts
무신진찬의궤:1848 무신년진찬 documents
조선_헌종 무신년진찬 participatesIn
순원왕후 무신년진찬 participatesIn
신정왕후 무신년진찬 participatesIn
창덕궁_인정전 무신년진하례 isPerformedAt
창경궁_통명전 무신년내진찬 isPerformedAt
[[]] [[]] [[]]

Web Resource

type resource title description/caption url
사진 e뮤지엄 進饌屛風繪 소장품번호 : 본관 13243 https://www.emuseum.go.kr/imageview/PS0100100100101324300000
사진 e뮤지엄 무신년의 궁중 잔치 소장품번호 : 덕수 1663 https://www.emuseum.go.kr/imageview/PS0100100100500166300000
  • type: 해설, 참고, 원문 / 사진, 동영상, 도면, 그림, 지도, 3D_지도, 3D_모델

Bibliography

id type bibliographic index online resource url
국립중앙박물관:2009:순조헌종년간궁중연향의기록의궤와도병 도록 박정혜,「순조·헌종년간 궁중연향의 기록: 의궤와 도병」, 『잔치 풍경 - 조선시대 향연과 의례』, 국립중앙박물관, 2009 국립중앙박물관 https://www.museum.go.kr/site/main/archive/report/archive_5877
  • id: 인용전거
  • type: 단행본, 논문, 도록, 자료집
  • online resource: KCI, RISS, DBpia, 네이버 학술정보 .....

Notes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