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묘의궤:1697

hanyang2
이동: 둘러보기, 검색

Definition

1697년(숙종 23)에 국초의 「국조오례의」외 종묘의례를 바탕으로 하여, 그 후 시대가 흐름에 따라 새로이 기재되어야 할 사항을 첨가하여 작성한 의궤이다. 그러나 「국조오례의」가 단지 의례의 규정에 그친 데 비하여 이 의궤는 실록이나 승정원일기를 비롯 여러 곳의등록(謄錄) 및 문집 등에서 관계되는 논의를 채록하여 儀禮와 아울러 싣고 있다.

주요내용
제 1책 도설(圖說) 종묘(宗廟)와 영녕전(永寧殿)의 전도(全圖), 각 제사의 설찬도설(設饌圖說), 가무(歌舞)의 도설, 제기(祭器)·악기(樂器) 및 복식(服式)의 도설
제 2책 宗廟와 永寧殿의 규모와 배치 및 묘제(廟制)에 대한 논의.1395년(太祖 4)의 종묘창건과 그 이후의 중건(重建) 기록, 宗廟와 永寧殿에 안치한 신주에 관한 정보
제 3책 추존기사논의 世祖代 廢하여졌던 昭陵(文宗의 妃인 顯德王后)을 다시 顯陵으로 復位한 記事, 懿敬世子를 追崇하여 王으로 封하고 그 墓를 敬陵으로 한 記事, 太祖妃인 神德王后를 宗廟에 追祔하는 記事, 恭定大王의 廟號를 定宗으로 결정한 記事, 그리고 太祖·太宗의 諡號에 각각 正義光德과·睿哲成烈의 諡를 加上하는 기사 ,

宗廟에 祭享할 때의 儀禮로서 親祭, 오향대제의(五享大祭儀), 묘견(廟見), 삭망속절(朔望俗節), 재계(齊戒)에 관한 儀禮

제 4책 神主를 옮긴(移還安) 기사 및 그때의 儀禮, 四時享과 납향시(臘享時)의 섭사의(攝事儀), 보사(報祀)나 선고사시(先告事時)의 기고종묘의(祈告宗廟儀)와 各室의 축판(祝版)과 축문식(祝文式),

各室에 올리는 희생찬품(犧牲饌品)의 물목, 찬품을 철거할 때의 의례, 每月마다 그 달의 새로운 祭物을 올리는 천신(薦新)의 物目, 各室의 신주(神主)·책보(冊寶) 등의 보존 상태와 奉審修理, 補修의 기록과 冊寶의 내용, 七祀의 대상, 各廟의 배향공신(配享功臣)의 명단, 그리고 종묘서(宗廟署)에 배치된 관원, 宗廟의 守直·守僕 및 祭享時 各司의 進貢物目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class groupName partName label hangeul hanja english infoUrl iconUrl
종묘의궤:1697 Record 문헌 고문헌 종묘의궤(宗廟儀軌):1697 종묘의궤:1697 宗廟儀軌:1697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종묘의궤:1697

Contextu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종묘의궤:1697 종묘제 documents
종묘의궤:1697 규장각_한국학연구원 currentLocation

Web Resource

type resource title description/caption URL
원문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종묘의궤 https://kyudb.snu.ac.kr/book/view.do?book_cd=GK14220_00
  • type: 해설, 참고, 원문 / 사진, 동영상, 도면, 그림, 지도, 3D_지도, 3D_모델

Bibliography

type bibliographic index online resource url


  • type: 단행본, 논문, 도록, 자료집
  • online resource: KCI, RISS, DBpia, 네이버 학술정보 .....



Notes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