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현황)
(현황)
19번째 줄: 19번째 줄:
  
 
== 현황 ==  
 
== 현황 ==  
입향 이후 인물을 향지(鄕誌)인 『영양지(永陽誌)』를 통해 살펴보면, 입향조 서도를 비롯하여, 이조판서 [[서섭(조선)|서섭]](徐涉), 진사(進士) [[서지원(조선)|서지원]](徐智元), 학문으로 추중된 생원(生員) [[서용원]](徐勇元), 창녕훈도(昌寧訓導) [[서숙원]](徐叔元), 수직(壽職) 통정대부(通政大夫) [[서희복]](徐希福), 통정대부(通政大夫) [[서희록]](徐希祿), 증(贈) 공조참판(工曹參判) [[서일(조선)|서일]](徐逸), 진사(進士) [[서억]](徐億), 진사(進士) [[서승립]](徐承立), 임진왜란에 창의한 [[서경택]](徐景澤), 무과(武科)로 부호군(副護軍)인 [[서경함]](徐景涵), 장수도찰방(長水道察訪) [[서경지]](徐景沚), 정묘호란 창의로 증(贈) 형조참의(刑曹參議)인 [[서순(조선)|서순]](徐錞), 증(贈) 형조참판(刑曹參判) [[서익후]](徐翼後), 수직(壽職) 가선대부(嘉善大夫) []서원위]](徐元衛), 1728년 이인좌의 난 때 창의하여 도총(都摠)으로 추대된 [[서재대]](徐載大), 수직(壽職) 가선대부(嘉善大夫) [[서필해]](徐必楷), 철종조에 문과에 급제한 [[서교해]](徐敎海), 학문으로 추중된 [[서필규]](徐必規)와 [[서루]](徐婁), [[서유대(조선1)|서유대]](徐惟岱), 서후(徐珝), 서박(徐璞), 서석(徐 王+昔), 서정설(徐楨說), 서기해(徐基海), 효행으로 드러난 서석규(徐錫奎)와 서선희(徐善熙)가 있다.  
+
입향 이후 인물을 향지(鄕誌)인 『영양지(永陽誌)』를 통해 살펴보면, 입향조 서도를 비롯하여, 이조판서 [[서섭(조선)|서섭]](徐涉), 진사(進士) [[서지원(조선)|서지원]](徐智元), 학문으로 추중된 생원(生員) [[서용원]](徐勇元), 창녕훈도(昌寧訓導) [[서숙원]](徐叔元), 수직(壽職) 통정대부(通政大夫) [[서희복]](徐希福), 통정대부(通政大夫) [[서희록]](徐希祿), 증(贈) 공조참판(工曹參判) [[서일(조선)|서일]](徐逸), 진사(進士) [[서억]](徐億), 진사(進士) [[서승립]](徐承立), 임진왜란에 창의한 [[서경택]](徐景澤), 무과(武科)로 부호군(副護軍)인 [[서경함]](徐景涵), 장수도찰방(長水道察訪) [[서경지]](徐景沚), 정묘호란 창의로 증(贈) 형조참의(刑曹參議)인 [[서순(조선)|서순]](徐錞), 증(贈) 형조참판(刑曹參判) [[서익후]](徐翼後), 수직(壽職) 가선대부(嘉善大夫) [[서원위]](徐元衛), 1728년 이인좌의 난 때 창의하여 도총(都摠)으로 추대된 [[서재대]](徐載大), 수직(壽職) 가선대부(嘉善大夫) [[서필해]](徐必楷), 철종조에 문과에 급제한 [[서교해]](徐敎海), 학문으로 추중된 [[서필규]](徐必規)와 [[서루]](徐婁), [[서유대(조선1)|서유대]](徐惟岱), 서후(徐珝), 서박(徐璞), 서석(徐 王+昔), 서정설(徐楨說), 서기해(徐基海), 효행으로 드러난 서석규(徐錫奎)와 서선희(徐善熙)가 있다.  
  
 
  세거지는 [[서도]]의 후손들이 경상북도 영천시 봉동과 본촌동에 세거하고 있으며, [[서섭(조선)|서섭]]의 후손들이 경상북도 영천시 금호읍 어은리에 세거하고 있다.
 
  세거지는 [[서도]]의 후손들이 경상북도 영천시 봉동과 본촌동에 세거하고 있으며, [[서섭(조선)|서섭]]의 후손들이 경상북도 영천시 금호읍 어은리에 세거하고 있다.

2022년 8월 15일 (월) 14:59 판

정의

서진(徐晋)을 시조로 하고 서도(徐渡)를 입향조로 하는 경상북도 영천 지역의 세거 성씨.

연원

달성 서씨(達城徐氏) 영천 입향조는 성균관학유(成均館學諭) 서도로 고려 판도판서(版圖判書)를 지내고 달성군(達城君)에 봉군된 서진을 시조로 한다.

== 입향 경위 ==

서도는 1465년(세조 11)에 문과에 급제 후 벼슬이 무공랑(務功郞) 성균관학유에 이르렀으나 중앙정치에 염증을 느끼고, 서울 남산에서 낙향하여 고향 인근인 영천 고용전(古用田)[현 영천시 남부동]으로 이거하였으며, 그 뒤 후손들이 경주·청송·의성 등지로 분거(分居)하였다.

이천 서씨 통일신라 아간공 서신일 8세손인 달성 서씨 시조 서진 시제는 한식일(4월5일) 대구광역시 동구 용천로30길 54-7.(지번)대구광역시 동구 용수동 329에서 거행된다.

고려 초기에 나라의 기틀의 튼튼히 한 서필(徐弼)이다. 이어 손자 서희(徐熙)와 증손자 서눌(徐訥) 서유걸(徐惟傑) 서유위(徐惟偉) 서주행(徐周行), 고손자 서정(徐靖) 서존(徐存),서균(徐鈞) 서린(徐璘), 서원(徐元) 서공(徐恭) 서성(徐成) 서순(徐淳),서숭조,서희찬,서능(徐稜),서효손,서신계, 서린(徐鱗),서성윤,서념,서원경,서충,서신,서윤,서후상,서윤현 등이 15대를 이어 재상이 되었다.


대구달성서씨(大丘達城徐氏)(달성 서씨 대구 서씨) 계보는 서신일(徐神逸 아간대부 정2품.부총리 재상)-서필(徐弼 내의령 종1품.국무총리 재상)-서희(徐熙 내사령 종1품.국무총리 재상)-서주행(徐周行 달성군)-서한(徐閈 군기소윤 종3품.차관)-서신(徐愼 이부판사 정2품.부총리 재상)-서무질(徐無疾 밀직사 종2품.부총리 재상)-서진(徐晉 판도판서 정3품.장관)-서기준(徐奇俊 문하시중찬성사 정2품.부총리 재상)-서영(徐穎 문하시중찬성사 정2품.부총리 재상)-서균형(徐鈞衡 정당문학 종2품.부총리 재상) 서익진(徐益進 판전객시사 종2품.부총리 재상)-서침(徐沈 조봉대부 정3품.장관) 서의(徐義 호조전서 정3품.장관) 이다

서씨일가연합회 [[1]] [[2]]

현황

입향 이후 인물을 향지(鄕誌)인 『영양지(永陽誌)』를 통해 살펴보면, 입향조 서도를 비롯하여, 이조판서 서섭(徐涉), 진사(進士) 서지원(徐智元), 학문으로 추중된 생원(生員) 서용원(徐勇元), 창녕훈도(昌寧訓導) 서숙원(徐叔元), 수직(壽職) 통정대부(通政大夫) 서희복(徐希福), 통정대부(通政大夫) 서희록(徐希祿), 증(贈) 공조참판(工曹參判) 서일(徐逸), 진사(進士) 서억(徐億), 진사(進士) 서승립(徐承立), 임진왜란에 창의한 서경택(徐景澤), 무과(武科)로 부호군(副護軍)인 서경함(徐景涵), 장수도찰방(長水道察訪) 서경지(徐景沚), 정묘호란 창의로 증(贈) 형조참의(刑曹參議)인 서순(徐錞), 증(贈) 형조참판(刑曹參判) 서익후(徐翼後), 수직(壽職) 가선대부(嘉善大夫) 서원위(徐元衛), 1728년 이인좌의 난 때 창의하여 도총(都摠)으로 추대된 서재대(徐載大), 수직(壽職) 가선대부(嘉善大夫) 서필해(徐必楷), 철종조에 문과에 급제한 서교해(徐敎海), 학문으로 추중된 서필규(徐必規)와 서루(徐婁), 서유대(徐惟岱), 서후(徐珝), 서박(徐璞), 서석(徐 王+昔), 서정설(徐楨說), 서기해(徐基海), 효행으로 드러난 서석규(徐錫奎)와 서선희(徐善熙)가 있다.

세거지는 서도의 후손들이 경상북도 영천시 봉동과 본촌동에 세거하고 있으며, 서섭의 후손들이 경상북도 영천시 금호읍 어은리에 세거하고 있다.

관련 유적

경상북도 영천시 금호읍에는 구암리에 서숙원(徐叔元)의 묘재인 청호재(菁湖齋)와 서열(徐悅)의 묘재인 진덕재(眞德齋)가 있으며, 경상북도 영천시 북안면 내포리에 서일(徐逸)과 서경함(徐景涵) 부자의 묘재인 첨모재(瞻慕齋)가 있다. 또한 경상북도 영천시 작산동에 서철환(徐喆煥) 3형제의 삼이당(三怡堂)과 경상북도 영천시 본촌동에 서숙원(徐叔元)의 원모당(遠慕堂), 경상북도 영천시 봉동에 서유대(徐惟岱)의 풍호정(風乎亭)이 남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