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산두 부인 이천서씨

Encyves Wiki
Jwseo21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25년 3월 28일 (금) 23:29 판 (새 문서: 최산두(崔山斗) 이칭별칭 자 경앙(景仰), 호 신재(新齋), 호 농중자(籠中子), 호 나복산인(蘿葍山人) 유형 인물/전통 인물 시대 조선/조선...)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최산두(崔山斗)

이칭별칭 자 경앙(景仰), 호 신재(新齋), 호 농중자(籠中子), 호 나복산인(蘿葍山人)

유형 인물/전통 인물

시대 조선/조선 전기

요약 최산두는 조선 전기 중종 대 홍문관 수찬, 사간원 정언, 사헌부 헌납 등을 역임한던 문신이다. 기묘명현 중 한 명으로 젊어서부터 조광조·김정·김안국 등과 교류가 있었다. 학문 수준과 도덕성에 대한 주변 사대부들의 평가가 높았으며, 김인후·유희춘 등과 같은 인물들이 찾아와서 글을 배울 정도였다. 중종 대 문과 별시에 합격해 관직 생활을 시작하였했지만 가문이 한미했다는 이유로 홍문관 관원 임명에 대한 반대를 겪었다. 기묘사화 당시 조광조의 붕당으로 몰려 탄핵되어 유배를 갔다가 오랜 시간이 지나서야 방면되었다.

정의 조선 전기 중종 대 홍문관 수찬, 사간원 정언, 사헌부 헌납 등을 역임한 문신.

가계 및 인적 사항 최산두(崔山斗)는 1483년(성종 14) 태어났다. 본관은 광양(光陽), 자는 경앙(景仰), 호는 신재(新齋) · 농중자(籠中子) · 나복산인(蘿葍山人)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최기연(崔寄淵), 할아버지는 최사문(崔思文)이다. 아버지는 한성판윤(漢城判尹)을 지낸 최한영(崔漢榮)이다. 어머니 청주한씨(淸州韓氏)는 교리(校理) 한경회(韓敬澮)의 딸이다. 부인 이천서씨(利川徐氏)는 서극수(徐克綏)의 딸이다. 최산후(崔山厚)가 동생이다.

주요 활동 최산두는 18세부터 조광조(趙光祖) · 김정(金淨) · 김안국(金安國) 등과 교유하였다고 한다. 1504년(연산군 10) 생원시에 입격하였다. 1513년(중종 8) 별시(別試) 문과에 급제하여 관직 생활을 시작하였다.

홍문록(弘文錄)에 올랐지만 출신이 한미하다는 이유로 일부 대간들이 홍문관 관원 임명에 반대하였다. 최산두의 가문이 한미한 것이 문제가 되었지만, 그의 학문 수준과 덕행은 모두가 인정하고 있었다. 중종은 결국 홍문관 관원으로 임명하였다.

관직 생활을 본격적으로 시작하기 전부터 학문과 인품으로 높을 평가를 받아 김인후(金麟厚) · 유희춘(柳希春) 등이 찾아와서 글을 배웠다고 한다. 이후 홍문관 수찬을 거쳐 사간원 정언, 사헌부 지평, 홍문관 교리, 사헌부 헌납 등을 역임하였다.

하지만 1519년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조광조의 붕당(朋黨)으로 몰리면서 탄핵당해 유용근(柳庸謹) · 정응(鄭譍) · 정완(鄭浣) 등과 함께 유배되었다. 오랜 시간이 지난 후 방면되었다. 1536년 54세의 나이로 죽었다. 1538년 직첩(職牒)을 돌려받았다.

서열(徐悅 백운거사)


이천서씨 원숙공파

고려 초기에 나라의 기틀의 튼튼히 한 서필(徐弼)이다. 이어 손자 서희(徐熙)와 증손자 서눌(徐訥) 서유걸(徐惟傑) 서유위(徐惟偉) 서주행(徐周行), 고손자 서정(徐靖) 서존(徐存),서균(徐鈞) 서린(徐璘), 서원(徐元) 서공(徐恭) 서성(徐成) 서순(徐淳),서숭조,서희찬,서능(徐稜),서효손,서신계, 서린(徐鱗),서성윤,서념,서원경,서충,서신,서윤,서후상,서윤현 등이 15대를 이어 재상이 되었다.


이천서씨 원숙공파

이천서씨 시조인 서신일(徐神逸 아간대부. 부총리)의 세손.


2세 서필(徐弼 내의령(內議令).종 1품. 국무총리)

3세 서희(徐熙 내사령(內史令). 종 1품. 국무총리)

4세 서눌(徐訥 문하시중(門下侍中). 종 1품. 국무총리)

서유걸(徐維傑 상서우복야(尙書右僕射). 좌복야(左僕射). 정 2품. 부총리)

서유위(徐維偉 장야서령(掌冶署令). 정 3품. 장관)

서주행(徐周行 달성군(達城君). 장관)

5세 서정(徐靖 중서시랑평장사(中書侍郞平章事).참지정사(參知政事).판삼사사(判三司事).종 1품.국무총리)

서존(徐存 태원군(太原君). 병부상서(兵曹尙書).장관)

서수(徐琇 문하시중문하시중(門下侍中) 봉 희양대군. 종 1품. 국무총리)

6세 서장기(徐長己 병부시랑(兵部侍郞).종 3품. 차관)

7세 서진부(徐振扶 좌복야(左僕射).정 2품. 부총리)

8세 서희적(徐希積. 내의시랑(內議侍郞). 종 3품. 차관)

9세 서영보(徐永甫. 성균관 생원(成均館生員))

10세 서선(徐瑄 .중정대부. 종 3품. 차관)

11세 서문찬(徐文贊 성균관 진사(成均館進士))

12세 서원계(徐元桂 군수(君守))

13세 서의(徐誼 성균제주(成均祭酒).정 3품.장관)

14세 서후장(徐後長 군수(君守)

15세 서호(徐浩 정치도감(整治都監) 좌랑(佐郎) 차관. 공신.충신)

전라도(광양) 옥평사(光陽 玉坪祠)

광양시 옥룡면 운평리의 하평마을에 있는 사당이다.

1959년에 건립된 것으로 이천 서씨(利川徐氏)의 문중 사우에 해당된다.

이곳에 배향된 인물로는 원숙공(元肅公) 서눌(徐訥 고려 문하시중.종1품. 국무총리. 고려 현종 묘정 배향.재상) 기은(箕隱) 서희찬(徐希贊 고려 명신.재상) 문의공(文毅公) 서호(徐浩 고려 충신.재상),서열(徐悅 백운거사),서천일(徐千鎰 암연처사) 등이 있다.

효양산 전설문화축제(孝養山 傳說文化祝祭)

장위공 서희(徐熙) 선생을 되새겨 볼 수 있고, 서신일(徐神逸)선생의 은혜 갚은 사슴과 황금송아지 전설이 있는 효양산의 주요 6개소(물명당, 효양정, 금송아지상, 은선사, 서씨(徐氏)시조 서신일(徐神逸)묘, 금광굴)를 탐방하며, 효양산의 청취를 만끽할 수 있다. 서희문화제(徐熙文化祭)로 명칭 변경

이섭대천(利涉大川)

창전동 이천시민회관 구내에 세워져 있다. 고려 태조 왕건이 고려를 건국하면서 후백제와 마지막 일전을 치르기 위해 출정길에 올랐다가 장마로 물이 불어난 복하천(福河川)을 건너지 못해 곤경에 빠졌을 때 '서목(徐穆)'이라는 이천 사람의 도움으로 무사히 복하천을 건너 후삼국을 통일할 수 있었다. 그 후 왕건이 서목(徐穆)의 도움에 대한 보답으로 '이섭대천'이라는 고사에서 따다가 이 지역에 ‘이천(利川)’이라는 이름을 내렸다고 한다.

이천의 유래에 관한 이 일화를 기념하기 위해 1989년 11월 이천 지역 토박이 원로들의 모임인 이원회(利元會)가 중심이 되어 이천시민회관 구내에 기념비를 건립하였다. 2단으로 된 방형의 대좌 위에 길고 커다란 자연석 형태의 흑요암을 올려놓았으며 흑요암 중앙에 '利涉大川(이섭대천)'이라는 글씨를 커다랗게 새겨 넣었다.

서씨 시조 서신일 추향대제(徐氏 始祖 徐神逸 秋享大祭)

모든 서씨 시조 서신일(徐神逸) 시제는 (음력) 매년 10월 첫째 토요일 오전 11시에 효양산 이천시 부발읍 산촌리 산19(경기 이천시 부발읍 산촌리 329)에서 거행된다. 서필 (徐弼)선생,서희 (徐熙)선생 시제는 (음력) 매년 10월 첫째 토요일 오후 2시에 경기 여주시 산북면 후리 166-1에서 거행된다.

같이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