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관의 조복"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18번째 줄: | 18번째 줄: | ||
===복식구성=== | ===복식구성=== | ||
− | [[양관 | 양관(梁冠)]], [[조복 상의|조복 상의(朝服 上衣)]], [[조복 하상 | 조복 하상(朝服 下裳)]], [[중단(백관) | 중단(中單]], [[폐슬(백관) | 폐슬(蔽膝)]], [[대대(백관) | 대대(大帶)]], [[품대 | 품대(品帶)]][[패옥(백관) | 패옥(佩玉)]], [[후수(백관)| 후수(後綬)]], [[ | + | [[양관 | 양관(梁冠)]], [[조복 상의|조복 상의(朝服 上衣)]], [[조복 하상 | 조복 하상(朝服 下裳)]], [[중단(백관) | 중단(中單]], [[폐슬(백관) | 폐슬(蔽膝)]], [[대대(백관) | 대대(大帶)]], [[품대 | 품대(品帶)]][[패옥(백관) | 패옥(佩玉)]], [[후수(백관)| 후수(後綬)]], [[화|화(靴)]], [[버선 | 말(襪)]], [[홀 | 홀(笏)]] |
===착장 과정=== | ===착장 과정=== |
2017년 10월 20일 (금) 21:44 판
백관의 조복 (百官의 朝服) |
|
대표명칭 | 백관의 조복 |
---|---|
한자표기 | 百官의 朝服 |
분류 | 예복 |
착용신분 | 백관, 종친 |
착용성별 | 남성 |
목차
정의
백관과 종친, 왕세자 등이 정월 초하루, 동짓날, 경축일 등에 왕에게 하례(賀禮)를 드리는 의례에 참석할 때 입는 옷이다.[1]
내용
양관(梁冠)에 달린 양의 개수로 신분을 나타낸다. 조선 초기의 왕세자는 관례를 올릴 때 왕세자의 대례복을 하사 받기 전에는 백관의 조복을 착용한다.[2]
복식구성
양관(梁冠), 조복 상의(朝服 上衣), 조복 하상(朝服 下裳), 중단(中單, 폐슬(蔽膝), 대대(大帶), 품대(品帶) 패옥(佩玉), 후수(後綬), 화(靴), 말(襪), 홀(笏)
착장 과정
머리에는 탕건을 쓰고, 바지와 저고리, 버선, 행전을 기본으로 갖춘다. 소창의를 입고, 중단을 입는다. 조복 하상을 허리에 두르고, 조복 상의를 입는다. 대대와 후수를 두른다. 서대를 두르고, 패옥을 갖춘다. 양관을 머리에 쓰고, 홀를 들며, 혜(남성)를 신는다.[3]
바지와 저고리, 버선을 신고 행전을 두른 모습.[4]
소창의를 입은 모습.[5]
중단을 입은 모습.[6]
조복 하상을 두은 모습.[7]
조복 상의를 입은 모습.[8]
대대와 후수를 두른 모습.[9]
서대를 두른 모습.[10]
패옥을 찬 모습.[11]
양관을 쓰고, 홀을 들어 조복 착장 완성.[12]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백관 | 백관의 조복 | A는 B를 착용하였다 | A ekc:wears B |
백관의 조복 | 의궤 | A는 B에 기록되어 있다 | A ekc:mentions B |
백관의 조복 | 양관 |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 A dcterms:hasPart B |
백관의 조복 | 조복 상의 |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 A dcterms:hasPart B |
백관의 조복 | 조복 하상 |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 A dcterms:hasPart B |
백관의 조복 | 중단(백관) |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 A dcterms:hasPart B |
백관의 조복 | 폐슬(백관) |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 A dcterms:hasPart B |
백관의 조복 | 후수(백관) |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 A dcterms:hasPart B |
백관의 조복 | 패옥(백관) |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 A dcterms:hasPart B |
백관의 조복 | 대대(백관) |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 A dcterms:hasPart B |
백관의 조복 | 품대 |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 A dcterms:hasPart B |
백관의 조복 | 말 |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 A dcterms:hasPart B |
백관의 조복 | 혜(남성) |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 A dcterms:hasPart B |
백관의 조복 | 홀 |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 A dcterms:hasPart B |
시간정보
공간정보
시각자료
갤러리
밀창군 이직(密昌君 李樴, 1677~1764)의 조복 착용 초상.[13]
이익정(李益炡, 1699~1782)의 조복 착용 초상.[14]
채제공(蔡濟恭, 1720~1799)의 조복 착용 초상.[15]
이하응(李昰應, 1820~1898)의 조복 착용 초상.[16]
영상
주석
- ↑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89쪽.
- ↑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89쪽.
- ↑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22쪽.
- ↑ 궁중기록화팀 ⓒ김아람.
- ↑ 궁중기록화팀 ⓒ김아람.
- ↑ 궁중기록화팀 ⓒ김아람.
- ↑ 궁중기록화팀 ⓒ김아람.
- ↑ 궁중기록화팀 ⓒ김아람.
- ↑ 궁중기록화팀 ⓒ김아람.
- ↑ 궁중기록화팀 ⓒ김아람.
- ↑ 궁중기록화팀 ⓒ김아람.
- ↑ 궁중기록화팀 ⓒ김아람.
- ↑ 국립중앙박물관, 『초상화의 비밀』, 국립중앙박물관, 2011, 147쪽.
- ↑ 국립중앙박물관, 『초상화의 비밀』, 국립중앙박물관, 2011, 147쪽.
- ↑ 보물 제1477-2호, 문화재청(http://www.cha.go.kr/cha/).
- ↑ 문화재청, 『한국의 초상화-역사 속의 인물과 조우하다』, 문화재청, 2006, 26쪽.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경기도박물관, 『衣ㆍ紋의 조선 옷』, 경기도 박물관, 민속원, 2016.
- 高光林, 「金冠 朝服에 關한 硏究」, 인천교육대학교 논문집12, 1978.
- 高光林, 『韓國의 冠服』, 和成社, 1990.
-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 단국대학교 석주선 기념박물관, 『名選-下』, 단국대학교출판부, 2004.
- 류희경, 『우리옷 이천년』, 미술문화, 2001.
- 李相恩, 『朝鮮王朝服飾史論』, 東方圖書, 1992.
- 李善熙, 「祭服의 起源과 變遷에 關한 硏究」, 성신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2.
- 朴京子, 「祭禮의 思想과 祭服에 關한 硏究」, 성신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75.
- 석주선, 『한국복식사』, 보진재, 1971.
- 石宙善, 『衣』, 고려서적주식회사, 1985.
- 임상임ㆍ유관순ㆍ추미경, 「조선후기 죽산(竹山) 박씨 집안의 조복(朝服)에 관한 연구 –원광대학교 박물관에 소장된 赤綃衣·赤綃裳을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26권 5호, 한국의류학회, 2002.
- 장정윤, 「朝鮮時代 文武百官 朝服에 關한 硏究」,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 최연우, 「조선후기 관원 조복(朝服)의 구성과 형태 연구」, 『한복문화』 제18권 3호, 2015.
- 최영선, 「朝鮮時代 文武百官 祭服에 關한 硏究」,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 홍나영ㆍ신혜성ㆍ이은진 지음, 『동아시아 복식의 역사』, 교문사, 2011.
일러스트 참고문헌
-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 황의숙, 김소현, 이윤주, 진선희, 김혜수, 박상희, 『한국의상 교육용 매뉴얼 개발』, 배화여자대학교,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