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굴산문"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19번째 줄: 19번째 줄:
 
[[범일]]은 831년([[신라 흥덕왕|흥덕왕]] 6) 중국에 들어가, [[도일|마조도일(馬組道一)]]의 제자인 [[제안|염관제안(鹽官齊安)]]의 법을 받아 귀국하였다. 명주도독 김공(金公)의 지원으로 [[강릉 굴산사|굴산사]]에 주석하였다.<ref>대한불교조계종 포교원, "구산선문의 형성과 전개", 『한국 불교사 - 조계종사를 중심으로』, (주)조계종출판사, 2015, 90-91쪽.</ref>  [[범일]]은 [[강릉 굴산사|굴산사]] 창건 후 40여 년동안 선법을 전파하였으며, [[범일]]의 법맥을 이은 대표적인 제자로는 [[개청|개청(開淸)]], [[행적|행적(行寂)]] 등이 있었다.<ref>김영태,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5399 사굴산파]",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6년 6월 10일.</ref>
 
[[범일]]은 831년([[신라 흥덕왕|흥덕왕]] 6) 중국에 들어가, [[도일|마조도일(馬組道一)]]의 제자인 [[제안|염관제안(鹽官齊安)]]의 법을 받아 귀국하였다. 명주도독 김공(金公)의 지원으로 [[강릉 굴산사|굴산사]]에 주석하였다.<ref>대한불교조계종 포교원, "구산선문의 형성과 전개", 『한국 불교사 - 조계종사를 중심으로』, (주)조계종출판사, 2015, 90-91쪽.</ref>  [[범일]]은 [[강릉 굴산사|굴산사]] 창건 후 40여 년동안 선법을 전파하였으며, [[범일]]의 법맥을 이은 대표적인 제자로는 [[개청|개청(開淸)]], [[행적|행적(行寂)]] 등이 있었다.<ref>김영태,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5399 사굴산파]",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6년 6월 10일.</ref>
  
[[범일]]의 사굴산문은 신라 왕실과는 대립적인 경향을 보였다. [[범일]]은 [[강릉 굴산사|굴산사]]에 머무르는 동안 [[신라 경문왕|경문왕]], [[신라 헌강왕|헌강왕]], [[신라 정강왕|정강왕]] 등의 부름에 응하지 않았다. 이는 산문이 북쪽 변방에 위치했고 일찍부터 명주(溟州: 지금의 강릉) 지역이 반신라적인 성향이 강한 곳이었기 때문이었다. 더욱이 [[범일]]이 중국에 있을 때 황제가 단행한 회창폐불(會昌廢佛)<ref>중국 당(唐)나라 무종(武宗)의 회창 연간(會昌年間)에 있었던 불교 탄압.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55967&cid=40942&categoryId=31787 회창의 폐불]", 두산백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을 경험했는데, 이 폐불 상황에서도 지방관들이 불교를 옹호할 뿐만 아니라 [[범일]]을 도와주었다. 이 경험 때문에 [[범일]]은 지방관들과는 친밀한 관계를 유지하면서도 다른 산문들과 달리 신라 왕실에 대하여 배타적인 행동을 취하였다.<ref>대한불교조계종 포교원, "구산선문의 형성과 전개", 『한국 불교사 - 조계종사를 중심으로』, (주)조계종출판사, 2015, 90-91쪽.</ref>
+
[[범일]]의 사굴산문은 신라 왕실과는 대립적인 경향을 보였다. [[범일]]은 [[강릉 굴산사|굴산사]]에 머무르는 동안 [[신라 경문왕|경문왕]], [[신라 헌강왕|헌강왕]], [[신라 정강왕|정강왕]] 등의 부름에 응하지 않았다. 이는 산문이 북쪽 변방에 위치했고 일찍부터 명주(溟州: 지금의 강릉) 지역이 반신라적인 성향이 강한 곳이었기 때문이었다. 더욱이 [[범일]]이 중국에 있을 때 황제가 단행한 [[회창폐불|회창폐불(會昌廢佛)]]을 경험했는데, 이 폐불 상황에서도 지방관들이 불교를 옹호할 뿐만 아니라 [[범일]]을 도와주었다. 이 경험 때문에 [[범일]]은 지방관들과는 친밀한 관계를 유지하면서도 다른 산문들과 달리 신라 왕실에 대하여 배타적인 행동을 취하였다.<ref>대한불교조계종 포교원, "구산선문의 형성과 전개", 『한국 불교사 - 조계종사를 중심으로』, (주)조계종출판사, 2015, 90-91쪽.</ref>
  
 
영동 지역에는 [[범일]]의 행적이 미치지 않은 곳이 없을 만큼 그 영향력이 대단했다. [[평창 월정사|평창의 월정사(月精寺)]], [[동해 삼화사|동해의 삼화사(三和寺)]], [[강릉 신복사|강릉의 신복사(神福寺)]]를 비롯하여 [[의상|의상대사]]가 창건한 [[양양 낙산사|양양의 낙산사(洛山寺)]]도 사굴산문의 영향력 아래 있었다.<ref>이일야, "사굴산문", 『해주에서 장흥까지 아홉개의 산문이 열리다』, (주)조계종출판사, 2016, 158쪽.</ref>
 
영동 지역에는 [[범일]]의 행적이 미치지 않은 곳이 없을 만큼 그 영향력이 대단했다. [[평창 월정사|평창의 월정사(月精寺)]], [[동해 삼화사|동해의 삼화사(三和寺)]], [[강릉 신복사|강릉의 신복사(神福寺)]]를 비롯하여 [[의상|의상대사]]가 창건한 [[양양 낙산사|양양의 낙산사(洛山寺)]]도 사굴산문의 영향력 아래 있었다.<ref>이일야, "사굴산문", 『해주에서 장흥까지 아홉개의 산문이 열리다』, (주)조계종출판사, 2016, 158쪽.</ref>

2017년 10월 7일 (토) 16:46 판

사굴산문
(闍崛山門)
대표명칭 사굴산문
한자표기 闍崛山門
이칭 사굴산파(闍崛山派), 굴산선파(崛山禪派)
관련개념 구산선문(九山禪門)



정의

강원도 강릉의 굴산사(崛山寺)를 중심으로 일어난 선종구산문(禪宗九山門)의 하나.

내용

형성과 전개

고승 범일(梵日)이 강릉의 굴산사(崛山寺)에서 선풍(禪風)을 크게 일으킴으로써 사굴산파(闍崛山派) 또는 굴산선파(崛山禪派)라고 불리게 되었다.[1]

범일은 831년(흥덕왕 6) 중국에 들어가, 마조도일(馬組道一)의 제자인 염관제안(鹽官齊安)의 법을 받아 귀국하였다. 명주도독 김공(金公)의 지원으로 굴산사에 주석하였다.[2] 범일굴산사 창건 후 40여 년동안 선법을 전파하였으며, 범일의 법맥을 이은 대표적인 제자로는 개청(開淸), 행적(行寂) 등이 있었다.[3]

범일의 사굴산문은 신라 왕실과는 대립적인 경향을 보였다. 범일굴산사에 머무르는 동안 경문왕, 헌강왕, 정강왕 등의 부름에 응하지 않았다. 이는 산문이 북쪽 변방에 위치했고 일찍부터 명주(溟州: 지금의 강릉) 지역이 반신라적인 성향이 강한 곳이었기 때문이었다. 더욱이 범일이 중국에 있을 때 황제가 단행한 회창폐불(會昌廢佛)을 경험했는데, 이 폐불 상황에서도 지방관들이 불교를 옹호할 뿐만 아니라 범일을 도와주었다. 이 경험 때문에 범일은 지방관들과는 친밀한 관계를 유지하면서도 다른 산문들과 달리 신라 왕실에 대하여 배타적인 행동을 취하였다.[4]

영동 지역에는 범일의 행적이 미치지 않은 곳이 없을 만큼 그 영향력이 대단했다. 평창의 월정사(月精寺), 동해의 삼화사(三和寺), 강릉의 신복사(神福寺)를 비롯하여 의상대사가 창건한 양양의 낙산사(洛山寺)도 사굴산문의 영향력 아래 있었다.[5]

후원세력

당시 영동 지역은 왕위 쟁탈전에서 패배한 김주원계의 인물들이 지방 호족으로서 강력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었다. 특히 왕순식(王順式)은 명주 사람으로 고려 건국 이후 왕건에게 충성을 맹세하면서 왕씨 성을 하사받았다.[6][7]

왕순식의 지원을 바탕으로 범일은 851년(문성왕 13) 강릉 굴산사에서 사굴산문을 개창하였다. 이뿐만 아니라 범일의 외가를 비롯한 지방 호족 세력은 범일이 사굴산문을 형성하는 데 필요한 경제적 기반을 제공하였다.[8]

사굴산문의 승려들

행적(行寂)범일의 법맥을 이은 뒤 870년(경문왕 10) 당나라에 가서 석상경제(石霜慶諸)의 선법을 다시 이어 855년(헌강왕 11)에 귀국하였으며, 이 때부터 많은 후학들을 양성하였다.[9] 개청(開淸)범일 문하에 있다가 889년(진성왕 3)에 강릉 보현사(普賢寺)에 거주하였는데, 이때 명주군사 왕순식과 인연을 맺었으며, 그 뒤 왕건의 귀의를 받았다.[10]

고려시대의 사굴산파 고승으로는 예종 때의 혜소(慧炤)를 들 수 있다. 그는 사굴산파의 소속으로 송나라에서 유학한 뒤 광명사(廣明寺)순천의 정혜사(定慧寺)에서 후학들을 양성하였다. 제자들 가운데 탄연(坦然)지인(之印)은 이 문파를 크게 진흥시켰다. 탄연산청의 단속사(斷俗寺)에서 선풍을 크게 떨쳤고, 예종의 왕자였던 지인은 선법 외에도 교관(敎觀)과 시문(詩文)에도 능통하였다고 한다. 특히 고려 중기에 선을 크게 중흥시킨 지눌(知訥)도 사굴산파 출신이다.[11]

지식관계망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구산선문 사굴산문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사굴산문 범일 A는 B가 개창하였다 A ekc:founder B
사굴산문 강릉 굴산사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강릉 굴산사 범일 A는 B가 창건하였다 A ekc:founder B
도일 제안 A는 B의 스승이다 A ekc:hasDisciple B
제안 범일 A는 B의 스승이다 A ekc:hasDisciple B
범일 행적 A는 B의 스승이다 A ekc:hasDisciple B
범일 개청 A는 B의 스승이다 A ekc:hasDisciple B
강릉 굴산사지 강릉 굴산사 A는 B의 터이다 A edm:isRelatedTo B
봉화 태자사 낭공대사탑비 행적 A는 B를 위한 비이다 A ekc:isSteleOf B
강릉 보현사 낭원대사탑비 개청 A는 B를 위한 비이다 A ekc:isSteleOf B
탄연 사굴산문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지눌 사굴산문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순천 송광사 보조국사비 지눌 A는 B를 위한 비이다 A ekc:isSteleOf B
강릉 굴산사지 승탑 범일 A는 B를 위한 승탑이다 A ekc:isStupaOf B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831년 범일이 당나라로 유학을 떠남.
847년 범일이 귀국함.
851년 범일강릉 굴산사에서 사굴산문을 개창함.

시각자료

주석

  1. 김영태, "사굴산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6년 6월 10일.
  2. 대한불교조계종 포교원, "구산선문의 형성과 전개", 『한국 불교사 - 조계종사를 중심으로』, (주)조계종출판사, 2015, 90-91쪽.
  3. 김영태, "사굴산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6년 6월 10일.
  4. 대한불교조계종 포교원, "구산선문의 형성과 전개", 『한국 불교사 - 조계종사를 중심으로』, (주)조계종출판사, 2015, 90-91쪽.
  5. 이일야, "사굴산문", 『해주에서 장흥까지 아홉개의 산문이 열리다』, (주)조계종출판사, 2016, 158쪽.
  6. 이일야, "사굴산문", 『해주에서 장흥까지 아홉개의 산문이 열리다』, (주)조계종출판사, 2016, 157쪽.
  7. 최규성, "왕순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8. 이일야, "사굴산문", 『해주에서 장흥까지 아홉개의 산문이 열리다』, (주)조계종출판사, 2016, 157쪽.
  9. 김영태, "사굴산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6년 6월 10일.
  10. 김두진, "선종구산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11. 김영태, "사굴산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6년 6월 10일.

참고문헌

  • 김두진, "선종구산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 김방용, 「려말 선초 사굴산문과 가지산문에 관한 연구」, 『한국종교사연구』 Vol.9, 한국종교사학회, 2001, 75-98쪽.
  • 김영태, "사굴산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6년 6월 10일.
  • 김흥삼, 「나말려초 굴산문 신앙의 여러 모습」, 『역사와 현실』 No.41, 한국역사연구회, 2001, 151-181쪽.
  • 김흥삼, "사굴산문", 『디지털강릉문화대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 대한불교조계종 포교원, "구산선문의 형성과 전개", 『한국 불교사 - 조계종사를 중심으로』, (주)조계종출판사, 2015, 83-99쪽.
  • 이일야, "사굴산문", 『해주에서 장흥까지 아홉개의 산문이 열리다』, (주)조계종출판사, 2016, 147-175쪽.
  • 정동락, 「범일의 굴산문 개창과 성장기반 조성」, 『신라사학보』 No.35, 신라사학회, 2015, 65-98쪽.
  • 조범환, 「신라말 고려초 굴산문의 성장과 분화」, 『문화사학』 No.37, 한국문화사학회, 2012, 45-63쪽.
  • 홍성익, 「신라말 강원지역 선종의 전래와 정착과정」, 『신라사학보』 No.33, 신라사학회, 2015, 223-258쪽.
  • 황인규, 「고려전기 사굴산문계 고승과 선종계」, 『한국선학』 Vol.17, 한국선학회, 2007, 91-125쪽.
  • 황인규, 「고려후기 수선사와 사굴산문: 고승의 존재양상과 그 동향을 중심으로」, 『보조사상』 Vol.28, 보조사상연구원, 2007, 363-393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