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족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3번째 줄: | 3번째 줄: | ||
|사진= 궁중기록화_물품_장족아_정조국장도감의궤_규장각.jpg | |사진= 궁중기록화_물품_장족아_정조국장도감의궤_규장각.jpg | ||
|사진출처= 규장각한국학연구원(http://e-kyujanggak.snu.ac.kr/) | |사진출처= 규장각한국학연구원(http://e-kyujanggak.snu.ac.kr/) | ||
− | |대표명칭= | + | |대표명칭= 장족아 |
|한자표기= 長足兒 | |한자표기= 長足兒 | ||
|영문명칭= | |영문명칭= | ||
30번째 줄: | 30번째 줄: |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 |- | ||
− | | [[향로|향로(香爐)]] || | + | | [[향로|향로(香爐)]] || 장족아(長足兒) || A는 B에 올려졌다 || A ekc:goesWith B |
|- | |- | ||
− | | [[향합|향합(香盒)]] || | + | | [[향합|향합(香盒)]] || 장족아(長足兒) || A는 B에 올려졌다 || A ekc:goesWith B |
|- | |- | ||
− | | | + | | 장족아(長足兒) || [[향좌아|향좌아(香座兒)]] || A는 B와 같이 사용되었다 || A ekc:goesWith B |
|- | |- | ||
− | | | + | | 장족아(長足兒) || [[경종국장도감의궤|『경종국장도감의궤(景宗國葬都監儀軌)』]] || B는 A에 그려져 있다 || B ekc:isDepictedIn A |
|- | |- | ||
− | | | + | | 장족아(長足兒) || [[단의빈예장도감의궤|『단의빈예장도감의궤(端懿嬪禮葬都監儀軌)』]] || B는 A에 그려져 있다 || B ekc:isDepictedIn A |
|- | |- | ||
− | | | + | | 장족아(長足兒) || [[선의왕후국장도감의궤|『선의왕후국장도감의궤(宣懿王后國葬都監儀軌)』]] || B는 A에 그려져 있다 || B ekc:isDepictedIn A |
|- | |- | ||
− | | | + | | 장족아(長足兒) || [[숙종국장도감의궤|『숙종국장도감의궤(肅宗國葬都監儀軌)』]] || B는 A에 그려져 있다 || B ekc:isDepictedIn A |
|- | |- | ||
− | | | + | | 장족아(長足兒) || [[순조국장도감의궤|『순조국장도감의궤(純祖國葬都監儀軌)』]] || B는 A에 그려져 있다 || B ekc:isDepictedIn A |
|- | |- | ||
− | | | + | | 장족아(長足兒) || [[순종순정황후가례도감의궤|『의소세손예장도감의궤(懿昭世孫禮葬都監儀軌)』]] || B는 A에 그려져 있다 || B ekc:isDepictedIn A |
|- | |- | ||
− | | | + | | 장족아(長足兒) || [[인현왕후국장도감의궤|『인현왕후국장도감의궤(仁顯王后國葬都監儀軌)』]] || B는 A에 그려져 있다 || B ekc:isDepictedIn A |
|- | |- | ||
− | | | + | | 장족아(長足兒) || [[정조국장도감의궤|『정조국장도감의궤(正祖國葬都監儀軌)』]] || B는 A에 그려져 있다 || B ekc:isDepictedIn A |
|- | |- | ||
− | | | + | | 장족아(長足兒) || [[효의왕후국장도감의궤|『효의왕후국장도감의궤(孝懿王后國葬都監儀軌)』]] || B는 A에 그려져 있다 || B ekc:isDepictedIn A |
|- | |- | ||
− | | | + | | 장족아(長足兒) || [[영조정순왕후가례도감의궤|『효종국장도감의궤(孝宗國葬都監儀軌)』]] || B는 A에 그려져 있다 || B ekc:isDepictedIn A |
|} | |} | ||
2017년 9월 14일 (목) 19:25 판
장족아(長足兒) | |
![]() 규장각한국학연구원(http://e-kyujanggak.snu.ac.kr/) |
|
대표명칭 | 장족아 |
---|---|
한자표기 | 長足兒 |
유형 | 의례 물품 |
시대 | 조선 |
용도 | 길례(吉禮), 가례(嘉禮), 흉례(凶禮)에 사용 |
관련물품 | 향좌아(香座兒) |
정의
내용
제례(祭禮) , 가례(嘉禮), 상례(喪禮) 등에서 의례에서 향좌아(香座兒)와 함께 짝을 이루어 2개씩 2쌍이 사용되었다.
피나무[가목(椵木)]로 상의 몸체를 만들고, 가래나무[추목(楸木)]로 상의 다리를 만들며, 붉은색 칠이나 검은색 칠을 하였다.
몸체에는 4개 또는 6개의 곡선형의 긴 다리를 달았다.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향로(香爐) | 장족아(長足兒) | A는 B에 올려졌다 | A ekc:goesWith B |
향합(香盒) | 장족아(長足兒) | A는 B에 올려졌다 | A ekc:goesWith B |
장족아(長足兒) | 향좌아(香座兒) | A는 B와 같이 사용되었다 | A ekc:goesWith B |
장족아(長足兒) | 『경종국장도감의궤(景宗國葬都監儀軌)』 | B는 A에 그려져 있다 | B ekc:isDepictedIn A |
장족아(長足兒) | 『단의빈예장도감의궤(端懿嬪禮葬都監儀軌)』 | B는 A에 그려져 있다 | B ekc:isDepictedIn A |
장족아(長足兒) | 『선의왕후국장도감의궤(宣懿王后國葬都監儀軌)』 | B는 A에 그려져 있다 | B ekc:isDepictedIn A |
장족아(長足兒) | 『숙종국장도감의궤(肅宗國葬都監儀軌)』 | B는 A에 그려져 있다 | B ekc:isDepictedIn A |
장족아(長足兒) | 『순조국장도감의궤(純祖國葬都監儀軌)』 | B는 A에 그려져 있다 | B ekc:isDepictedIn A |
장족아(長足兒) | 『의소세손예장도감의궤(懿昭世孫禮葬都監儀軌)』 | B는 A에 그려져 있다 | B ekc:isDepictedIn A |
장족아(長足兒) | 『인현왕후국장도감의궤(仁顯王后國葬都監儀軌)』 | B는 A에 그려져 있다 | B ekc:isDepictedIn A |
장족아(長足兒) | 『정조국장도감의궤(正祖國葬都監儀軌)』 | B는 A에 그려져 있다 | B ekc:isDepictedIn A |
장족아(長足兒) | 『효의왕후국장도감의궤(孝懿王后國葬都監儀軌)』 | B는 A에 그려져 있다 | B ekc:isDepictedIn A |
장족아(長足兒) | 『효종국장도감의궤(孝宗國葬都監儀軌)』 | B는 A에 그려져 있다 | B ekc:isDepictedIn A |
시각자료
갤러리
장족아[1]
장족아[2]
장족아[3]
장족아[4]
장족아[5]
장족아[6]
장족아[7]
장족아[8]
장족아[9]
장족아[10]
장족아[11]
장족아[12]
장족아[13]
장족아[14]
주석
- ↑ 『경종국장도감의궤상(景宗國葬都監儀軌上)』
- ↑ 『단의빈예장도감의궤상(端懿嬪禮葬都監儀軌上)』
- ↑ 『단의빈예장도감의궤상(端懿嬪禮葬都監儀軌上)』
- ↑ 『선의왕후국장도감의궤상(宣懿王后國葬都監儀軌上)』
- ↑ 『숙종국장도감의궤상(肅宗國葬都監儀軌上)』
- ↑ 『순조국장도감의궤이(純祖國葬都監儀軌二)』
- ↑ 『의소세손예장도감의궤상(懿昭世孫禮葬都監儀軌上)』
- ↑ 『의소세손예장도감의궤상(懿昭世孫禮葬都監儀軌上)』
- ↑ 『인현왕후국장도감의궤상(仁顯王后國葬都監儀軌上)』
- ↑ 『인현왕후국장도감의궤상(仁顯王后國葬都監儀軌上)』
- ↑ 『정조국장도감의궤(正祖國葬都監儀軌)』
- ↑ 『효의왕후국장도감의궤이(孝懿王后國葬都監儀軌二)』
- ↑ 『효종국장도감의궤상(孝宗國葬都監儀軌上)』
- ↑ 『효종국장도감의궤상(孝宗國葬都監儀軌上)』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여찬영, 김동소, 남권희, 이은규, 김연주,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Ⅰ-왕실 전례 편-』, 경인문화사, 2012.
- 김연주, 『조선시대 의궤 차자 표기 연구-규장각 소장 가례 관련 의궤를 중심으로-』, 경인문화사, 2015.
- 박봉주, "장족아(長足兒)",
『외규장각 의궤』online , 국립중앙박물관. - 이현진, "장족아(長足兒)",
『조선시대 왕실문화 도해사전』online ,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장족아(長足兒)",
『장서각 디지털아카이브』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