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립협회"의 두 판 사이의 차이
(→관계정보) |
(→서재필기념회(서재필기념재단)) |
||
(사용자 5명의 중간 판 12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단체정보 | {{단체정보 | ||
|사진= 민족_일러_만민공동회.png | |사진= 민족_일러_만민공동회.png | ||
− | |사진출처= | + | |사진출처= |
|대표명칭= 독립협회 | |대표명칭= 독립협회 | ||
|한자표기= 獨立協會 | |한자표기= 獨立協會 | ||
20번째 줄: | 20번째 줄: | ||
}} | }} | ||
=='''정의'''== | =='''정의'''== | ||
− | 1896년(고종 33) 서울에서 | + | 1896년(조선 고종 33) 서울에서 조직된 최초의 근대적인 사회정치단체이다. |
=='''내용'''== | =='''내용'''== | ||
− | 초기에는 토론회·연설 등 민중계몽 운동에 힘써 많은 젊은이들을 | + | ===개화사상의 산실=== |
− | 1897년 2월에는 러시아 영사관에 머물러 있던 고종에게 환궁할 것을 호소하여 | + | 1884년 갑신정변이 실패한 후 미국으로 망명했던 [[서재필]]이 귀국하여 [[이상재]]·[[이승만]]·[[윤치호]]등을 중심으로 설립하였다. 정부의 외세의존정책에 반대하며 한국의 자주독립과 내정개혁을 표방하고 활동하였다. 협회 발족 당시에는 [[이완용]]·[[안경수]] 등 정부 요인들도 다수 참가하였다.<br/> |
− | 1898년 3월 10일 종로광장에서 최초의 민중대회인 [[만민공동회]]를 개최하여 러시아의 군사교련단과 재정고문단을 | + | 출범 초기에는 토론회·연설 등 민중계몽 운동에 힘써 많은 젊은이들을 모았다. 이후 정치문제로 관심을 돌려 1896년 11월에 [[모화관]](중국 사신을 영접하던 곳)을 독립관으로 개수하여 집회장으로 사용하였다. 독립관 앞 [[영은문]] 자리에 [[독립문]]을 세워 독립 정신의 상징으로 삼는 한편, [[독립신문]]을 간행하여 민족의 자주의식을 높이고 개화사상을 고취하였다.<ref>한국사사전편찬회, 『한국근현대사사전』, 가람기획, 2005.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19660&cid=42958&categoryId=42958 독립협회]", 한국근현대사사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 | 1897년 2월에는 러시아 영사관에 머물러 있던 고종에게 환궁할 것을 호소하여 결행하게 하였다. | ||
+ | |||
+ | ===정부관료들의 탈퇴=== | ||
+ | [[독립신문]]을 통한 민주·민권 사상의 보급활동이 갈수록 큰 힘을 발휘하여 지도자의 정부에 대한 비판·비난이 격화되자 회장으로 있던 [[이완용]]이 1988년 전라북도관찰사 부임을 핑계로 모든 정부관료 회원들이 탈퇴하였다. 이후에는 서재필이 회장으로서 독립협회를 운영하였다.<br/> | ||
+ | |||
+ | ===헌의6조를 둘러싼 대립=== | ||
+ | 1898년 3월 10일 종로광장에서 최초의 민중대회인 [[만민공동회]]를 개최하여 러시아의 군사교련단과 재정고문단을 철수시켰다. 같은 해 10월 정부에 국정의 자주노선을 요구하는 [[헌의6조]]를 결의하고, 고종에게 이의 실행을 주청하였다. 고종도 처음에는 6조의 실행을 약속했으나, 이권에 눈이 어두운 정부 대신들의 방해로 약속이 지켜지지 않자, 협회에서는 정부를 맹렬히 탄핵하기 시작했다. 이에 정부 수뇌급이 “독립협회가 황제를 폐하고 공화제를 실시하려 한다”고 거짓으로 고하여 [[이상재]] 이하 17명의 독립협회 간부가 체포되었다. 독립협회는 회원을 총동원하여 석방을 요구하였으나, 정부는 어용단체인 [[황국협회]]를 시켜 부보상 수천 명을 서울에 불러들여 독립협회 회원들에게 테러를 가하는 유혈사태를 빚었다.<br/> | ||
{{Blockquote| 헌의6조 (獻議6條)<br/> | {{Blockquote| 헌의6조 (獻議6條)<br/> | ||
①외국에 의존하지 말고 관민이 합력하여 전제황권을 공고히 할 것<br/> | ①외국에 의존하지 말고 관민이 합력하여 전제황권을 공고히 할 것<br/> | ||
34번째 줄: | 41번째 줄: | ||
⑥별항(외국의 하원을 모방한 민회 설치 등)을 실천할 것<br/> | ⑥별항(외국의 하원을 모방한 민회 설치 등)을 실천할 것<br/> | ||
|출처=한국사사전편찬회, 『한국근현대사사전』, 가람기획, 2005.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19663&cid=42958&categoryId=42958 헌의6조]", 한국근현대사사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출처=한국사사전편찬회, 『한국근현대사사전』, 가람기획, 2005.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19663&cid=42958&categoryId=42958 헌의6조]", 한국근현대사사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
− | 이에 흥분한 | + | ===독립협회 해산=== |
+ | 이에 흥분한 민중이 정부고관의 집을 습격하는 등 소란이 일어났다. 고종은 11월 부득이 내각을 개편하고 양 협회 대표를 불러 그들의 요구를 모두 들어줄 것을 조건으로 협회의 해산을 명하였다. 이로써 협회는 해산되었으나, [[만민공동회]]라는 이름으로 존속하다가 이마저도 1898년 말 해산하였다. 그러나 독립협회의 정신은 그 후 [[대한자강회]]와 [[대한협회]]로 그 정신이 이어졌다. | ||
+ | |||
+ | |||
+ | |||
+ | == 가족 == | ||
+ | 시조 [[서신일]](徐神逸 아간대부.부총리) | ||
+ | |||
+ | 2세 [[서필]](徐弼 내의령(內議省).종 1품.국무총리) | ||
+ | |||
+ | 3세 [[서희]](徐熙 내사령(內史令).종 1품.국무총리) | ||
+ | |||
+ | * 고고고고고고고고고조할아버지:[[서성(조선)|서성]](徐渻 판중추부사 종1품) | ||
+ | ** 고고고고고고고고조할아버지:[[서경우(조선)|서경우]](徐景雨 우의정 정1품) | ||
+ | *** 고고고고고고고조할아버지:[[서원리]](徐元履 함경도 감사) | ||
+ | **** 고고고고고고조할아버지:[[서문중(조선)|서문중]](徐文重 영의정 정1품) | ||
+ | ** 고고고고고고고고조할아버지:[[서경수(조선)|서경수]](徐景需 전첨.증 이조판서 정2품) | ||
+ | *** 고고고고고고고조할아버지 : [[서형리]](徐亨履) | ||
+ | **** 고고고고고고고할아버지: [[서문도]](徐文道 사평(司評)) | ||
+ | ***** 고고고고고조할아버지: [[서종제]](徐宗悌 영조의 국구.달성부원군) | ||
+ | ****** 고모고고고할머니: [[정성왕후]] 서씨(貞聖王后 徐氏) | ||
+ | ****** 고고고고조할아버지: [[서명백(조선)|서명백]](徐命伯 증 이조판서) | ||
+ | ******* 고고고조할아버지: [[서덕수(조선)|서덕수]](徐德修 증 이조참판) | ||
+ | ******** 고고조할아버지: [[서유호]](徐有浩 군수) | ||
+ | ********* 고조할아버지: [[서일보]](徐日輔 도정) | ||
+ | ********** 증조할아버지: [[서진순(조선)|서진순]](徐震淳 진사) | ||
+ | *********** 할아버지: [[서상기]](徐相夔 생원) | ||
+ | ************ 친아버지(양아버지[[서광하]](徐光夏)): [[서광효]](徐光孝) | ||
+ | ************* 본인:[[서재필]](徐載弼 독립운동가) | ||
+ | |||
+ | == 가족 계보 == | ||
+ | 시조: [[서신일]] (徐神逸 아간공. 종1품) | ||
+ | * [[서필]](徐弼)(종1품 내의령) | ||
+ | ** [[서희]](徐熙)(종1품 내사령) | ||
+ | *** [[서주행]](徐周行)(달성군) | ||
+ | **** [[서한(고려)|서한]](徐閈 정4품 군기소윤) | ||
+ | ***** [[서신(고려1)|서신]](徐愼 정2품 이부판사) | ||
+ | ****** [[서무질]](徐無疾 종2품 밀직사) | ||
+ | ******* [[서진(고려)|서진]](徐晉 정3품 판도판서) | ||
+ | ******** [[서기준(고려)|서기준]](徐奇俊 정2품 문하시중찬성사) | ||
+ | ********* [[서영(고려)|서영]](徐穎 정2품 문하시중찬성사) | ||
+ | ********** [[서익진]](徐益進 종2품 판전객시사) | ||
+ | *********** [[서의(고려3)|서의]](徐義 정3품 호조전서) | ||
+ | ************ [[서미성(조선)|서미성]](徐彌性 정3품 목사(牧使)) | ||
+ | ************* [[서거광]](徐居廣 언양현감) | ||
+ | ************** [[서팽소]](徐彭召 사헌부장령) | ||
+ | *************** [[서고(조선)|서고]](徐固 예조참의(禮曹參議) | ||
+ | **************** [[서해(조선)|서해]](徐嶰 학자) | ||
+ | ***************** [[서성(조선)|서성]](徐渻 판중추부사 종1품) | ||
+ | ****************** [[서경수(조선)|서경수]](徐景需 전첨.증 이조판서 정2품) | ||
+ | ******************* [[서형리]](徐亨履) | ||
+ | ******************** [[서문도]](徐文道 사평(司評)) | ||
+ | ********************* [[서종제]](徐宗悌 영조의 국구.달성부원군) | ||
+ | ********************** [[서명백(조선)|서명백]](徐命伯 증 이조판서) | ||
+ | *********************** [[서덕수(조선)|서덕수]](徐德修 증 이조참판) | ||
+ | ************************ [[서유호]](徐有浩 군수) | ||
+ | ************************* [[서일보]](徐日輔 도정) | ||
+ | ************************** [[서진순(조선)|서진순]](徐震淳 진사) | ||
+ | *************************** [[서상기]](徐相夔 생원) | ||
+ | **************************** [[서광하]](徐光夏) | ||
+ | ***************************** [[서재필]](徐載弼 독립운동가) | ||
+ | |||
+ | == [[서울독립문]](─獨立門) == | ||
+ | 소재지: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현저동 941 | ||
+ | |||
+ | 서울특별시 서대문구에 있는 대한제국기 자주독립을 위해 세운 문(門). 석조문. 사적. | ||
+ | |||
+ | == [[독립신문]] == | ||
+ | 1896년 창간된 한국 최초의 민간 일간지이다. | ||
+ | |||
+ | == [[독립협회]] == | ||
+ | 1896년(조선 고종 33) 서울에서 조직된 최초의 근대적인 사회정치단체이다. | ||
+ | |||
+ | == [[송재문화제]](松齋文化祭) == | ||
+ | 보성군은 독립신문 창간과 독립협회 창립 등 활동으로 조국의 자주독립에 평생을 바친 송재 [[서재필]] 선생을 기리는 ‘송재 문화제'를 개최했다. | ||
+ | |||
+ | == [[서재필기념공원]](徐載弼記念公園) == | ||
+ | 주암호의 아름다운 풍광을 배경으로 강건한 삶을 살았던 독립투사 송재 [[서재필]] 선생의 유혼이 머무는 공간이다. 18세 나이로 갑신정변 주역 중의 한 사람이었던 [[서재필]]은 그 후, 미국으로 망명하여 우리나라 최초의 양의사가 되었다. 하지만 일신의 영달을 꾀하지 않고, 조국의 독립을 위하여 독립신문을 제작하고 독립문을 만들었으며, 평생을 독립운동에 몸바쳤던 이다. 그가 태어난 문덕면 생가 앞에는 기념공원을 건립하여 추모하고 그의 정신이 살아있는 독립문을 재현하고 유품 800여점을 전시하고 있다. 이 지역은 보성군의 북부 지역으로 천년고찰의 대원사와 향토작가 전시관인 백민 미술관 그리고 주암호반, 승주 고인돌공원과 연계되어 교육문화관광코스로 관광객들에게 큰 인기를 끌고 있다. | ||
+ | |||
+ | == [[서재필의학상]] == | ||
+ | 의사이며 언론인으로서 일생동안 국가와 민족을 위해서 몸 바치신 민족의 선각자 [[서재필]](徐載弼) 선생의 업적과 사상을 기리기 위하여 설립된 재단법인 [[서재필기념회]]에서는 애국애족의 정신을 바탕으로 의학의 교육, 진료, 연구 또는 봉사를 통하여 국내외에 큰 업적을 남기고 이 나라 의학계에 [[서재필]](徐載弼) 정신을 빛내준 의료인에게 매년 [[서재필의학상]]을 시상하고 있습니다. | ||
+ | |||
+ | == [[서재필언론문화상]] == | ||
+ | 서재필언론문화상은 우리나라 최초의 민간지인 [[독립신문]]을 창간한 언론인 [[서재필]](徐載弼) 선생을 기리기 위해 2011년 4월 재단법인 [[서재필기념회]]와 한국언론진흥재단에 의해 제정,수여되는 상입니다. 한국신문협회·한국방송협회·한국신문방송편집인협회가 후원하며 신문의 날(4월7일)을 전후하여 정해진 신문주간에 맞추어 시상되고 있습니다. | ||
+ | |||
+ | == [[서재필기념회]](서재필기념재단) == | ||
+ | 위치는 서울 종로구 대학로8가길 56 동숭빌딩 301호 | ||
+ | |||
+ | [[서재필기념회]]는 민족선양사업의 일환으로 송재 [[서재필]] 관련 각종 문화사업을 통해 그의 사상을 구현하기 위하여 설립된 문화체육관광부 소관의 재단법인이다. [[서재필의학상]] 수여, [[서재필언론문화상]] 수여, 올해의 민족언론인 선정, 헌창사업, 독립신문 연구지원, [[서재필]]에 관한 학술연구 지원 및 출판, [[서재필]] 관련 자료수집 및 연구지원, 기타 [[서재필]]의 사상과 겨레사랑을 기리는 민족선양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 ||
+ | |||
+ | == [[한수의 여행]] == | ||
+ | 한수의 여행은 한국의 독립운동가 [[서재필]]이 쓴 소설로, 1922년 출간되었다. 그러나 영화화에 실패하고 묻혀졌다가 1978년부터 종증손 변호사 서동성, 종손자 법학자 서희원 등의 주도로 재출간되었다. 책의 한글 번역은 종증손 서동성이 맡았다. | ||
+ | |||
+ | == [[효양산 전설문화축제]](孝養山 傳說文化祝祭) == | ||
+ | 장위공 [[서희]](徐熙) 선생을 되새겨 볼 수 있고, [[서신일]](徐神逸)선생의 은혜 갚은 사슴과 황금송아지 전설이 있는 [[효양산]]의 주요 6개소(물명당, 효양정, 금송아지상, 은선사, [[서씨]](徐氏)시조 [[서신일]](徐神逸)묘, 금광굴)를 탐방하며, [[효양산]]의 청취를 만끽할 수 있다. | ||
+ | [[서희문화제]](徐熙文化祭)로 명칭 변경 | ||
+ | |||
+ | == [[이섭대천]](利涉大川) == | ||
+ | 창전동 이천시민회관 구내에 세워져 있다. 고려 태조 왕건이 고려를 건국하면서 후백제와 마지막 일전을 치르기 위해 출정길에 올랐다가 장마로 물이 불어난 복하천(福河川)을 건너지 못해 곤경에 빠졌을 때 '[[서목]](徐穆)'이라는 이천 사람의 도움으로 무사히 복하천을 건너 후삼국을 통일할 수 있었다. 그 후 왕건이 [[서목]](徐穆)의 도움에 대한 보답으로 '[[이섭대천]]'이라는 고사에서 따다가 이 지역에 ‘이천(利川)’이라는 이름을 내렸다고 한다. | ||
+ | |||
+ | 이천의 유래에 관한 이 일화를 기념하기 위해 1989년 11월 이천 지역 토박이 원로들의 모임인 이원회(利元會)가 중심이 되어 이천시민회관 구내에 기념비를 건립하였다. 2단으로 된 방형의 대좌 위에 길고 커다란 자연석 형태의 흑요암을 올려놓았으며 흑요암 중앙에 '利涉大川([[이섭대천]])'이라는 글씨를 커다랗게 새겨 넣었다. | ||
+ | |||
+ | == [[서씨 시조 서신일 추향대제]](徐氏 始祖 徐神逸 秋享大祭) == | ||
+ | |||
+ | 모든 서씨 시조 [[서신일]](徐神逸) 시제는 (음력) 매년 10월 첫째 토요일 오전 11시에 효양산 이천시 부발읍 산촌리 산19(경기 이천시 부발읍 산촌리 329)에서 거행된다. | ||
+ | [[서필]] (徐弼)선생,[[서희]] (徐熙)선생 시제는 (음력) 매년 10월 첫째 토요일 오후 2시에 경기 여주시 산북면 후리 166-1에서 거행된다. | ||
+ | |||
+ | == 같이 보기 == | ||
+ | * [[이천 서씨]] | ||
+ | * [[대구 서씨]] | ||
+ | * [[달성 서씨]] | ||
+ | * [[부여 서씨]] | ||
+ | * [[연산 서씨]] | ||
+ | * [[남양 서씨]] | ||
+ | * [[당성 서씨]] | ||
+ | * [[봉성 서씨]] | ||
+ | * [[절강 서씨]] | ||
+ | * [[중국 서씨]] | ||
+ | * [[일본 서씨]] | ||
=='''지식 관계망'''== | =='''지식 관계망'''== | ||
48번째 줄: | 173번째 줄: |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 |- | ||
− | | [[독립협회]] || [[만민공동회]] || A는 | + | | [[독립협회]] || [[만민공동회]]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독립협회]] || [[헌의6조]]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독립협회]] || [[헌의6조]]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 |- | ||
| [[조선 고종]] || [[독립협회]]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조선 고종]] || [[독립협회]]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58번째 줄: | 181번째 줄: | ||
| [[황국협회]] || [[독립협회]] || A는 B와 대립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황국협회]] || [[독립협회]] || A는 B와 대립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 [[독립협회]] || [[서재필]] | + | | [[독립협회]] || [[서재필]] || A는 B에 의해 설립되었다 ||A ekc:founder B |
|- | |- | ||
| [[독립협회]] || [[이승만]] ||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 A foaf:member B | | [[독립협회]] || [[이승만]] ||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 A foaf:member B | ||
115번째 줄: | 238번째 줄: | ||
=='''참고문헌'''== | =='''참고문헌'''== | ||
===인용 및 참조=== | ===인용 및 참조=== | ||
− | # | + | #웹 자원 |
#* 유영렬,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5993 독립협회]",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 유영렬,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5993 독립협회]",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
#*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38358 독립협회]",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 | #*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38358 독립협회]",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 | ||
#* 한국사사전편찬회, 『한국근현대사사전』, 가람기획, 2005.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19660&cid=42958&categoryId=42958 독립협회]", 한국근현대사사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 한국사사전편찬회, 『한국근현대사사전』, 가람기획, 2005.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19660&cid=42958&categoryId=42958 독립협회]", 한국근현대사사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
− | [[분류:민족기록화]][[분류:단체 | + | [[분류:민족기록화]][[분류:단체]] |
2024년 8월 2일 (금) 16:18 기준 최신판
독립협회(獨立協會) | |
대표명칭 | 독립협회 |
---|---|
한자표기 | 獨立協會 |
유형 | 사회정치단체 |
소재지 | 서울 |
창립자 | 서재필,윤치호,이상재, 이승만 |
창립시대 | 대한제국 |
창립일 | 1896년 07월 02일 |
해체일 | 1898년 12월 |
주요업무 | 《독립신문》 발간, 민중계몽 |
목차
정의
1896년(조선 고종 33) 서울에서 조직된 최초의 근대적인 사회정치단체이다.
내용
개화사상의 산실
1884년 갑신정변이 실패한 후 미국으로 망명했던 서재필이 귀국하여 이상재·이승만·윤치호등을 중심으로 설립하였다. 정부의 외세의존정책에 반대하며 한국의 자주독립과 내정개혁을 표방하고 활동하였다. 협회 발족 당시에는 이완용·안경수 등 정부 요인들도 다수 참가하였다.
출범 초기에는 토론회·연설 등 민중계몽 운동에 힘써 많은 젊은이들을 모았다. 이후 정치문제로 관심을 돌려 1896년 11월에 모화관(중국 사신을 영접하던 곳)을 독립관으로 개수하여 집회장으로 사용하였다. 독립관 앞 영은문 자리에 독립문을 세워 독립 정신의 상징으로 삼는 한편, 독립신문을 간행하여 민족의 자주의식을 높이고 개화사상을 고취하였다.[1]
1897년 2월에는 러시아 영사관에 머물러 있던 고종에게 환궁할 것을 호소하여 결행하게 하였다.
정부관료들의 탈퇴
독립신문을 통한 민주·민권 사상의 보급활동이 갈수록 큰 힘을 발휘하여 지도자의 정부에 대한 비판·비난이 격화되자 회장으로 있던 이완용이 1988년 전라북도관찰사 부임을 핑계로 모든 정부관료 회원들이 탈퇴하였다. 이후에는 서재필이 회장으로서 독립협회를 운영하였다.
헌의6조를 둘러싼 대립
1898년 3월 10일 종로광장에서 최초의 민중대회인 만민공동회를 개최하여 러시아의 군사교련단과 재정고문단을 철수시켰다. 같은 해 10월 정부에 국정의 자주노선을 요구하는 헌의6조를 결의하고, 고종에게 이의 실행을 주청하였다. 고종도 처음에는 6조의 실행을 약속했으나, 이권에 눈이 어두운 정부 대신들의 방해로 약속이 지켜지지 않자, 협회에서는 정부를 맹렬히 탄핵하기 시작했다. 이에 정부 수뇌급이 “독립협회가 황제를 폐하고 공화제를 실시하려 한다”고 거짓으로 고하여 이상재 이하 17명의 독립협회 간부가 체포되었다. 독립협회는 회원을 총동원하여 석방을 요구하였으나, 정부는 어용단체인 황국협회를 시켜 부보상 수천 명을 서울에 불러들여 독립협회 회원들에게 테러를 가하는 유혈사태를 빚었다.
헌의6조 (獻議6條) ①외국에 의존하지 말고 관민이 합력하여 전제황권을 공고히 할 것 |
||
출처: 한국사사전편찬회, 『한국근현대사사전』, 가람기획, 2005. 온라인 참조: "헌의6조", 한국근현대사사전, |
독립협회 해산
이에 흥분한 민중이 정부고관의 집을 습격하는 등 소란이 일어났다. 고종은 11월 부득이 내각을 개편하고 양 협회 대표를 불러 그들의 요구를 모두 들어줄 것을 조건으로 협회의 해산을 명하였다. 이로써 협회는 해산되었으나, 만민공동회라는 이름으로 존속하다가 이마저도 1898년 말 해산하였다. 그러나 독립협회의 정신은 그 후 대한자강회와 대한협회로 그 정신이 이어졌다.
가족
시조 서신일(徐神逸 아간대부.부총리)
2세 서필(徐弼 내의령(內議省).종 1품.국무총리)
3세 서희(徐熙 내사령(內史令).종 1품.국무총리)
가족 계보
시조: 서신일 (徐神逸 아간공. 종1품)
- 서필(徐弼)(종1품 내의령)
서울독립문(─獨立門)
소재지: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현저동 941
서울특별시 서대문구에 있는 대한제국기 자주독립을 위해 세운 문(門). 석조문. 사적.
독립신문
1896년 창간된 한국 최초의 민간 일간지이다.
독립협회
1896년(조선 고종 33) 서울에서 조직된 최초의 근대적인 사회정치단체이다.
송재문화제(松齋文化祭)
보성군은 독립신문 창간과 독립협회 창립 등 활동으로 조국의 자주독립에 평생을 바친 송재 서재필 선생을 기리는 ‘송재 문화제'를 개최했다.
서재필기념공원(徐載弼記念公園)
주암호의 아름다운 풍광을 배경으로 강건한 삶을 살았던 독립투사 송재 서재필 선생의 유혼이 머무는 공간이다. 18세 나이로 갑신정변 주역 중의 한 사람이었던 서재필은 그 후, 미국으로 망명하여 우리나라 최초의 양의사가 되었다. 하지만 일신의 영달을 꾀하지 않고, 조국의 독립을 위하여 독립신문을 제작하고 독립문을 만들었으며, 평생을 독립운동에 몸바쳤던 이다. 그가 태어난 문덕면 생가 앞에는 기념공원을 건립하여 추모하고 그의 정신이 살아있는 독립문을 재현하고 유품 800여점을 전시하고 있다. 이 지역은 보성군의 북부 지역으로 천년고찰의 대원사와 향토작가 전시관인 백민 미술관 그리고 주암호반, 승주 고인돌공원과 연계되어 교육문화관광코스로 관광객들에게 큰 인기를 끌고 있다.
서재필의학상
의사이며 언론인으로서 일생동안 국가와 민족을 위해서 몸 바치신 민족의 선각자 서재필(徐載弼) 선생의 업적과 사상을 기리기 위하여 설립된 재단법인 서재필기념회에서는 애국애족의 정신을 바탕으로 의학의 교육, 진료, 연구 또는 봉사를 통하여 국내외에 큰 업적을 남기고 이 나라 의학계에 서재필(徐載弼) 정신을 빛내준 의료인에게 매년 서재필의학상을 시상하고 있습니다.
서재필언론문화상
서재필언론문화상은 우리나라 최초의 민간지인 독립신문을 창간한 언론인 서재필(徐載弼) 선생을 기리기 위해 2011년 4월 재단법인 서재필기념회와 한국언론진흥재단에 의해 제정,수여되는 상입니다. 한국신문협회·한국방송협회·한국신문방송편집인협회가 후원하며 신문의 날(4월7일)을 전후하여 정해진 신문주간에 맞추어 시상되고 있습니다.
서재필기념회(서재필기념재단)
위치는 서울 종로구 대학로8가길 56 동숭빌딩 301호
서재필기념회는 민족선양사업의 일환으로 송재 서재필 관련 각종 문화사업을 통해 그의 사상을 구현하기 위하여 설립된 문화체육관광부 소관의 재단법인이다. 서재필의학상 수여, 서재필언론문화상 수여, 올해의 민족언론인 선정, 헌창사업, 독립신문 연구지원, 서재필에 관한 학술연구 지원 및 출판, 서재필 관련 자료수집 및 연구지원, 기타 서재필의 사상과 겨레사랑을 기리는 민족선양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한수의 여행
한수의 여행은 한국의 독립운동가 서재필이 쓴 소설로, 1922년 출간되었다. 그러나 영화화에 실패하고 묻혀졌다가 1978년부터 종증손 변호사 서동성, 종손자 법학자 서희원 등의 주도로 재출간되었다. 책의 한글 번역은 종증손 서동성이 맡았다.
효양산 전설문화축제(孝養山 傳說文化祝祭)
장위공 서희(徐熙) 선생을 되새겨 볼 수 있고, 서신일(徐神逸)선생의 은혜 갚은 사슴과 황금송아지 전설이 있는 효양산의 주요 6개소(물명당, 효양정, 금송아지상, 은선사, 서씨(徐氏)시조 서신일(徐神逸)묘, 금광굴)를 탐방하며, 효양산의 청취를 만끽할 수 있다. 서희문화제(徐熙文化祭)로 명칭 변경
이섭대천(利涉大川)
창전동 이천시민회관 구내에 세워져 있다. 고려 태조 왕건이 고려를 건국하면서 후백제와 마지막 일전을 치르기 위해 출정길에 올랐다가 장마로 물이 불어난 복하천(福河川)을 건너지 못해 곤경에 빠졌을 때 '서목(徐穆)'이라는 이천 사람의 도움으로 무사히 복하천을 건너 후삼국을 통일할 수 있었다. 그 후 왕건이 서목(徐穆)의 도움에 대한 보답으로 '이섭대천'이라는 고사에서 따다가 이 지역에 ‘이천(利川)’이라는 이름을 내렸다고 한다.
이천의 유래에 관한 이 일화를 기념하기 위해 1989년 11월 이천 지역 토박이 원로들의 모임인 이원회(利元會)가 중심이 되어 이천시민회관 구내에 기념비를 건립하였다. 2단으로 된 방형의 대좌 위에 길고 커다란 자연석 형태의 흑요암을 올려놓았으며 흑요암 중앙에 '利涉大川(이섭대천)'이라는 글씨를 커다랗게 새겨 넣었다.
서씨 시조 서신일 추향대제(徐氏 始祖 徐神逸 秋享大祭)
모든 서씨 시조 서신일(徐神逸) 시제는 (음력) 매년 10월 첫째 토요일 오전 11시에 효양산 이천시 부발읍 산촌리 산19(경기 이천시 부발읍 산촌리 329)에서 거행된다. 서필 (徐弼)선생,서희 (徐熙)선생 시제는 (음력) 매년 10월 첫째 토요일 오후 2시에 경기 여주시 산북면 후리 166-1에서 거행된다.
같이 보기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독립협회 | 만민공동회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독립협회 | 헌의6조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조선 고종 | 독립협회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황국협회 | 독립협회 | A는 B와 대립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독립협회 | 서재필 | A는 B에 의해 설립되었다 | A ekc:founder B |
독립협회 | 이승만 |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 A foaf:member B |
독립협회 | 윤치호 |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 A foaf:member B |
독립협회 | 이완용 |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 A foaf:member B |
독립협회 | 안경수 |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 A foaf:member B |
독립협회 | 이상재 |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 A foaf:member B |
독립협회 | 남궁억 |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 A foaf:member B |
독립협회 | 안창호 |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 A foaf:member B |
독립신문 | 독립협회 | A는 B에 의해 간행되었다 | A dcterms:publisher B |
시간정보
시간정보 | 내용 |
---|---|
1896년 07월 02일 | 서재필이 독립협회을 설립하였다 |
1896년 04월 07일 | 서재필이 독립신문을 창간하였다 |
1897년 11월 20일 | 독립협회이 독립문을 건립하였다 |
1898년 03월 10일 | 독립협회이 만민공동회를 개최하였다 |
1898년 12월 | 고종이 독립협회을 해산하였다 |
공간정보
위도 | 경도 | 내용 |
---|---|---|
37.572633 | 126.959570 | 독립협회는 독립문을 건립하였다 |
37.570020 | 126.983695 | 독립협회는 종로에서 만민공동회를 개최하였다 |
시각자료
영상
- J.H Kang - 관민공동회(게시일 : 2013년 06월 10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