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각순-남해대교"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틀:민족기록화 Top icon}} {{민족기록화_샘플 |사진= 박각순-남해대교-1973s.jpg |작품명= 남해대교 |작가= 박각순 |제작연도= 1973년 |규격= 300...) |
|||
(사용자 5명의 중간 판 41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5번째 줄: | 5번째 줄: | ||
|작가= [[박각순]] | |작가= [[박각순]] | ||
|제작연도= 1973년 | |제작연도= 1973년 | ||
− | |규격= 300호( | + | |규격= 300호(197x290.9cm) |
|유형= 건설/교통 | |유형= 건설/교통 | ||
|분류= 유화 | |분류= 유화 | ||
− | |소장처= | + | |소장처= [[새마을운동중앙연수원]] |
|필드수=7 | |필드수=7 | ||
}} | }} | ||
+ | =='''정의'''== | ||
+ | 경상남도 하동군 금남면 노량리와 남해군 설천면 노량리(남해도) 사이를 연결하는 다리인 [[남해대교]]를 그린 [[박각순]]의 민족기록화이다. | ||
− | ==''' | + | =='''설명'''== |
− | [[파일:박각순-남해대교-1973s.jpg| | + | ===작품 소재=== |
− | < | + | [[파일:민족기록화 인덱스맵 박각순-남해대교-1973s.jpg|right|450px]] |
+ | 다리 위를 달리는 차들이나 밑으로 지나가는 배 등을 통해 그림 속 [[남해대교]]의 크기를 짐작할 수 있다. 그림은 1970년대 당시의 모습을 충실히 재현하고 있는데, 오늘날의 풍경도 거의 같은 모습일 정도로 크게 달라진 점이 없다. 그림을 세로로 삼 등분하는 다리를 기준으로 오른편에는 '''⑥⑨ 옹기종기 모여있는 민가'''가, 왼편에는 '''①④⑤ [[금오산]]'''이 그려져 있다.<br/> | ||
+ | 1968년 5월에 착공되어 1973년 6월 20일에 완성된 [[남해대교]]는 우리나라 처음으로 가설한 동양 최대 규모의 [[현수교]](懸垂橋:케이블로 도로 상판을 지탱하는 교량)이다. 또한 국내에서 가장 긴 3경간 2힌지(hinge) 보강형 현수교<ref>가장 일반적인 [[현수교]]의 종류. 3경간이란 늘어진 부분이 총 세 군데라는 의미이며, 2힌지는 지지대가 두 개라는 의미이다.</ref>이기도 하다. | ||
− | == | + | ===작품 배경=== |
+ | 남해군의 경제는 주로 농산물을 주원료로 하는 소규모 공업에 불과했다. 하지만 좌우로 여수·광양지구, 삼천포지구 등에 대단위 [[임해공업단지]]가 설치·가동되었고, [[남해안고속도로|남해안]] 및 [[호남고속도로]]가 완공됨에 따라 점차 발전하기 시작하였다. 남해대교의 건설은 그러한 발전의 흐름을 더욱 활성화시켰고, 부근 지역인 부산·여수·마산·남해·하동 등과의 지역간 연결 체제가 한층 원활하게 되었다.<br/> | ||
+ | 또한 육지와의 왕래가 쉬워져 국내 관광객 및 외국 관광객을 유치하는 데 커다란 이점을 지니게 되었고, [[한려해상국립공원]](閑麗海上國立公園) 지역과 남해도 전체의 발전 및 개발을 촉진하는 데 큰 역할을 하고 있다.<ref>변근주,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2279 남해대교]",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 | ==''' | + | ===그림 읽기=== |
− | 건설/교통 | + | *그림 위에서 마우스를 움직여 클릭되는 지점을 찾아 보세요. |
− | + | *[http://maschek.hu/imagemap/imgmap/ 온라인 이미지맵 에디터] | |
+ | <imagemap>Image:박각순-남해대교-1973s.jpg|center|800px| | ||
+ | </imagemap> | ||
+ | |||
+ | =='''지식 관계망'''== | ||
+ | <html> | ||
+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
+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
+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s://dh.aks.ac.kr/Encyves/Graph/C096/C096.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
+ | </html> | ||
+ | |||
+ | ===관계정보=== | ||
+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
+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 |- | ||
+ | | [[박각순-남해대교]] || [[박각순]] || A는 B가 그렸다 || A dcterms:creator B | ||
+ | |- | ||
+ | | [[박각순-남해대교]] || [[새마을운동중앙연수원]] ||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
+ | |- | ||
+ | | [[박각순-남해대교]] || [[새마을운동중앙연수원]] || A는 B에 대여되었다 || A ekc:hasExhibitionAt B | ||
+ | |- | ||
+ | | [[박각순-남해대교]] || [[남해대교]]||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A ekc:depicts B | ||
+ | |- | ||
+ | | [[박각순-남해대교]] || [[금오산]]|| A는 B를 배경으로 한다 || A ekc:depicts B | ||
+ | |- | ||
+ | |[[남해대교]] || [[현수교]] || A의 유형은 B이다 || A dcterms:type B | ||
+ | |- | ||
+ | | [[남해대교]] || [[금오산]] || A는 B와 인접해 있다 || A ekc:isNear B | ||
+ | |- | ||
+ | | [[남해대교]] || [[한려해상국립공원]] || A는 B와 인접해 있다 || A ekc:isNear B | ||
+ | |- | ||
+ | | [[남해대교]] || [[호남고속도로]] || A는 B와 인접해 있다 || A ekc:isNear B | ||
+ | |- | ||
+ | | [[남해대교]] || [[남해안고속도로]] || A는 B와 인접해 있다 || A ekc:isNear B | ||
+ | |} | ||
+ | |||
+ | ===시간정보=== | ||
+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 ||
+ | !style="width:20%"|시간정보!!style="width:80%"|내용 | ||
+ | |- | ||
+ | |1975년 || [[박각순]]이 [[박각순-남해대교]]를 제작하였다. | ||
+ | |- | ||
+ | |1991년 1월 15일-1992월 1월 14일 || [[새마을운동중앙연수원]]이 [[박각순-남해대교]]를 대여하였다. | ||
+ | |- | ||
+ | |1998년 12월 30일-현재 || [[새마을운동중앙연수원]]이 [[박각순-남해대교]]를 소유하고 있다. | ||
+ | |} | ||
+ | |||
+ | ===공간정보=== | ||
+ | *'''우리나라 대표적인 다리''' | ||
+ | <html> | ||
+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
+ | <input type="button" value=" Map " onclick="reload();"> | ||
+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s://dh.aks.ac.kr/Encyves/Google/GoogleMapsKML.htm?kml=https://dh.aks.ac.kr/Encyves/Map/C029/C029.kml"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
+ | </html> | ||
+ | |||
+ | ===관련 민족기록화=== |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건설/교통 소재 작품" heights=180px style="float:center" > | ||
파일:김서봉-서울부산간고속도로-1973s.jpg |[[김서봉-서울부산간고속도로]] | 파일:김서봉-서울부산간고속도로-1973s.jpg |[[김서봉-서울부산간고속도로]] | ||
파일:손응성-호남고속도로-1975s.jpg |[[손응성-호남고속도로]] | 파일:손응성-호남고속도로-1975s.jpg |[[손응성-호남고속도로]] | ||
36번째 줄: | 98번째 줄: | ||
</gallery> | </gallery> | ||
− | + | =='''시각자료'''== | |
− | ==''' | + | ===가상현실=== |
− | === | ||
<html> | <html> | ||
− | <iframe width="100%" height=" | + | <iframe width="100%" height="600" src="https://dh.aks.ac.kr/encyves/Pavilions/C904/S001/S001.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 </html> | ||
+ | {{clickable button | [https://dh.aks.ac.kr/encyves/Pavilions/C904/S001/S001.htm 가상 미술관 - 전체 화면 보기] }} | ||
− | === | + | ===갤러리=== |
− | + | <gallery mode=packed caption="" heights=150px style="float:center" > | |
− | + | 파일:민족기록화 장소 남해대교 옛전경01.jpg|남해대교 옛 전경<ref>"[http://www.ehistory.go.kr/page/view/photo.jsp?photo_PhotoSrcGBN=BK&photo_PhotoID=18&detl_PhotoDTL=3207 경남 남해군과 하동군을 잇는 한국 최초의 현수교 남해대교 전경]", 정부기록사진집, <html><online style="color:purple">『e영상역사관』<sup>online</sup></online></html>.</ref> | |
− | | | + | 파일:민족기록화 장소 남해대교 옛전경02.jpg|남해대교 가설 공사 광경<ref>"[http://www.ehistory.go.kr/page/view/photo.jsp?photo_PhotoSrcGBN=BK&photo_PhotoID=17&detl_PhotoDTL=3149 '남해대교' 가설 공사]", 정부기록사진집, <html><online style="color:purple">『e영상역사관』<sup>online</sup></online></html>.</ref> |
− | + | </gallery> | |
− | |||
− | |||
− | |||
− | |||
− | |||
− | === | + | ===영상=== |
− | + | *'''[http://www.ehistory.go.kr/page/view/movie.jsp?srcgbn=KV&mediaid=870&mediadtl=6578&gbn=DH 대한뉴스 제 938호-남해대교]''' | |
− | |||
− | |||
− | |||
− | |||
− | |||
− | |||
− | === | + | =='''주석'''== |
− | + | <references/> | |
− | |||
− | |||
− | |||
− | |||
=='''참고문헌'''== | =='''참고문헌'''== | ||
−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 | + | ===인용 및 참조=== |
− | + | #웹 자원 | |
+ | #*변근주,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12279 남해대교]",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
+ |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37796 남해대교]",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 | ||
+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999755&cid=42856&categoryId=42856 남해대교]", 대한민국 구석구석,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
− | |||
− | [[분류:민족기록화]][[분류:작품]][[분류: | + | [[분류:민족기록화]][[분류:작품]] [[분류:문헌]] |
2024년 3월 14일 (목) 14:54 기준 최신판
남해대교 | |
작가 | 박각순 |
---|---|
제작연도 | 1973년 |
규격 | 300호(197x290.9cm) |
유형 | 건설/교통 |
분류 | 유화 |
소장처 | 새마을운동중앙연수원 |
목차
정의
경상남도 하동군 금남면 노량리와 남해군 설천면 노량리(남해도) 사이를 연결하는 다리인 남해대교를 그린 박각순의 민족기록화이다.
설명
작품 소재
다리 위를 달리는 차들이나 밑으로 지나가는 배 등을 통해 그림 속 남해대교의 크기를 짐작할 수 있다. 그림은 1970년대 당시의 모습을 충실히 재현하고 있는데, 오늘날의 풍경도 거의 같은 모습일 정도로 크게 달라진 점이 없다. 그림을 세로로 삼 등분하는 다리를 기준으로 오른편에는 ⑥⑨ 옹기종기 모여있는 민가가, 왼편에는 ①④⑤ 금오산이 그려져 있다.
1968년 5월에 착공되어 1973년 6월 20일에 완성된 남해대교는 우리나라 처음으로 가설한 동양 최대 규모의 현수교(懸垂橋:케이블로 도로 상판을 지탱하는 교량)이다. 또한 국내에서 가장 긴 3경간 2힌지(hinge) 보강형 현수교[1]이기도 하다.
작품 배경
남해군의 경제는 주로 농산물을 주원료로 하는 소규모 공업에 불과했다. 하지만 좌우로 여수·광양지구, 삼천포지구 등에 대단위 임해공업단지가 설치·가동되었고, 남해안 및 호남고속도로가 완공됨에 따라 점차 발전하기 시작하였다. 남해대교의 건설은 그러한 발전의 흐름을 더욱 활성화시켰고, 부근 지역인 부산·여수·마산·남해·하동 등과의 지역간 연결 체제가 한층 원활하게 되었다.
또한 육지와의 왕래가 쉬워져 국내 관광객 및 외국 관광객을 유치하는 데 커다란 이점을 지니게 되었고, 한려해상국립공원(閑麗海上國立公園) 지역과 남해도 전체의 발전 및 개발을 촉진하는 데 큰 역할을 하고 있다.[2]
그림 읽기
- 그림 위에서 마우스를 움직여 클릭되는 지점을 찾아 보세요.
- 온라인 이미지맵 에디터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박각순-남해대교 | 박각순 | A는 B가 그렸다 | A dcterms:creator B |
박각순-남해대교 | 새마을운동중앙연수원 |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박각순-남해대교 | 새마을운동중앙연수원 | A는 B에 대여되었다 | A ekc:hasExhibitionAt B |
박각순-남해대교 | 남해대교 |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 A ekc:depicts B |
박각순-남해대교 | 금오산 | A는 B를 배경으로 한다 | A ekc:depicts B |
남해대교 | 현수교 | A의 유형은 B이다 | A dcterms:type B |
남해대교 | 금오산 | A는 B와 인접해 있다 | A ekc:isNear B |
남해대교 | 한려해상국립공원 | A는 B와 인접해 있다 | A ekc:isNear B |
남해대교 | 호남고속도로 | A는 B와 인접해 있다 | A ekc:isNear B |
남해대교 | 남해안고속도로 | A는 B와 인접해 있다 | A ekc:isNear B |
시간정보
시간정보 | 내용 |
---|---|
1975년 | 박각순이 박각순-남해대교를 제작하였다. |
1991년 1월 15일-1992월 1월 14일 | 새마을운동중앙연수원이 박각순-남해대교를 대여하였다. |
1998년 12월 30일-현재 | 새마을운동중앙연수원이 박각순-남해대교를 소유하고 있다. |
공간정보
- 우리나라 대표적인 다리
관련 민족기록화
시각자료
가상현실
갤러리
영상
주석
- ↑ 가장 일반적인 현수교의 종류. 3경간이란 늘어진 부분이 총 세 군데라는 의미이며, 2힌지는 지지대가 두 개라는 의미이다.
- ↑ 변근주, "남해대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경남 남해군과 하동군을 잇는 한국 최초의 현수교 남해대교 전경", 정부기록사진집,
『e영상역사관』online . - ↑ "'남해대교' 가설 공사", 정부기록사진집,
『e영상역사관』onlin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