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기록화관 개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노드정리) |
(→지식관계망 예시) |
||
(사용자 7명의 중간 판 171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 + | =민족기록화 가상 미술관= | |
− | = | + | 민족기록화는 박정희 정부 시절 ‘민족’의 가치를 강조하고 ‘근대화’의 중요성을 알리기 위해 1967년부터 1979년 사이 당대의 저명한 화가들의 참여와 정부 지원으로 그려진 기록화들입니다. 개개의 작품은 모두 세밀한 묘사를 통해 역사적 사건을 실감나게 다루고 있기에, 우리 역사와 문화의 현장을 연상하며 그 가치를 생각하게 하는 역사 문화 교육 교재가 될 수 있습니다.<br/>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본 연구팀은 1973년부터 1979년 사이에 문예진흥원의 공식적인 지원으로 제작된 104 점의 작품과, 1967년에 제작된 최초의 민족기록화 중 한국학중앙연구원이 소장하고 있는 2 점의 작품, 이렇게 총 106점의 작품을 대상으로 가상 미술관을 구현하였습니다.<br/>그리고 106편의 민족기록화 작품을 중심으로 502건의 지식 노드(민족기록화 106편, 작가 45명, 소장처 7건, 인물 48건, 단체 73건, 사건 53건, 장소 39건, 관련 문헌 12건, 관련 물품 1건, 문화유산 49건, 개념어 64건, 주제별 해설 5건)를 추출하고, 해당 노드들을 중심으로 의미적 관계망을 시각자료와 함께 구현하여, 그림 속에 담겨 있는 우리 역사의 다양한 지식들이 재미있는 이야기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
− | + | ==가상 미술관 예시== | |
− | == | + | <html> |
+ | <iframe width="100%" height="600" src="https://dh.aks.ac.kr/encyves/Pavilions/C903/S001/S001.htm" frameborder="0" scrolling="no"></iframe> | ||
+ | </html><br/> | ||
+ | {{clickable button | [http://dh.aks.ac.kr/~tutor/Gallery/aks/aksGallery.htm 가상 미술관 - 전체 화면 보기] }} | ||
+ | ==지식관계망 예시== | ||
+ | <!-- | ||
<html> | <html> |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
−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 | +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s://dh.aks.ac.kr/Encyves/Graph/C039/C039.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 </html> | ||
+ | --> | ||
+ | {{ NetworkGraph | title=C039.lst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Contents_C}}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024년 3월 14일 (목) 15:12 기준 최신판
민족기록화 가상 미술관
민족기록화는 박정희 정부 시절 ‘민족’의 가치를 강조하고 ‘근대화’의 중요성을 알리기 위해 1967년부터 1979년 사이 당대의 저명한 화가들의 참여와 정부 지원으로 그려진 기록화들입니다. 개개의 작품은 모두 세밀한 묘사를 통해 역사적 사건을 실감나게 다루고 있기에, 우리 역사와 문화의 현장을 연상하며 그 가치를 생각하게 하는 역사 문화 교육 교재가 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본 연구팀은 1973년부터 1979년 사이에 문예진흥원의 공식적인 지원으로 제작된 104 점의 작품과, 1967년에 제작된 최초의 민족기록화 중 한국학중앙연구원이 소장하고 있는 2 점의 작품, 이렇게 총 106점의 작품을 대상으로 가상 미술관을 구현하였습니다.
그리고 106편의 민족기록화 작품을 중심으로 502건의 지식 노드(민족기록화 106편, 작가 45명, 소장처 7건, 인물 48건, 단체 73건, 사건 53건, 장소 39건, 관련 문헌 12건, 관련 물품 1건, 문화유산 49건, 개념어 64건, 주제별 해설 5건)를 추출하고, 해당 노드들을 중심으로 의미적 관계망을 시각자료와 함께 구현하여, 그림 속에 담겨 있는 우리 역사의 다양한 지식들이 재미있는 이야기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가상 미술관 예시
지식관계망 예시
민족기록화 가상 미술관
기획기사
이미지 | 기사 제목 | 비고 |
---|---|---|
민족기록화로 살펴보는 신라의 삼국통일 | ||
민족기록화로 살펴보는 고려의 항쟁 | ||
민족기록화로 살펴보는 임진왜란 3대 대첩 | ||
민족기록화로 살펴보는 농어민 소득증대 특별사업 | ||
민족기록화로 살펴보는 기업의 탄생 |
중심기사 1: 민족기록화 작품
이미지 | 작품 제목 | 비고 |
---|---|---|
김창락-울주 반구대 암각도 | 역사/문화-고대 | |
이종상-광개토대왕의 영토 확장 | 역사/문화-삼국/통일신라 | |
박각순-살수대첩 | 역사/문화-삼국/통일신라 | |
박창돈-안시성싸움 | 역사/문화-삼국/통일신라 | |
정영열-연개소문의 사수싸움 | 역사/문화-삼국/통일신라 | |
정창섭-화랑도의 수련 | 역사/문화-삼국/통일신라 | |
이종상-태종무열왕 | 역사/문화-삼국/통일신라 | |
오승우-황산싸움 | 역사/문화-삼국/통일신라 | |
오승우-신라의 당군 격퇴와 삼국통일 | 역사/문화-삼국/통일신라 | |
박광진-장보고의 해상 활동 | 역사/문화-삼국/통일신라 | |
이종상-고구려 고분 벽화 | 역사/문화-삼국/통일신라 | |
김태-황룡사의 조영 | 역사/문화-삼국/통일신라 | |
이종상-김대성과 석굴암 | 역사/문화-삼국/통일신라 | |
김충선-혜초의 천축구법 활동 | 역사/문화-삼국/통일신라 | |
이인영-안융진 담판을 하는 서희 | 역사/문화-고려 | |
이용환-귀주대첩 | 역사/문화-고려 | |
안재후-여진정벌 | 역사/문화-고려 | |
김서봉-삼별초의 대몽항전 | 역사/문화-고려 | |
김태-동령부 우라산성의 공함 | 역사/문화-고려 | |
문학진-쌍성수복 | 역사/문화-고려 | |
박창돈-최영장군의 홍산전투 | 역사/문화-고려 | |
박성환-예성강도 | 역사/문화-고려 | |
최대섭-고려대장경 | 역사/문화-고려 | |
문학진-고려청자 | 역사/문화-고려 | |
최대섭-화포와 화약을 제조하는 최무선 | 역사/문화-고려 | |
김태-육진개척 | 역사/문화-조선 | |
강대운-진주성싸움 | 역사/문화-조선 | |
김태-홍의장군 곽재우 | 역사/문화-조선 | |
박항섭-연안성싸움 | 역사/문화-조선 | |
박석호-추풍령싸움 | 역사/문화-조선 | |
오승우-행주대첩 | 역사/문화-조선 | |
정창섭-조헌선생의 금산전투 | 역사/문화-조선 | |
김형구-한산대첩 | 역사/문화-조선 | |
김기창-명량대첩 | 역사/문화-조선 | |
박서보-설법으로 왜장을 감동시킨 사명당(송운대사) | 역사/문화-조선 | |
박광진-승군을 지휘하는 휴정(서산대사) | 역사/문화-조선 | |
신영상-백마산성을 지킨 임경업장군 | 역사/문화-조선 | |
박득순-허준과 동의보감 | 역사/문화-조선 | |
정창섭-정약용과 저술 | 역사/문화-조선 | |
김태-김정호의 대동여지도 | 역사/문화-조선 | |
오승윤-동학교주 전봉준 | 역사/문화-계몽/항일 | |
장리석-홍주성수복 | 역사/문화-계몽/항일 | |
정창섭-태백산전투 | 역사/문화-계몽/항일 | |
박기태-박승환의 자결순국 | 역사/문화-계몽/항일 | |
손수광-충정공 민영환의 자결순국 | 역사/문화-계몽/항일 | |
박영선-이등박문을 총살하는 안중근의사 | 역사/문화-계몽/항일 | |
손수광-청산리싸움 | 역사/문화-계몽/항일 | |
임직순-홍범도장군의 봉오동전투 | 역사/문화-계몽/항일 | |
이의주-최익현 선생의 유해 환국 | 역사/문화-계몽/항일 | |
최대섭-만민공동회의 민중대회 | 역사/문화-계몽/항일 | |
장리석-민족을 계몽하고 있는 안창호선생 | 역사/문화-계몽/항일 | |
박각순-교정에 선 이승훈 선생 | 역사/문화-계몽/항일 | |
최대섭-민족대표의 독립선언 | 역사/문화-계몽/항일 | |
문학진-파고다공원의 3.1독립만세시위 | 역사/문화-계몽/항일 | |
윤중식-8.15해방 | 역사/문화-현대 | |
김서봉-구월산지구 유격대 | 역사/문화-현대 | |
이인영-협업영농새마을(개곡리) | 경제발전-농축수산/새마을 | |
장두건-종합우수새마을(묵현리) | 경제발전-농축수산/새마을 | |
이동훈-환경정리새마을 | 경제발전-농축수산/새마을 | |
이마동-소득사업(새마을) | 경제발전-농축수산/새마을 | |
이마동-감귤 | 경제발전-농축수산/새마을 | |
천칠봉-경지정리 | 경제발전-농축수산/새마을 | |
천칠봉-대단위뽕밭 | 경제발전-농축수산/새마을 | |
정영렬-무진장조림단지 | 경제발전-농축수산/새마을 | |
장리석-국립종축장 | 경제발전-농축수산/새마을 | |
이인영-삼화목장 | 경제발전-농축수산/새마을 | |
이용환-굴뗏목양식 | 경제발전-농축수산/새마을 | |
김창락-원양어업 | 경제발전-농축수산/새마을 | |
문학진-강원탄광 | 경제발전-광공업 | |
최덕휴-장성광업소 | 경제발전-광공업 | |
오승우-포항종합제철 | 경제발전-광공업 | |
김원-마산공업단지 | 경제발전-광공업 | |
임직순-석유화학공업단지 | 경제발전-광공업 | |
박항섭-한양화학공업 | 경제발전-광공업 | |
김태-신진자동차 | 경제발전-광공업 | |
양인옥-기아산업 | 경제발전-광공업 | |
박득순-현대조선소 | 경제발전-광공업 | |
박창돈-금성사 | 경제발전-광공업 | |
오승윤-구미전자공업 | 경제발전-광공업 | |
김종하-한일합섬 | 경제발전-광공업 | |
박창돈-선경(모직) | 경제발전-광공업 | |
박항섭-한국기계 | 경제발전-광공업 | |
이용환-삼도물산 | 경제발전-광공업 | |
최영림-대동공업 | 경제발전-광공업 | |
김창락-쌍용시멘트 | 경제발전-광공업 | |
김숙진-한국비료 | 경제발전-광공업 | |
박영선-인천판유리 | 경제발전-광공업 | |
하인두-동명목재 | 경제발전-광공업 | |
박광진-소양강댐 | 경제발전-에너지 | |
김숙진-소양강댐 | 경제발전-에너지 | |
정영렬-팔당수력발전소 | 경제발전-에너지 | |
이의주-호남정유 | 경제발전-에너지 | |
김형구-고리원자력발전소 | 경제발전-에너지 | |
김서봉-서울부산간고속도로 | 경제발전-건설/교통 | |
손응성-호남고속도로 | 경제발전-건설/교통 | |
박각순-남해대교 | 경제발전-건설/교통 | |
박각순-산업선전철 | 경제발전-건설/교통 | |
문학진-지하철제1호선승강구 | 경제발전-건설/교통 | |
박득순-지하철 | 경제발전-건설/교통 | |
박광진-아산방조제 | 경제발전-건설/교통 | |
박서보-수출선박 | 경제발전-건설/교통 | |
정창섭-인천항도크 | 경제발전-건설/교통 | |
정창섭-인천항제2도크 | 경제발전-건설/교통 | |
김원-해안사방 | 경제발전-건설/교통 | |
박영선-현충사 | 경제발전-건설/교통 | |
손응성-불국사 | 경제발전-건설/교통 |
중심기사 2: 민족기록화 작가
이미지 | 작가 | 작품 |
---|---|---|
강대운 | | |
김기창 | | |
김서봉 | | |
김숙진 | | |
김원(화가) | ||
김종하 | | |
김창락 | ||
김충선 | | |
김태 | | |
김형구 | | |
문학진 | | |
박각순 | | |
박광진 | | |
박기태 | ||
박득순 | ||
박서보 | | |
박석호 | | |
박성환 | | |
박영선 | | |
박창돈 | | |
박항섭 | | |
손수광 | | |
손응성 | | |
신영상 | | |
안재후 | | |
양인옥 | | |
오승우 | | |
오승윤 | | |
윤중식 | | |
이동훈 | | |
이마동 | | |
이용환 | | |
이의주 | | |
이인영 | | |
이종상 | | |
임직순 | | |
장두건 | ||
장리석 | | |
정영렬 | | |
정창섭 | | |
천칠봉 | ||
최대섭 | | |
최덕휴 | | |
최영림 | ||
하인두 | |
중심기사 3: 민족기록화 소장처
이미지 | 기관 | 소장 작품 |
---|---|---|
독립기념관 | | |
전쟁기념관 | | |
한국학중앙연구원 | | |
새마을운동중앙연수원 | | |
국가기록원 부산기록관 | | |
인천문화예술회관 | | |
포항철강산업단지 관리공단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