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문한(조선)"의 두 판 사이의 차이
(→가족)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10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 승사랑(丞仕郞) 광흥창(廣興倉) 부승(副丞) | + | 승사랑(丞仕郞) 광흥창(廣興倉) 부승(副丞).현감. |
− | 모든 [[서씨]] 시조 [[서신일]](徐神逸) 시제는 (음력) 매년 10월 첫째 토요일 오전 11시에 효양산 이천시 부발읍 산촌리 | + | 본관은 [[달성서씨]]. |
+ | |||
+ | 서문한 묘 위치는 경상북도 영천시 금호읍 구암리 | ||
+ | |||
+ | 모든 [[서씨]] 시조 [[서신일]](徐神逸) 시제는 (음력) 매년 10월 첫째 토요일 오전 11시에 효양산 이천시 부발읍 산촌리 산19(경기 이천시 부발읍 산촌리 329)에서 거행된다. | ||
[[서필]] (徐弼)선생,[[서희]] (徐熙)선생 시제는 (음력) 매년 10월 첫째 토요일 오후 2시에 경기 여주시 산북면 후리에서 거행된다. | [[서필]] (徐弼)선생,[[서희]] (徐熙)선생 시제는 (음력) 매년 10월 첫째 토요일 오후 2시에 경기 여주시 산북면 후리에서 거행된다. | ||
43번째 줄: | 47번째 줄: | ||
*********** 작은아버지 : [[서습]](徐漝 생원) | *********** 작은아버지 : [[서습]](徐漝 생원) | ||
*********** 작은아버지 : [[서환]](徐渙 생원) | *********** 작은아버지 : [[서환]](徐渙 생원) | ||
+ | ******** 작은고조할아버지 : [[서지유]](徐之宥 상호군) | ||
+ | ******** 작은고조할아버지 : [[서원(조선)|서원]](徐遠 생원(生員) | ||
********** 작은할아버지: [[서익진]](徐益進 종2품 판전객시사) | ********** 작은할아버지: [[서익진]](徐益進 종2품 판전객시사) | ||
*********** 작은아버지: [[서의(고려3)|서의]](徐義 정3품 호조전서) | *********** 작은아버지: [[서의(고려3)|서의]](徐義 정3품 호조전서) | ||
53번째 줄: | 59번째 줄: | ||
− | [[서씨일가연합회]] [[https://band.us/@seosarang]] | + | [[서씨일가연합회]] [[서일연]][[https://band.us/@seosarang]] |
[[https://open.kakao.com/o/gBQB1q6c]] | [[https://open.kakao.com/o/gBQB1q6c]] | ||
+ | == [[달성서씨 유허비 비문]](達城徐氏遺墟碑碑文) == | ||
+ | 대구 달성공원 (達城公園)의 역사 얽힌 땅은 돌 한덩이 나무 한 그루도 무심히 볼 것이 아니어서 나그네는 멈추고 제 고장 사람들도 이대로 다시 들려보는 것이니 그것은 돌과 나무가 귀해서가 아니라 거기에 아로새겨 놓은 역사가 귀하기 때문이며 그것도 아름다운 역사일 경우에는 더욱 더 그러한 법이다. 여기에 달성(達城)공원은 바로 그 역사 얽힌 곳이니 바라보라 저 玄風(현풍) 琵瑟山 (비슬산)이 동북으로 뻗어 最頂上(최정상)이 되고 다시 서북으로 달려 大德山(대덕 산)을 이루고 그것이 또 북으로 뻗어내려 작은 언덕이 되었다가 그대로 서쪽으로 구불거려 圓山(원산)이 되고 거기서 다시 북으로 뻗어졌다 동으로 굽이 틀어 평지로 내려오다 고개 들고 일어나 동향하여 앉는 것이 바로 여긴데 앞에는 嶺南(영남) 의 웅도 大邱(대구)시가요 뒤에는 臥龍山(와룡산)이 병풍과 같이 둘러쳤으며 멀리 동북에는 八公山(팔공산)이 솟아 둘리고 굽이도는 琴湖江(금호강)이 서로 洛東江 (낙동강)이 흘러들어 강산풍경이 이와 같거늘 어찌 인물의 역사가 없을 가 보냐 | ||
+ | |||
+ | == [[청호재(菁湖齋)]] == | ||
+ | 경상북도 영천시 금호읍 오계리 있는 [[달성 서씨]] 재사(齋舍). 청호재는 기묘사화를 일으킨 심정과 내외종간(內外從間)의 정을 끊고 의리를 밝혀 영천으로 이거(移居)하여 학문과 자연을 벗 삼아 일생을 마친 [[서숙원]](徐叔元)의 묘소를 수호하기 위해 지은 재사이다. | ||
+ | |||
+ | 구암마을 좌측 경부고속도로 아래 구암안길을 따라서 800여m 가다가 갈림길에서 우회전하여 100여m 더 들어가면 있다. 갈림길에서 100여m 직진하면 고속도로 아래 터널이 나오는데 이곳을 지나 300m 더 들어가면 상로재가 있다. | ||
+ | |||
+ | 청호재는 『중수기(重修記)』 기록에 의하면 1728년에 사림의 공의로 창건되었고, 이후 건물이 쇄락하여 1936년에 중수하고 50년 후인 1986년 풍우로 인해 퇴락한 것을 다시 한번 중수하였다. 2007년에는 기와에 이끼가 끼고 누수가 심해져 도리와 연목이 부식되어 무너질 지경에 이르러 중수 번와를 하였다. 이때 서재·대문채·주사 등 부속 건물들도 함께 보수되었다. | ||
+ | |||
+ | 청호재는 낮은 구릉 아래 재사, 주사, 부속사 대문채 건물들이 ㅁ자 형태로 배치되어 있다. 재사는 남동향하여 세워졌는데 지붕의 외형이 독특하다. 정면 3칸, 측면 2칸 규모의 일자형 겹집으로, 실의 배열은 좌측 칸을 통칸방으로 구성하였고, 가운데칸과 우측 칸은 전면에는 마루 칸으로 꾸미고 후면에는 방을 두었다. 기단은 전·후면의 높이 차로 인해 전면에는 화강석 장대석을 3단으로 쌓고 측면과 후면에는 시멘트 모르타르로 마감하였다. 초석은 넓적한 방형의 자연석을 놓고 기둥은 모두 원주를 세웠다. 원주는 약한 민흘림을 두었고 단면 크기는 29㎝로 규모에 맞는 적절한 것을 사용하였다. 창호는 방의 경우 쌍여닫이 세살문을 달았고 대청 우측면에는 쌍여닫이 판문을 달았다. 전면 어칸 기둥 상부에는 창방과 처마도리 장여 사이 소로를 끼워 장식하였다. 가구는 3량 구조로 대들보 위에 긴 동자대공을 세우고 종도리를 받게 한 형식이다. 처마는 서까래만 사용한 홑처마에 지붕은 맞배지붕에 눈썹지붕을 달아내어 외형이 특이하다. | ||
+ | |||
+ | 구릉지에 청호재만 있고 주변에는 건물이 없다. 재사 일곽은 토석담장을 둘러 외부와 경계 짓고, 대문채 담장 밖으로는 넓은 주차장이 조성되어 있다. 대문채는 소슬삼문 형식으로 중앙에 출입문을 달고 좌·우측에는 방을 드렸다. 재사 좌측에는 4칸 규모의 맞배집 주사가 세워져 있고, 우측 담장 밖에는 관리사가 배치되어 있다. 재사 및 주변 건물의 관리 상태는 양호하다. | ||
+ | 건립 연대가 명확하고 건물의 형식이 영천 지역의 보편적인 재사 형식과는 달리 평면과 가구 구성이 특이하여 건축적인 가치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 ||
== [[효양산 전설문화축제]](孝養山 傳說文化祝祭) == | == [[효양산 전설문화축제]](孝養山 傳說文化祝祭) == | ||
68번째 줄: | 88번째 줄: | ||
== [[서씨 시조 서신일 추향대제]](徐氏 始祖 徐神逸 秋享大祭) == | == [[서씨 시조 서신일 추향대제]](徐氏 始祖 徐神逸 秋享大祭) == | ||
− | 모든 서씨 시조 [[서신일]](徐神逸) 시제는 (음력) 매년 10월 첫째 토요일 오전 11시에 효양산 이천시 부발읍 산촌리 | + | 모든 서씨 시조 [[서신일]](徐神逸) 시제는 (음력) 매년 10월 첫째 토요일 오전 11시에 효양산 이천시 부발읍 산촌리 산19(경기 이천시 부발읍 산촌리 329)에서 거행된다. |
[[서필]] (徐弼)선생,[[서희]] (徐熙)선생 시제는 (음력) 매년 10월 첫째 토요일 오후 2시에 경기 여주시 산북면 후리 166-1에서 거행된다. | [[서필]] (徐弼)선생,[[서희]] (徐熙)선생 시제는 (음력) 매년 10월 첫째 토요일 오후 2시에 경기 여주시 산북면 후리 166-1에서 거행된다. | ||
+ | |||
+ | == 같이 보기 == | ||
+ | * [[이천 서씨]] | ||
+ | * [[대구 서씨]] | ||
+ | * [[달성 서씨]] | ||
+ | * [[부여 서씨]] | ||
+ | * [[연산 서씨]] | ||
+ | * [[남양 서씨]] | ||
+ | * [[당성 서씨]] | ||
+ | * [[봉성 서씨]] | ||
+ | * [[절강 서씨]] | ||
+ | * [[중국 서씨]] | ||
+ | * [[일본 서씨]] |
2024년 7월 19일 (금) 07:22 기준 최신판
승사랑(丞仕郞) 광흥창(廣興倉) 부승(副丞).현감.
본관은 달성서씨.
서문한 묘 위치는 경상북도 영천시 금호읍 구암리
모든 서씨 시조 서신일(徐神逸) 시제는 (음력) 매년 10월 첫째 토요일 오전 11시에 효양산 이천시 부발읍 산촌리 산19(경기 이천시 부발읍 산촌리 329)에서 거행된다. 서필 (徐弼)선생,서희 (徐熙)선생 시제는 (음력) 매년 10월 첫째 토요일 오후 2시에 경기 여주시 산북면 후리에서 거행된다.
고려 초기에 나라의 기틀의 튼튼히 한 서필(徐弼)이다. 이어 손자 서희(徐熙)와 증손자 서눌(徐訥) 서유걸(徐惟傑) 서유위(徐惟偉) 서주행(徐周行), 고손자 서정(徐靖) 서존(徐存),서균(徐鈞) 서린(徐璘), 서원(徐元) 서공(徐恭) 서성(徐成) 서순(徐淳),서숭조,서희찬,서능(徐稜),서효손,서신계, 서린(徐鱗),서성윤,서념,서원경,서충,서신,서윤,서후상,서윤현 등이 15대를 이어 재상이 되었다.
대구달성서씨(大丘達城徐氏) 계보는 서신일(徐神逸 아간대부 정2품.부총리 재상)-서필(徐弼 내의령 종1품.국무총리 재상)-서희(徐熙 내사령 종1품.국무총리 재상)-서주행(徐周行 달성군)-서한(徐閈 군기소윤 종3품.차관)-서신(徐愼 이부판사 정2품.부총리 재상)-서무질(徐無疾 밀직사 종2품.부총리 재상)-서진(徐晉 판도판서 정3품.장관)-서기준(徐奇俊 문하시중찬성사 정2품.부총리 재상)-서영(徐穎 문하시중찬성사 정2품.부총리 재상)-서균형(徐鈞衡 정당문학 종2품.부총리 재상) 서익진(徐益進 판전객시사 종2품.부총리 재상)-서침(徐沈 조봉대부 정3품.장관) 서의(徐義 호조전서 정3품.장관) 이다.
목차
가족
시조: 서신일 (徐神逸 아간공. 종1품)
- 고고고고고고고고조할아버지: 서필(徐弼)(종1품 내의령)
- 고고고고고고고고조할머니 : 평양 황씨(平壤黃氏)
- 고고고고고고고조할아버지 : 서희(徐熙)(종1품 내사령)
- 큰고고고고고고조할아버지: 서눌(徐訥)(종1품 문하시중)
- 큰고고고고고고조할아버지 : 서유걸(徐惟傑)(정2품 좌복야)
- 큰고고고고고고조할아버지 : 서유위(徐惟偉)(정3품 장야서령)
- 고고고고고고조할아버지: 서주행(徐周行)(달성군)
- 고고고고고고고조할아버지 : 서희(徐熙)(종1품 내사령)
- 큰고고고고고고고고조할아버지 : 서목(徐穆)(종1품 문하시중.이천백)
달성서씨 유허비 비문(達城徐氏遺墟碑碑文)
대구 달성공원 (達城公園)의 역사 얽힌 땅은 돌 한덩이 나무 한 그루도 무심히 볼 것이 아니어서 나그네는 멈추고 제 고장 사람들도 이대로 다시 들려보는 것이니 그것은 돌과 나무가 귀해서가 아니라 거기에 아로새겨 놓은 역사가 귀하기 때문이며 그것도 아름다운 역사일 경우에는 더욱 더 그러한 법이다. 여기에 달성(達城)공원은 바로 그 역사 얽힌 곳이니 바라보라 저 玄風(현풍) 琵瑟山 (비슬산)이 동북으로 뻗어 最頂上(최정상)이 되고 다시 서북으로 달려 大德山(대덕 산)을 이루고 그것이 또 북으로 뻗어내려 작은 언덕이 되었다가 그대로 서쪽으로 구불거려 圓山(원산)이 되고 거기서 다시 북으로 뻗어졌다 동으로 굽이 틀어 평지로 내려오다 고개 들고 일어나 동향하여 앉는 것이 바로 여긴데 앞에는 嶺南(영남) 의 웅도 大邱(대구)시가요 뒤에는 臥龍山(와룡산)이 병풍과 같이 둘러쳤으며 멀리 동북에는 八公山(팔공산)이 솟아 둘리고 굽이도는 琴湖江(금호강)이 서로 洛東江 (낙동강)이 흘러들어 강산풍경이 이와 같거늘 어찌 인물의 역사가 없을 가 보냐
청호재(菁湖齋)
경상북도 영천시 금호읍 오계리 있는 달성 서씨 재사(齋舍). 청호재는 기묘사화를 일으킨 심정과 내외종간(內外從間)의 정을 끊고 의리를 밝혀 영천으로 이거(移居)하여 학문과 자연을 벗 삼아 일생을 마친 서숙원(徐叔元)의 묘소를 수호하기 위해 지은 재사이다.
구암마을 좌측 경부고속도로 아래 구암안길을 따라서 800여m 가다가 갈림길에서 우회전하여 100여m 더 들어가면 있다. 갈림길에서 100여m 직진하면 고속도로 아래 터널이 나오는데 이곳을 지나 300m 더 들어가면 상로재가 있다.
청호재는 『중수기(重修記)』 기록에 의하면 1728년에 사림의 공의로 창건되었고, 이후 건물이 쇄락하여 1936년에 중수하고 50년 후인 1986년 풍우로 인해 퇴락한 것을 다시 한번 중수하였다. 2007년에는 기와에 이끼가 끼고 누수가 심해져 도리와 연목이 부식되어 무너질 지경에 이르러 중수 번와를 하였다. 이때 서재·대문채·주사 등 부속 건물들도 함께 보수되었다.
청호재는 낮은 구릉 아래 재사, 주사, 부속사 대문채 건물들이 ㅁ자 형태로 배치되어 있다. 재사는 남동향하여 세워졌는데 지붕의 외형이 독특하다. 정면 3칸, 측면 2칸 규모의 일자형 겹집으로, 실의 배열은 좌측 칸을 통칸방으로 구성하였고, 가운데칸과 우측 칸은 전면에는 마루 칸으로 꾸미고 후면에는 방을 두었다. 기단은 전·후면의 높이 차로 인해 전면에는 화강석 장대석을 3단으로 쌓고 측면과 후면에는 시멘트 모르타르로 마감하였다. 초석은 넓적한 방형의 자연석을 놓고 기둥은 모두 원주를 세웠다. 원주는 약한 민흘림을 두었고 단면 크기는 29㎝로 규모에 맞는 적절한 것을 사용하였다. 창호는 방의 경우 쌍여닫이 세살문을 달았고 대청 우측면에는 쌍여닫이 판문을 달았다. 전면 어칸 기둥 상부에는 창방과 처마도리 장여 사이 소로를 끼워 장식하였다. 가구는 3량 구조로 대들보 위에 긴 동자대공을 세우고 종도리를 받게 한 형식이다. 처마는 서까래만 사용한 홑처마에 지붕은 맞배지붕에 눈썹지붕을 달아내어 외형이 특이하다.
구릉지에 청호재만 있고 주변에는 건물이 없다. 재사 일곽은 토석담장을 둘러 외부와 경계 짓고, 대문채 담장 밖으로는 넓은 주차장이 조성되어 있다. 대문채는 소슬삼문 형식으로 중앙에 출입문을 달고 좌·우측에는 방을 드렸다. 재사 좌측에는 4칸 규모의 맞배집 주사가 세워져 있고, 우측 담장 밖에는 관리사가 배치되어 있다. 재사 및 주변 건물의 관리 상태는 양호하다. 건립 연대가 명확하고 건물의 형식이 영천 지역의 보편적인 재사 형식과는 달리 평면과 가구 구성이 특이하여 건축적인 가치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효양산 전설문화축제(孝養山 傳說文化祝祭)
장위공 서희(徐熙) 선생을 되새겨 볼 수 있고, 서신일(徐神逸)선생의 은혜 갚은 사슴과 황금송아지 전설이 있는 효양산의 주요 6개소(물명당, 효양정, 금송아지상, 은선사, 서씨(徐氏)시조 서신일(徐神逸)묘, 금광굴)를 탐방하며, 효양산의 청취를 만끽할 수 있다. 서희문화제(徐熙文化祭)로 명칭 변경
이섭대천(利涉大川)
창전동 이천시민회관 구내에 세워져 있다. 고려 태조 왕건이 고려를 건국하면서 후백제와 마지막 일전을 치르기 위해 출정길에 올랐다가 장마로 물이 불어난 복하천(福河川)을 건너지 못해 곤경에 빠졌을 때 '서목(徐穆)'이라는 이천 사람의 도움으로 무사히 복하천을 건너 후삼국을 통일할 수 있었다. 그 후 왕건이 서목(徐穆)의 도움에 대한 보답으로 '이섭대천'이라는 고사에서 따다가 이 지역에 ‘이천(利川)’이라는 이름을 내렸다고 한다.
이천의 유래에 관한 이 일화를 기념하기 위해 1989년 11월 이천 지역 토박이 원로들의 모임인 이원회(利元會)가 중심이 되어 이천시민회관 구내에 기념비를 건립하였다. 2단으로 된 방형의 대좌 위에 길고 커다란 자연석 형태의 흑요암을 올려놓았으며 흑요암 중앙에 '利涉大川(이섭대천)'이라는 글씨를 커다랗게 새겨 넣었다.
서씨 시조 서신일 추향대제(徐氏 始祖 徐神逸 秋享大祭)
모든 서씨 시조 서신일(徐神逸) 시제는 (음력) 매년 10월 첫째 토요일 오전 11시에 효양산 이천시 부발읍 산촌리 산19(경기 이천시 부발읍 산촌리 329)에서 거행된다. 서필 (徐弼)선생,서희 (徐熙)선생 시제는 (음력) 매년 10월 첫째 토요일 오후 2시에 경기 여주시 산북면 후리 166-1에서 거행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