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자이"의 두 판 사이의 차이
(→가족)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3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 서자이(徐自邇. 내자시직장(內資寺直長) | + | 서자이(徐自邇. 내자시직장(內資寺直長).이천서씨 직장공파. |
조선 전기에 활동한 경상북도 영천 지역 출신의 문인. | 조선 전기에 활동한 경상북도 영천 지역 출신의 문인. | ||
− | 이천 서씨(利川 徐氏)는 신라의 국운이 기울자 아우 [[서신통]](徐神通)과 더불어 이천의 | + | 이천 서씨(利川 徐氏)는 신라의 국운이 기울자 아우 [[서신통]](徐神通)과 더불어 이천의 [[효양산]]에 들어가 스스로 처사라 하고 [[희성당]](希聖堂)을 짓고 후진교육에 여생을 보낸 아간(阿干) [[서신일]](徐神逸)을 시조로 하고 있다. [[서자이]](徐自爾)의 자는 원지(遠之), 호는 심계(心溪)이다. 고조는 부사(府使) [[서극인(고려)|서극인]](徐克仁)이며, 증조는 참군(參軍) [[서건손(조선)|서건손]](徐建孫), 조부는 부사맹(副司猛) [[서승]](徐繩)이다. 부친은 조산대부 영천교수(朝散大夫永川敎授) [[서백령]](徐百齡)이며, 모친은 영천 이씨(永川李氏)로 부장(部長) 이부(李桴)의 딸이다. 부인은 오천 정씨(烏川鄭氏)로 사직(司直) 정재(鄭宰)의 딸이며, 슬하에 3남 1녀를 두니, 아들은 판관(判官) [[서호(조선4)|서호]](徐浩), 예빈시부정(禮賓寺副正) [[서옥(조선4)|서옥]](徐沃), [[서양(조선)|서양]](徐瀁)이며, 사위는 신천인(信川人) 강경후(康景侯)이다. |
서자이는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여러 사람과 창의하여 영천성(永川城) 탈환에 앞장섰고 이어 경주성(慶州城) 전투에서도 돌칼과 대나무 창으로 싸웠다. 병사 박진이 이를 장하게 여겨 활과 양식을 도운 사실이 창의록(倡義錄)에 기록되어 있다. 벼슬은 내자시직장(內資寺直長)을 역임하였고 1629년(인조 7) 7월 16일에 세상을 떠났다. | 서자이는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여러 사람과 창의하여 영천성(永川城) 탈환에 앞장섰고 이어 경주성(慶州城) 전투에서도 돌칼과 대나무 창으로 싸웠다. 병사 박진이 이를 장하게 여겨 활과 양식을 도운 사실이 창의록(倡義錄)에 기록되어 있다. 벼슬은 내자시직장(內資寺直長)을 역임하였고 1629년(인조 7) 7월 16일에 세상을 떠났다. | ||
152번째 줄: | 152번째 줄: | ||
== [[서씨 시조 서신일 추향대제]](徐氏 始祖 徐神逸 秋享大祭) == | == [[서씨 시조 서신일 추향대제]](徐氏 始祖 徐神逸 秋享大祭) == | ||
− | 모든 서씨 시조 [[서신일]](徐神逸) 시제는 (음력) 매년 10월 첫째 토요일 오전 11시에 효양산 이천시 부발읍 산촌리 | + | 모든 서씨 시조 [[서신일]](徐神逸) 시제는 (음력) 매년 10월 첫째 토요일 오전 11시에 효양산 이천시 부발읍 산촌리 산19(경기 이천시 부발읍 산촌리 329)에서 거행된다. |
[[서필]] (徐弼)선생,[[서희]] (徐熙)선생 시제는 (음력) 매년 10월 첫째 토요일 오후 2시에 경기 여주시 산북면 후리 166-1에서 거행된다. | [[서필]] (徐弼)선생,[[서희]] (徐熙)선생 시제는 (음력) 매년 10월 첫째 토요일 오후 2시에 경기 여주시 산북면 후리 166-1에서 거행된다. | ||
+ | |||
+ | == 같이 보기 == | ||
+ | * [[이천 서씨]] | ||
+ | * [[대구 서씨]] | ||
+ | * [[달성 서씨]] | ||
+ | * [[부여 서씨]] | ||
+ | * [[연산 서씨]] | ||
+ | * [[남양 서씨]] | ||
+ | * [[당성 서씨]] | ||
+ | * [[봉성 서씨]] | ||
+ | * [[절강 서씨]] | ||
+ | * [[중국 서씨]] | ||
+ | * [[일본 서씨]] | ||
+ | * [[몽고서씨]] | ||
+ | * [[러시아서씨]] | ||
+ | * [[튀르키예서씨]] | ||
+ | * [[멕시코서씨]] | ||
+ | * [[불가리아서씨]] | ||
+ | * [[중앙아시아서씨]] | ||
+ | * [[카자흐스탄서씨]] | ||
+ | * [[우즈베키스탄서씨]] |
2024년 2월 5일 (월) 14:24 기준 최신판
서자이(徐自邇. 내자시직장(內資寺直長).이천서씨 직장공파.
조선 전기에 활동한 경상북도 영천 지역 출신의 문인.
이천 서씨(利川 徐氏)는 신라의 국운이 기울자 아우 서신통(徐神通)과 더불어 이천의 효양산에 들어가 스스로 처사라 하고 희성당(希聖堂)을 짓고 후진교육에 여생을 보낸 아간(阿干) 서신일(徐神逸)을 시조로 하고 있다. 서자이(徐自爾)의 자는 원지(遠之), 호는 심계(心溪)이다. 고조는 부사(府使) 서극인(徐克仁)이며, 증조는 참군(參軍) 서건손(徐建孫), 조부는 부사맹(副司猛) 서승(徐繩)이다. 부친은 조산대부 영천교수(朝散大夫永川敎授) 서백령(徐百齡)이며, 모친은 영천 이씨(永川李氏)로 부장(部長) 이부(李桴)의 딸이다. 부인은 오천 정씨(烏川鄭氏)로 사직(司直) 정재(鄭宰)의 딸이며, 슬하에 3남 1녀를 두니, 아들은 판관(判官) 서호(徐浩), 예빈시부정(禮賓寺副正) 서옥(徐沃), 서양(徐瀁)이며, 사위는 신천인(信川人) 강경후(康景侯)이다.
서자이는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여러 사람과 창의하여 영천성(永川城) 탈환에 앞장섰고 이어 경주성(慶州城) 전투에서도 돌칼과 대나무 창으로 싸웠다. 병사 박진이 이를 장하게 여겨 활과 양식을 도운 사실이 창의록(倡義錄)에 기록되어 있다. 벼슬은 내자시직장(內資寺直長)을 역임하였고 1629년(인조 7) 7월 16일에 세상을 떠났다.
서자이의 묘소는 경상북도 영천시 임고면 사리 감나무골 세등(細嶝)에 있으며, 창산(昌山) 성원표(成元杓)의 갈문(碣文)이 있다.
이천서씨는 서신일(徐神逸)(아간대부 정2품)- 서필(徐弼)(내의령 종1품) 서봉(徐逢)(광평시랑평장사 정2품) - 서희(徐熙)(내사령 종1품) - 서눌(徐訥)(문하시중 종1품) 서유걸(徐維傑)(좌복야 정2품) 서유위(徐維偉)(장야서령 정3품) 서주행(徐周行)(달성군) - 서정(徐靖)(판삼사사 종1품) 서존(徐存)(병부상서 정3품)-서균(徐鈞)(우복야 정2품) 서린(徐嶙)(판대부사 정2품) 서석(徐碩)(시랑평장사 정2품)-서원(徐元)(평장사 정2품) 서공(徐恭)(판삼사사 종1품) 서순(徐淳(徐諄)(동지추밀원사 종2품) 서성(徐成)(평장사 정2품) 서염(徐廉)(사복부령 종2품)에 걸쳐 칠대(7 대) 동안 연속 재상직에 임명된 고려 최고 문벌 귀족 가문이다.
고려 초기에 나라의 기틀의 튼튼히 한 서필(徐弼)이다. 이어 손자 서희(徐熙)와 증손자 서눌(徐訥) 서유걸(徐惟傑) 서유위(徐惟偉) 서주행(徐周行), 고손자 서정(徐靖) 서존(徐存),서균(徐鈞) 서린(徐璘), 서원(徐元) 서공(徐恭) 서성(徐成) 서순(徐淳),서숭조,서희찬,서능(徐稜),서효손,서신계, 서린(徐鱗),서성윤,서념,서원경,서충,서신,서윤,서후상,서윤현 등이 15대를 이어 재상이 되었다.
이천서씨(利川徐氏) 시조인 서신일(徐神逸 아간대부(阿干大夫). 부총리)의 17세손
2세 서필(徐弼 내의령(內議令).종 1품. 국무총리)
3세 서희(徐熙 내사령(內史令). 종 1품. 국무총리)
4세 서눌(徐訥 문하시중(門下侍中). 종 1품. 국무총리)
서유걸(徐維傑 상서우복야(尙書右僕射). 좌복야(左僕射). 정 2품. 부총리)
서유위(徐維偉 장야서령(掌冶署令). 정 3품. 장관)
서주행(徐周行 달성군(達城君). 장관)
5세 서수(徐琇 문하시중(門下侍中) 봉 희양대군. 종 1품. 국무총리)
서정(徐靖 중서시랑평장사(中書侍郞平章事).참지정사(參知政事).판삼사사(判三司事).종 1품.국무총리)
서존(徐存 태원군(太原君). 병부상서(兵曹尙書).장관)
서면(徐冕 주부(注簿).정 4품.차관보)
6세 서장기(徐長己 병부시랑(兵部侍郞).종 3품.차관)
서균(徐鈞 판장작감사(判將作監事).검교상서우복야(檢校尙書右僕射).좌복야(左僕射). 정 2품. 부총리)
서청습(徐淸習 금오위별장 동정(金吾衛別將同正). 판전의시사(判典醫寺事).장관)
서린(徐嶙) (판대부사(判大府事).정 2품.부총리)
7세 서진부(徐振扶 좌복야(尙書左僕射).정 2품. 부총리)
서원(徐元 성불도감판관(成佛都監判官).평장사(平章事).정2품.부총리)
서영관(穎觀)은 현화사(玄化寺) □자대사(□紫大師)
서공(徐恭 경령전판관(景靈殿判官).동지추밀원사(同知樞密院事).평장사(平章事).판삼사사(判三司事). 종 1품. 국무총리)
서순(徐淳(徐諄) □□□동정(同正).동지추밀사(同知樞密事). 종 2품. 부총리)
서성(徐成 내시 수서랑동정(內侍 授書郞同正). 문하시랑 평장사(門下侍郞平章事) 정2품.부총리)
서염(徐廉 춘방공자(春坊公子). 사복부령(司僕部令). 종2품.부총리)
서효리(徐孝理 문림랑(文林郞) 태창서승(太倉署丞). 좌복야(尙書左僕射).정 2품. 부총리)
서찬(徐瓚 (장령(掌令). 정 4품. 차관보)
8세 서익(徐翼 부령(司僕部令). 종 2 품. 부총리)
9세 서유(徐裕 상장군(上將軍). 정 3품. 장관)
10세 서원기(徐原奇. 계성군(桂城君). 장관)
11세 서제(徐梯)
12세 서맹(徐孟)
13세 서극인(徐克仁)
14세 서건손(徐建孫 참군)
15세 서승(徐繩 부사맹)
서승(徐繩)
16세 서백령(徐百齡.동와(東窩). 조산대부(朝散大夫) 영천교수(永川敎授))
17세 서자통(徐自通.군수(郡守)
서자이(徐自邇. 내자시직장(內資寺直長)
18세 서호(徐浩 판관(判官)
서옥(徐沃.예빈시정(禮賓寺正), 중추부사(中樞副使)). 종3품.차관)
서양(徐瀁)
19세 서우적(徐友積)
서후적(徐後積 통덕랑(通德郞))
서경적(徐景積 훈도(訓導))
가족
시조 서신일(徐神逸 아간대부.부총리)
2세 서필(徐弼 내의령(內議省).종 1품.국무총리)
3세 서희(徐熙 내사령(內史令).종 1품.국무총리)
- 고고고고고고고고고고조할아버지 : 서유걸(徐惟傑)(정2품 좌복야)
- 고고고고고고고고고할아버지: 서정(徐靖) (정2품 평장사.종1품 판삼사사)
- 작은고고고고고고고고할아버지: 서존(徐存) (정3품 병부상서 태원군)
- 고고고고고고고고조할아버지: 서균(徐鈞) (정2품 상서우복야.판장작감사)
모든 서씨 시조 서신일(徐神逸) 시제는 (음력) 매년 10월 첫째 토요일 오전 11시에 효양산 이천시 부발읍 산촌리 산21(경기 이천시 부발읍 산촌리 329)에서 거행된다. 서필 (徐弼)선생,서희 (徐熙)선생 시제는 (음력) 매년 10월 첫째 토요일 오후 2시에 경기 여주시 산북면 후리에서 거행된다.
효양산 전설문화축제(孝養山 傳說文化祝祭)
장위공 서희(徐熙) 선생을 되새겨 볼 수 있고, 서신일(徐神逸)선생의 은혜 갚은 사슴과 황금송아지 전설이 있는 효양산의 주요 6개소(물명당, 효양정, 금송아지상, 은선사, 서씨(徐氏)시조 서신일(徐神逸)묘, 금광굴)를 탐방하며, 효양산의 청취를 만끽할 수 있다. 서희문화제(徐熙文化祭)로 명칭 변경
이섭대천(利涉大川)
창전동 이천시민회관 구내에 세워져 있다. 고려 태조 왕건이 고려를 건국하면서 후백제와 마지막 일전을 치르기 위해 출정길에 올랐다가 장마로 물이 불어난 복하천(福河川)을 건너지 못해 곤경에 빠졌을 때 '서목(徐穆)'이라는 이천 사람의 도움으로 무사히 복하천을 건너 후삼국을 통일할 수 있었다. 그 후 왕건이 서목(徐穆)의 도움에 대한 보답으로 '이섭대천'이라는 고사에서 따다가 이 지역에 ‘이천(利川)’이라는 이름을 내렸다고 한다.
이천의 유래에 관한 이 일화를 기념하기 위해 1989년 11월 이천 지역 토박이 원로들의 모임인 이원회(利元會)가 중심이 되어 이천시민회관 구내에 기념비를 건립하였다. 2단으로 된 방형의 대좌 위에 길고 커다란 자연석 형태의 흑요암을 올려놓았으며 흑요암 중앙에 '利涉大川(이섭대천)'이라는 글씨를 커다랗게 새겨 넣었다.
서씨 시조 서신일 추향대제(徐氏 始祖 徐神逸 秋享大祭)
모든 서씨 시조 서신일(徐神逸) 시제는 (음력) 매년 10월 첫째 토요일 오전 11시에 효양산 이천시 부발읍 산촌리 산19(경기 이천시 부발읍 산촌리 329)에서 거행된다. 서필 (徐弼)선생,서희 (徐熙)선생 시제는 (음력) 매년 10월 첫째 토요일 오후 2시에 경기 여주시 산북면 후리 166-1에서 거행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