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굴산문"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지식관계망) |
|||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8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1번째 줄: | 11번째 줄: | ||
=='''정의'''== | =='''정의'''== | ||
− | 강원도 강릉의 [[강릉 굴산사|굴산사(崛山寺)]]를 중심으로 일어난 [[구산선문|선종구산문(禪宗九山門)]] | + | 강원도 강릉의 [[강릉 굴산사|굴산사(崛山寺)]]를 중심으로 일어난 [[구산선문|선종구산문(禪宗九山門)]] 중 하나. |
=='''내용'''== | =='''내용'''== | ||
===형성과 전개=== | ===형성과 전개=== | ||
− | 고승 [[범일|범일(梵日)]]이 | + | 고승 [[범일|범일(梵日)]]이 강릉 [[강릉 굴산사|굴산사(崛山寺)]]에서 선풍(禪風)을 크게 일으킴으로써 사굴산파(闍崛山派) 또는 굴산선파(崛山禪派)라고 불리게 되었다.<ref>김영태,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5399 사굴산파]",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6년 6월 10일.</ref> |
− | [[범일]]은 831년([[신라 흥덕왕|흥덕왕]] 6) 중국에 | + | [[범일]]은 831년([[신라 흥덕왕|흥덕왕]] 6) 중국에 가, [[도일(중국)|마조도일(馬組道一)]]의 제자인 [[제안|염관제안(鹽官齊安)]]의 법을 받아 귀국했고 명주도독 김공(金公)의 지원으로 [[강릉 굴산사|굴산사]]에 주석했다.<ref>대한불교조계종 포교원, "구산선문의 형성과 전개", 『한국 불교사 - 조계종사를 중심으로』, (주)조계종출판사, 2015, 90-91쪽.</ref> [[범일]]은 [[강릉 굴산사|굴산사]] 창건 후 40여 년 동안 선법을 전파하였으며, [[범일]]의 법맥을 이은 대표적인 제자는 [[개청|개청(開淸)]], [[행적|행적(行寂)]] 등이 있다.<ref>김영태,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5399 사굴산파]",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6년 6월 10일.</ref> |
− | [[범일]]의 사굴산문은 신라 왕실과는 대립적인 경향을 보였다. [[범일]]은 [[강릉 굴산사|굴산사]]에 | + | [[범일]]의 사굴산문은 신라 왕실과는 대립적인 경향을 보였다. [[범일]]은 [[강릉 굴산사|굴산사]]에 머무는 동안 [[신라 경문왕|경문왕]], [[신라 헌강왕|헌강왕]], [[신라 정강왕|정강왕]] 등의 부름에 응하지 않았다. 이는 산문이 북쪽 변방에 위치했고 일찍부터 명주(溟州: 지금의 강릉) 지역이 반신라적인 성향이 강한 곳이기 때문이었다. 더욱이 [[범일]]이 중국에 있을 때 황제가 단행한 [[회창폐불|회창폐불(會昌廢佛)]]을 경험했는데, 이 폐불 상황에서도 지방관들이 불교를 옹호할 뿐 아니라 [[범일]]을 도와주었다. 이 경험으로 [[범일]]은 지방관들과는 친밀한 관계를 유지하면서도 신라 왕실에 대해서는 다른 산물들과 달리 배타적인 행동을 취했다.<ref>대한불교조계종 포교원, "구산선문의 형성과 전개", 『한국 불교사 - 조계종사를 중심으로』, (주)조계종출판사, 2015, 90-91쪽.</ref> |
영동 지역에는 [[범일]]의 행적이 미치지 않은 곳이 없을 만큼 그 영향력이 대단했다. [[평창 월정사|평창의 월정사(月精寺)]], [[동해 삼화사|동해의 삼화사(三和寺)]], [[강릉 신복사|강릉의 신복사(神福寺)]]를 비롯하여 [[의상|의상대사]]가 창건한 [[양양 낙산사|양양의 낙산사(洛山寺)]]도 사굴산문의 영향력 아래 있었다.<ref>이일야, "사굴산문", 『해주에서 장흥까지 아홉개의 산문이 열리다』, (주)조계종출판사, 2016, 158쪽.</ref> | 영동 지역에는 [[범일]]의 행적이 미치지 않은 곳이 없을 만큼 그 영향력이 대단했다. [[평창 월정사|평창의 월정사(月精寺)]], [[동해 삼화사|동해의 삼화사(三和寺)]], [[강릉 신복사|강릉의 신복사(神福寺)]]를 비롯하여 [[의상|의상대사]]가 창건한 [[양양 낙산사|양양의 낙산사(洛山寺)]]도 사굴산문의 영향력 아래 있었다.<ref>이일야, "사굴산문", 『해주에서 장흥까지 아홉개의 산문이 열리다』, (주)조계종출판사, 2016, 158쪽.</ref> | ||
− | === | + | ===후원 세력=== |
− | 당시 영동 지역은 왕위 쟁탈전에서 패배한 | + | 당시 영동 지역은 왕위 쟁탈전에서 패배한 김주원계 인물들이 지방 호족으로서 강력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었다. 특히 [[왕순식|왕순식(王順式)]]은 명주 사람으로 고려 건국 이후 [[고려 태조|왕건]]에게 충성을 맹세하면서 왕씨 성을 하사받았다.<ref>이일야, "사굴산문", 『해주에서 장흥까지 아홉개의 산문이 열리다』, (주)조계종출판사, 2016, 157쪽.</ref><ref>최규성,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9110 왕순식]",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 [[왕순식]]의 지원을 바탕으로 [[범일]]은 851년([[신라 문성왕|문성왕]] 13) [[강릉 굴산사]]에서 사굴산문을 | + | [[왕순식]]의 지원을 바탕으로 [[범일]]은 851년([[신라 문성왕|문성왕]] 13) [[강릉 굴산사]]에서 사굴산문을 개창했다. 뿐만 아니라 [[범일]]의 외가를 비롯한 지방 호족 세력은 [[범일]]이 사굴산문을 형성하는 데 필요한 경제적 기반을 제공했다.<ref>이일야, "사굴산문", 『해주에서 장흥까지 아홉개의 산문이 열리다』, (주)조계종출판사, 2016, 157쪽.</ref> |
===사굴산문의 승려들=== | ===사굴산문의 승려들=== | ||
− | [[행적|행적(行寂)]]은 [[범일]]의 법맥을 이은 뒤 870년([[신라 경문왕|경문왕]] 10) 당나라에 가서 [[경제|석상경제(石霜慶諸)]]의 선법을 다시 이어 855년([[신라 헌강왕|헌강왕]] 11)에 귀국하였으며, 이 때부터 많은 후학들을 | + | [[행적|행적(行寂)]]은 [[범일]]의 법맥을 이은 뒤 870년([[신라 경문왕|경문왕]] 10) 당나라에 가서 [[경제|석상경제(石霜慶諸)]]의 선법을 다시 이어 855년([[신라 헌강왕|헌강왕]] 11)에 귀국하였으며, 이 때부터 많은 후학들을 양성했다.<ref>김영태,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5399 사굴산파]",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6년 6월 10일.</ref> [[개청|개청(開淸)]]은 [[범일]] 문하에 있다가 889년([[신라 진성왕|진성왕]] 3)에 [[강릉 보현사|강릉 보현사(普賢寺)]]에 거주하였는데, 이때 명주군사 [[왕순식|왕순식]]과 인연을 맺었으며, 그 뒤 [[고려 태조|왕건]]의 귀의를 받았다.<ref>김두진,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8926 선종구산문]",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 고려시대의 사굴산파 고승으로는 예종 때의 [[혜소(고려)|혜소(慧炤)]]를 들 수 있다. 그는 | + | 고려시대의 사굴산파 고승으로는 예종 때의 [[혜소(고려)|혜소(慧炤)]]를 들 수 있다. 그는 사굴산파 소속으로 송나라에서 유학한 뒤 [[개성 광명사|광명사(廣明寺)]]와 [[순천 정혜사|순천의 정혜사(定慧寺)]]에서 후학들을 양성했다. 제자들 가운데 [[탄연|탄연(坦然)]]과 [[지인|지인(之印)]]이 이 문파를 크게 진흥시켰다. [[탄연]]은 [[산청 단속사|산청의 단속사(斷俗寺)]]에서 선풍을 크게 떨쳤고, 예종의 왕자인 [[지인]]은 선법 외에도 교관(敎觀)과 시문(詩文)에도 능통하였다고 한다. 또한 고려 중기에 선을 크게 중흥시킨 [[지눌|지눌(知訥)]]도 사굴산파 출신이다.<ref>김영태,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25399 사굴산파]",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6년 6월 10일.</ref> |
=='''지식관계망'''== | =='''지식관계망'''== | ||
+ | *'''사굴산문 지식관계망''' | ||
+ | <html> | ||
+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
+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
+ | <iframe width="100%" height="74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D052/sagulsanmun.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
+ | </html> | ||
===관련항목=== | ===관련항목=== |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 |- | ||
+ | | [[구산선문]] || [[사굴산문]]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
+ | |- | ||
+ | | [[사굴산문]] || [[범일]] || A는 B가 개창하였다 || A ekc:founder B | ||
+ | |- | ||
+ | | [[사굴산문]] || [[강릉 굴산사]]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 [[강릉 굴산사]] || [[범일]] || A는 B가 창건하였다 || A ekc:founder B | ||
+ | |- | ||
+ | | [[도일(중국)]] || [[제안]]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
+ | |- | ||
+ | | [[제안]] || [[범일]]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
+ | |- | ||
+ | | [[범일]] || [[행적]]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
+ | |- | ||
+ | | [[범일]] || [[개청]]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
+ | |- | ||
+ | | [[강릉 굴산사지]] || [[강릉 굴산사]] || A는 B의 터이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 [[봉화 태자사 낭공대사탑비]] || [[행적]] || A는 B를 위한 비이다 || A ekc:isSteleOf B | ||
+ | |- | ||
+ | | [[강릉 보현사 낭원대사탑비]] || [[개청]] || A는 B를 위한 비이다 || A ekc:isSteleOf B | ||
+ | |- | ||
+ | | [[탄연]] || [[사굴산문]]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 [[지눌]] || [[사굴산문]]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 [[순천 송광사 보조국사비]] || [[지눌]] || A는 B를 위한 비이다 || A ekc:isSteleOf B | ||
+ | |- | ||
+ | | [[강릉 굴산사지 승탑]] || [[범일]] || A는 B를 위한 승탑이다 || A ekc:isStupaOf B | ||
|} | |} | ||
44번째 줄: | 79번째 줄: | ||
!style="width:20%"|시간정보!!style="width:80%"|내용 | !style="width:20%"|시간정보!!style="width:80%"|내용 | ||
|- | |- | ||
+ | | 831년 || [[범일]]이 당나라로 유학을 떠남. | ||
+ | |- | ||
+ | | 847년 || [[범일]]이 귀국함. | ||
+ | |- | ||
+ | | 851년 || [[범일]]이 [[강릉 굴산사]]에서 [[사굴산문]]을 개창함. | ||
|} | |} | ||
67번째 줄: | 107번째 줄: | ||
[[분류:불교 사찰의 승탑비문]] | [[분류:불교 사찰의 승탑비문]] | ||
[[분류:개념]] | [[분류:개념]] | ||
− | [[분류:승탑/ | + | [[분류:승탑/교열완료!]] |
2017년 11월 16일 (목) 00:31 기준 최신판
사굴산문 (闍崛山門) |
|
대표명칭 | 사굴산문 |
---|---|
한자표기 | 闍崛山門 |
이칭 | 사굴산파(闍崛山派), 굴산선파(崛山禪派) |
관련개념 | 구산선문(九山禪門) |
정의
강원도 강릉의 굴산사(崛山寺)를 중심으로 일어난 선종구산문(禪宗九山門) 중 하나.
내용
형성과 전개
고승 범일(梵日)이 강릉 굴산사(崛山寺)에서 선풍(禪風)을 크게 일으킴으로써 사굴산파(闍崛山派) 또는 굴산선파(崛山禪派)라고 불리게 되었다.[1]
범일은 831년(흥덕왕 6) 중국에 가, 마조도일(馬組道一)의 제자인 염관제안(鹽官齊安)의 법을 받아 귀국했고 명주도독 김공(金公)의 지원으로 굴산사에 주석했다.[2] 범일은 굴산사 창건 후 40여 년 동안 선법을 전파하였으며, 범일의 법맥을 이은 대표적인 제자는 개청(開淸), 행적(行寂) 등이 있다.[3]
범일의 사굴산문은 신라 왕실과는 대립적인 경향을 보였다. 범일은 굴산사에 머무는 동안 경문왕, 헌강왕, 정강왕 등의 부름에 응하지 않았다. 이는 산문이 북쪽 변방에 위치했고 일찍부터 명주(溟州: 지금의 강릉) 지역이 반신라적인 성향이 강한 곳이기 때문이었다. 더욱이 범일이 중국에 있을 때 황제가 단행한 회창폐불(會昌廢佛)을 경험했는데, 이 폐불 상황에서도 지방관들이 불교를 옹호할 뿐 아니라 범일을 도와주었다. 이 경험으로 범일은 지방관들과는 친밀한 관계를 유지하면서도 신라 왕실에 대해서는 다른 산물들과 달리 배타적인 행동을 취했다.[4]
영동 지역에는 범일의 행적이 미치지 않은 곳이 없을 만큼 그 영향력이 대단했다. 평창의 월정사(月精寺), 동해의 삼화사(三和寺), 강릉의 신복사(神福寺)를 비롯하여 의상대사가 창건한 양양의 낙산사(洛山寺)도 사굴산문의 영향력 아래 있었다.[5]
후원 세력
당시 영동 지역은 왕위 쟁탈전에서 패배한 김주원계 인물들이 지방 호족으로서 강력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었다. 특히 왕순식(王順式)은 명주 사람으로 고려 건국 이후 왕건에게 충성을 맹세하면서 왕씨 성을 하사받았다.[6][7]
왕순식의 지원을 바탕으로 범일은 851년(문성왕 13) 강릉 굴산사에서 사굴산문을 개창했다. 뿐만 아니라 범일의 외가를 비롯한 지방 호족 세력은 범일이 사굴산문을 형성하는 데 필요한 경제적 기반을 제공했다.[8]
사굴산문의 승려들
행적(行寂)은 범일의 법맥을 이은 뒤 870년(경문왕 10) 당나라에 가서 석상경제(石霜慶諸)의 선법을 다시 이어 855년(헌강왕 11)에 귀국하였으며, 이 때부터 많은 후학들을 양성했다.[9] 개청(開淸)은 범일 문하에 있다가 889년(진성왕 3)에 강릉 보현사(普賢寺)에 거주하였는데, 이때 명주군사 왕순식과 인연을 맺었으며, 그 뒤 왕건의 귀의를 받았다.[10]
고려시대의 사굴산파 고승으로는 예종 때의 혜소(慧炤)를 들 수 있다. 그는 사굴산파 소속으로 송나라에서 유학한 뒤 광명사(廣明寺)와 순천의 정혜사(定慧寺)에서 후학들을 양성했다. 제자들 가운데 탄연(坦然)과 지인(之印)이 이 문파를 크게 진흥시켰다. 탄연은 산청의 단속사(斷俗寺)에서 선풍을 크게 떨쳤고, 예종의 왕자인 지인은 선법 외에도 교관(敎觀)과 시문(詩文)에도 능통하였다고 한다. 또한 고려 중기에 선을 크게 중흥시킨 지눌(知訥)도 사굴산파 출신이다.[11]
지식관계망
- 사굴산문 지식관계망
관련항목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구산선문 | 사굴산문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사굴산문 | 범일 | A는 B가 개창하였다 | A ekc:founder B |
사굴산문 | 강릉 굴산사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강릉 굴산사 | 범일 | A는 B가 창건하였다 | A ekc:founder B |
도일(중국) | 제안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제안 | 범일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범일 | 행적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범일 | 개청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강릉 굴산사지 | 강릉 굴산사 | A는 B의 터이다 | A edm:isRelatedTo B |
봉화 태자사 낭공대사탑비 | 행적 | A는 B를 위한 비이다 | A ekc:isSteleOf B |
강릉 보현사 낭원대사탑비 | 개청 | A는 B를 위한 비이다 | A ekc:isSteleOf B |
탄연 | 사굴산문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지눌 | 사굴산문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순천 송광사 보조국사비 | 지눌 | A는 B를 위한 비이다 | A ekc:isSteleOf B |
강릉 굴산사지 승탑 | 범일 | A는 B를 위한 승탑이다 | A ekc:isStupaOf B |
시간정보
시간정보 | 내용 |
---|---|
831년 | 범일이 당나라로 유학을 떠남. |
847년 | 범일이 귀국함. |
851년 | 범일이 강릉 굴산사에서 사굴산문을 개창함. |
시각자료
주석
- ↑ 김영태, "사굴산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6년 6월 10일. - ↑ 대한불교조계종 포교원, "구산선문의 형성과 전개", 『한국 불교사 - 조계종사를 중심으로』, (주)조계종출판사, 2015, 90-91쪽.
- ↑ 김영태, "사굴산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6년 6월 10일. - ↑ 대한불교조계종 포교원, "구산선문의 형성과 전개", 『한국 불교사 - 조계종사를 중심으로』, (주)조계종출판사, 2015, 90-91쪽.
- ↑ 이일야, "사굴산문", 『해주에서 장흥까지 아홉개의 산문이 열리다』, (주)조계종출판사, 2016, 158쪽.
- ↑ 이일야, "사굴산문", 『해주에서 장흥까지 아홉개의 산문이 열리다』, (주)조계종출판사, 2016, 157쪽.
- ↑ 최규성, "왕순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이일야, "사굴산문", 『해주에서 장흥까지 아홉개의 산문이 열리다』, (주)조계종출판사, 2016, 157쪽.
- ↑ 김영태, "사굴산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6년 6월 10일. - ↑ 김두진, "선종구산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김영태, "사굴산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6년 6월 10일.
참고문헌
- 김두진, "선종구산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김방용, 「려말 선초 사굴산문과 가지산문에 관한 연구」, 『한국종교사연구』 Vol.9, 한국종교사학회, 2001, 75-98쪽.
- 김영태, "사굴산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6년 6월 10일. - 김흥삼, 「나말려초 굴산문 신앙의 여러 모습」, 『역사와 현실』 No.41, 한국역사연구회, 2001, 151-181쪽.
- 김흥삼, "사굴산문",
『디지털강릉문화대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대한불교조계종 포교원, "구산선문의 형성과 전개", 『한국 불교사 - 조계종사를 중심으로』, (주)조계종출판사, 2015, 83-99쪽.
- 이일야, "사굴산문", 『해주에서 장흥까지 아홉개의 산문이 열리다』, (주)조계종출판사, 2016, 147-175쪽.
- 정동락, 「범일의 굴산문 개창과 성장기반 조성」, 『신라사학보』 No.35, 신라사학회, 2015, 65-98쪽.
- 조범환, 「신라말 고려초 굴산문의 성장과 분화」, 『문화사학』 No.37, 한국문화사학회, 2012, 45-63쪽.
- 홍성익, 「신라말 강원지역 선종의 전래와 정착과정」, 『신라사학보』 No.33, 신라사학회, 2015, 223-258쪽.
- 황인규, 「고려전기 사굴산문계 고승과 선종계」, 『한국선학』 Vol.17, 한국선학회, 2007, 91-125쪽.
- 황인규, 「고려후기 수선사와 사굴산문: 고승의 존재양상과 그 동향을 중심으로」, 『보조사상』 Vol.28, 보조사상연구원, 2007, 363-393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