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기록화관 개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단체)
176번째 줄: 176번째 줄:
 
파일:손응성-불국사(복원)-1973s.jpg |손응성 「불국사(복원)」 1973
 
파일:손응성-불국사(복원)-1973s.jpg |손응성 「불국사(복원)」 1973
 
</gallery>
 
</gallery>
 +
 +
==작품 (55개)==
 +
* [[8.15해방]]
 +
* [[고려대장경]]
 +
* [[고려청자]]
 +
* [[광개토대왕의 영토 확장]]
 +
* [[구월산지구유격대]]
 +
* [[귀주대첩]]
 +
* [[대동여지도]]
 +
* [[동령부 오라산성의 공함]]
 +
* [[동학교주 전봉준]]
 +
* [[명량대첩]]
 +
* [[박승환의 자결순국]]
 +
* [[백마산성을 지킨 임경업장군]]
 +
* [[살수대첩]]
 +
* [[삼별초의 대몽항전]]
 +
* [[설법으로 왜장을 감동시킨 사명당]]
 +
* [[승군을 지휘하는 휴정]]
 +
* [[쌍성수복]]
 +
* [[안시성싸움]]
 +
* [[안융진 담판을 하는 서희]]
 +
* [[여진정벌]]
 +
* [[연개소문의 사수싸움]]
 +
* [[예성강도]]
 +
* [[육진개척]]
 +
* [[이등박문을 총살하는 안중근]]
 +
* [[조헌선생의 금산전투]]
 +
* [[청산리싸움]]
 +
* [[최영장군의 홍산전투]]
 +
* [[충정공 민영환의 자결순국]]
 +
* [[태백산전투]]
 +
* [[태종무열왕]]
 +
* [[한산대첩]]
 +
* [[행주대첩 (이선우)]]
 +
* [[행주대첩도 (미상)]]
 +
* [[허준과 동의보감]]
 +
* [[홍의장군 곽재우]]
 +
* [[홍주성수복]]
 +
* [[화랑도의 수련]]
 +
* [[화포와 화약을 제조하는 최무선]]
 +
* [[황산벌]]
 +
* [[진주성싸움]]
 +
* [[혜초의 천축구법 활동]]
 +
* [[삼일운동]]
 +
* [[오산학교]]
 +
* [[장보고의 해상 활동]]
 +
* [[추풍령싸움]]
 +
* [[연안성싸움]]
 +
* [[계백장군의 황산싸움]]
 +
* [[신라의 당군 격퇴와 삼국통일]]
 +
* [[행주대첩 (오승우)]]
 +
* [[최익현유해환국]]
 +
* [[장보고초상]]
 +
* [[봉오동전투]]
 +
* [[계몽강연]]
 +
* [[만민공동회]]
 +
* [[독립선언]]
  
 
==작가 (47명)==
 
==작가 (47명)==

2016년 10월 19일 (수) 11:37 판

민족기록화관

민족기록화는 ‘민족’의 가치를 강조하고 ‘근대화’의 중요성을 알리기 위해 1967년에 처음 시작하여 1979년까지 당대의 저명한 화가들의 참여와 정부 지원으로 그려진 기록화들이다. 본 연구 사업은 그 가운데 1973~1979년 사이에 문예진흥원의 공식적인 지원 사업으로 제작된 대략 100여 점의 작품을 대상으로 한다. 개개의 작품이 모두 뛰어난 묘사를 통해 역사적 사건을 실감나게 다루고 있기에, 우리 역사와 문화의 이면을 짚고 그 가치를 생각하게 하는 역사 문화교육 매체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본 연구에서는 민족기록화 작품을 중심으로 하여 약 500여 개의 지식노드(민족기록화 100여 편, 작가 50여 명, 사건 50여건, 공간 50여 건, 역사 인물 100여 명, 관련 문헌 50여 건, 개념어 50여 건)를 추출하고, 해당 노드들을 중심으로 의미적 관계망을 시각자료와 함께 구현하여, 그림 속에 담겨 있는 우리 역사의 다양한 지식들을 재미있는 이야기로 가공하여 전달하고자 한다.

데이터 관계망 예시

대상 자원 목록

1차 자원:민족기록화 (106점)

한국학중앙연구원 소장 민족기록화

역사/문화

고대

삼국/통일신라

고려

조선

계몽/항일

현대

경제발전

농축수산/새마을

광공업

에너지

건설/교통

작품 (55개)

작가 (47명)

인물

사건

공간

기록물

단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