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성 불일사
Encyves Wiki
개성 불일사 (開城 佛日寺) |
|
대표명칭 | 개성 불일사 |
---|---|
영문명칭 | Bulilsa Temple, Gaeseong |
한자 | 開城 佛日寺 |
건립시기 | 951년 |
창건자 | 고려 광종 |
경내문화재 | 개성 불일사 오층석탑 |
정의
경기도 개성시 판문군 보봉산(寶鳳山)에 있었던 고려시대에 세워진 절.
내용
951년(광종 2)에 광종이 태조의 원당으로 봉은사(奉恩寺)를 창건하면서 어머니 유씨(劉氏)의 원당으로 불일사(佛日寺)를 창건하였다.[1]
〈신해〉 2년(951) 대봉은사(大奉恩寺)를 성의 남쪽에 창건하여 태조(太祖)의 원당(願堂)으로 삼고, 또 불일사(佛日寺)를 동쪽 교외에 창건하여 돌아가신 어머니 유씨(劉氏)의 원당으로 삼았다. |
||
출처: 『고려사』 세가 권제2, 광종 2년, 「월미상」.[2] |
또한, 1057년(문종 11) 왕이 이 절에 행차하여 반승(飯僧)을 베풀었다.[3]
여름 4월 병진 왕이 불일사(佛日寺)에 행차하여 반승(飯僧)을 베풀었다. | ||
출처: 『고려사』 세가 권제8, 문종 11년, 「4월」.[4] |
이후의 역사는 전하는 것이 없으나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에는 이 절이 존재한다는 기록이 있어 조선 중기 이후에 폐허화된 것으로 추정한다.[5]
『사탑고적고(寺塔古蹟攷)』에 따르면 이 절터는 동서로 약 150칸, 남북으로 약 100칸의 유지가 남아 있으며, 이 유지에는 북한 국보급 문화재 제35호로 지정된 오층석탑을 비롯하여 석불 네 구와 사리탑 두 기, 당간지주 등이 남아 있다고 한다. 오층석탑은 1906년 태평동으로 옮겨 세웠다가 지금은 고려박물관에 있다.[6]
지식관계망
- 개성 불일사에 주석했던 현오국사 종린의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고려 광종 | 개성 불일사 | A는 B를 창건하였다 | 951년 |
개성 불일사 오층석탑 | 개성 불일사 | A는 B에 있었다 | |
개성 불일사 오층석탑 | 고려박물관 | A는 B에 있다 | |
의천 | 개성 불일사 | A는 B에서 계를 받았다 | A edm:isRelatedTo B |
징엄 | 개성 불일사 | A는 B에서 계를 받았다 | A edm:isRelatedTo B |
종린 | 개성 불일사 | A는 B에서 주석하였다 |
주석
- ↑ 김위석, "불일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태조와 비 유씨의 원당을 짓다", 『고려사』 세가 권제2, 광종 2년, 「종실」,
『한국사데이터베이스』online , 국사편찬위원회. - ↑ 김위석, "불일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반승을 베풀다", 『고려사』 세가 권제8, 문종 11년, 「4월」,
『한국사데이터베이스』online , 국사편찬위원회. - ↑ 김위석, "불일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김위석, "불일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
- 김위석, "불일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태조와 비 유씨의 원당을 짓다", 『고려사』 세가 권제2, 광종 2년, 「종실」,
『한국사데이터베이스』online , 국사편찬위원회. - "반승을 베풀다", 『고려사』 세가 권제8, 문종 11년, 「4월」,
『한국사데이터베이스』online , 국사편찬위원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