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군
DH 교육용 위키
① 조선시대 각 군영(軍營)에 속한 종이품(從二品) 서반 무관(武官)으로 정원은 1원이다. 훈련도감(訓鍊都監)·금위영(禁衛營)·어영청(御營廳)·수어청(守禦廳)·총융청(摠戎廳) 등 5군영의 대장(大將)이나 사(使)의 버금 벼슬로 아장(亞將)이라고 하였다. 보국숭록대부(輔國崇祿大夫)는 제수를 받을 수 없었다. 각 군영에서 대장 또는 사를 보좌하면서 실무를 맡아 보았다. 군안(軍案) 관리, 시취(試取)·고강(考講) 감독, 군기검사, 훈련감독 등의 임무를 맡았다.
② 경기·충청·전라·경상·강원·황해·평안·함경 각 도의 감영중군(監營中軍)으로 감사(監司)의 다음인 버금 벼슬이다. 경기도의 황해중군(黃海中軍)·수원중군(水原中軍)·통어중군(統御中軍), 충청도의 병영중군(兵營中軍)·수영중군(水營中軍), 전라도의 병영중군·좌수영중군·우수영중군·제주중군(濟州中軍), 경상도의 좌병영중군·우병영중군·통영중군(統營中軍)·산성중군(山城中軍)·좌수영중군, 황해도의 병영중군·수영중군, 함경도의 남병영중군·북병영중군, 평안도의 병영중군 등 각 군영의 버금 벼슬로 정삼품(正三品) 당상관(堂上官)이었다.
③ 개성유수(開城留守)·강화유수(江華留守)의 다음인 버금 벼슬이다. 개성중군(開城中軍)·강화중군(江華中軍)이라고 하였다.[1]
관련 지식
관계 | 대상 문서 | 설명 |
---|---|---|
등장하는 그림 | 안릉신영도 | 중군이 그려져 있는 그림 |
복식 | 투구, 갑옷 | 그림 속에 묘사된 중군의 복식 |
연관 복식
까치등거리, 도포, 동다리, 말군, 소창의, 속바지, 장옷, 저고리, 전복, 중치막, 철릭, 치마
Writer: 김아람
- ↑ [네이버 지식백과] 중군 [中軍] (관직명사전, 2011.1.7, 한국학중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