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자 저고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연관 복식) |
잔글 (판 1개) |
(차이 없음)
|
2017년 3월 3일 (금) 15:06 기준 최신판
- ‘저고리’라는 명칭은 포에 비해서 짧은 상의류를 가리킬 때 쓰는 가장 대표적인 어휘이다. 즉 한삼(汗衫), 적삼(赤衫), 고의(串衣), 저고리(赤古里), 액마기(腋亇只), 당의(唐衣), 배거리(背巨里) 등으로 대별되는데, 구성방법에 따라 홑(單), 겹(裌), 누비(衲), 솜(襦) 등으로 수식 되었으며 형태에 따라 소(小), 장(長), 당(唐), 회장(回粧)의 수식어가 붙어 구성상의 특징을 가늠해 볼 수 있다.
- 문헌에 보이는 ‘저고리’라는 명칭은 세종 2년(1420) 원경왕후국상 천전의(薦奠儀)에 처음 나타난다. 1483년 편찬된 악학궤범(樂學軌範) 여기(女妓) 복식중에도 깃, 끝동, 무에 금선(金線)을 댄 장저고리 형태의 도상이 있고 여기에 ‘남저고리(藍赤古里)’라고 기록되어 있다.
- 여성의 저고리류는 남자의 경우와 달리 외의(外衣)적인 기능이 강하여 깃, 끝동, 무, 섶 등을 몸판의 색과 다르게 해주어 장식적인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형태에 따라 명칭도 다양하게 나타난다. 현재에 깃·무·끝동 등에 길과 다른 이색(異色)의 옷감을 배색(配色)한 저고리를 회장저고리라고 한다.[1]
관련 지식
관계 | 대상 문서 | 설명 |
---|---|---|
직책 | 기비, 동기, 기생 | 안릉신영도에 저고리를 착용한 모습으로 표현된 직책 |
복식1 | 전립, 화관, 치마, 말군 | 동기가 저고리와 함께 착용한 복식 |
복식2 | 전립, 전모, 치마, 말군 | 기생이 저고리와 함께 착용한 복식 |
복식3 | 전모, 치마, 쓰개치마 | 기비가 저고리와 함께 착용한 복식 |
연관 복식
갑옷, 동다리, 철릭, 까치등거리, 중치막, 소창의, 도포, 전립, 갓, 복건, 투구, 장옷, 속바지
Writer: 김아람
- ↑ 박성실·조효숙·이은주(2005), 조선시대 여인의 멋과 차림새, 단국대학교 출판부, pp. 9~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