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군
DH 교육용 위키
- 조선시대 말군은 바지통이 넓으며 뒤가 트이고 활동하기 편하게 만들어진 기능적인 바지로 기마용(騎馬用)과 무용복(舞踊服)으로 착용되었다. 세종11년(1429) 대소 부녀를 수종하는 여종의 복장은 말군을 입지 못하게 한 기록[1]과 세조3년(1457) 양반집 부인이 말군 없이 말을 탔기 때문에 기생으로 오해받아 봉변을 당하는 기록[2]으로 보아, 조선 전기에는 기마용 말군이 일정 신분 이상에게만 허용되었던 것을 알 수 있다.[3]
- 조선후기에는 풍속화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기녀들도 말군을 착용한 것을 볼 수 있다. 《안릉신영도》에서도 말군을 착용하고 말을 타고 있는 남자들과 기녀들의 모습이 보이는데 말군의 뒤트임과 말군 부리사이로 말군 안에 입은 옷자락이 조금씩 나와 있는 모습이 사실적으로 묘사되어 있다.
- 현재까지 말군 유물의 출토는 인천 석남동 회곽묘에서 출토된 말군 유물이 유일하다. 이를 통해 말군의 전체적인 형태를 파악할 수 있다. 출토된 말군은 허리끈이 제거된 상태로 출토되었지만 풍속화에 그려진 기녀들의 말군을 통해 말군의 형태 및 착용한 모습을 짐작할 수 있다.
관련 지식
관계 | 대상 문서 | 설명 |
---|---|---|
직책 | 병방, 집사, 동기, 기생 | 안릉신영도에 말군을 착용한 모습으로 표현된 직책 |
복식1 | 갓, 철릭 | 병방이 말군과 함께 착용한 복식 |
복식2 | 전립, 전복, 동다리 | 집사가 말군과 함께 착용한 복식 |
복식3 | 화관, 전복, 여자 저고리, 치마 | 동기가 말군과 함께 착용한 복식 |
복식3 | 전립, 전복, 여자 저고리, 치마 | 기생이 말군과 함께 착용한 복식 |
연관 복식
갑옷, 까치등거리, 중치막, 소창의, 도포, 복건, 투구, 전모, 쓰개치마, 장옷, 속바지
Writer: 김아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