갓
DH 교육용 위키
- 조선시대 남성의 대표적 쓰개인 립[갓]은 정수리를 덮는 원통형의 ‘대우’와 차양의 역할을 하는 테두리인 ‘양태(凉太)’로 구성된다. 립은 대를 가늘게 갈라서 양태와 대우를 만들고 그 위에 포(布)․사(絲)․말총을 이용하여 만든 후 검은 옷칠을 한다. 칠립이라고도 한다. 또 양태와 대우를 싸는 재료에 따라 ‘포립(布笠)’, ‘사립(絲笠)’, ‘마미립(馬尾笠)’ 등이 있고, 대우는 총으로 하고 양태는 포로 싼 음양립(陰陽笠)도 있다. 원래 마미립은 당상과 이상에서만 썼는데 후에는 사족(士族)들도 쓰고 사치를 부렸다. 갓이 벗겨지지 않게 하기 위해 갓끈을 달았은데 갓끈의 재료는 천으로 된 끈과 함께 옥, 마노, 호박, 산호, 수정, 밀화, 대나무 등 주영(珠纓)을 사용하면서 필요 이상으로 길이가 길어지고 장식적인 요소로 변화되었다.[1]
- 립[갓]은 시대에 따라서 립모자의 높이와 양태의 넓이에 많은 변화가 있었다. 조선 초기의 형태는 정확히 알 수 없고, 성종(15세기)대에는 모정이 둥글고 챙이 넓은 형태였다. 연산군 초에는 모정이 조금 뾰족하게 변하였다가 연산군 말기부터 모자의 모양이 위는 좁고 아래는 넓은 원통형으로 되었다. 선조에서 광해군대(17세기 초반)에 양태가 가장 넓은 립이 유행하였고, 인조와 효종대(17세기 중반)에는 모정이 높고 양태가 너무 넓어 문을 드나들 때 방해가 될 정도로 큰 립이 유행하였다. 이후 숙종대에는 한때 작아졌으나 영·정조대(18세기)에는 양태가 비교적 넓으며 거기에 밀화나 호박, 대모 등으로 만든 갓끈으로 멋을 부렸다. 순조대(19세기 초)에 다시 넓은 갓이 유행하다가, 점차 작아지고 대원군의 의관 개정(20세기 전후) 이후 작은 갓으로 정해졌다.[2]
- 립은 주로 철릭이나 도포(道袍), 직령(直領), 창의(氅衣), 중치막(中赤莫) 등 일상복으로 포(袍)를 입을 때 쓴다.
관련 지식
관계 | 대상 문서 | 설명 |
---|---|---|
직책 | 병방, 나장, 주 | 안릉신영도에 갓을 쓰는 모습으로 표현된 직책 |
복식1 | 철릭, 말군 | 병방이 갓과 함께 착용한 복식 |
복식2 | 도포 | 주가 갓과 함께 착용한 복식 |
복식3 | 까치등거리, 중치막 | 병방이 갓과 함께 착용한 복식 |
연관 복식
갑옷, 동다리, 소창의, 전복, 전립, 복건, 투구, 전모, 쓰개치마, 화관, 저고리, 치마, 장옷, 속바지
Writer: 김아람
<문효세자 보양청계병> 상견례 참여자의 립(笠)
- 조선시대 사대부들의 립은 통상예복에 갖추어 쓰는 대표적인 쓰개로, 일반적으로 ‘갓’이라 한다.[3]
- <문효세자 보양청계병>에서 무관들이 머리에 립을 착용하였다.
- 『속대전(續大典)』에서 당상관은 영(纓)을 갖춘 자립(紫笠)을 쓰도록 하였으며 당하관은 정영(晶纓)을 갖춘 흑립(黑笠)을 쓰도록 하였다.[4] 당상관의 영의 재료는 『경국대전(經國大典)』에서 금·옥이라 명시하였고, 당하관의 정영은 수정영이라고도 한다.[5]
- <문효세자 보양청계병>에서 상견례 참여자들이 착용한 립에는 영에 대한 묘사가 보이지 않는다.
- (우측 그림) <문효세자 보양청계병>에서 무관이 립을 착용하고 있는 모습이다. 그림은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관련 지식
관계 | 대상 문서 | 설명 |
---|---|---|
인물 | 철릭 착용 무관 | 머리에 립을 쓴 상견례 참여자 |
복장 | 융복 | 무관의 차림새 |
복식 | 철릭, 광다회대, 세조대, 수화자, 혜 | 무관의 복식 구성 |
회화 | <문효세자 보양청계병> | 보양청 상견례 참여자들의 모습이 그려져 있다. |
문헌 | 경국대전, 속대전 | 문무관의 복식을 규정하였다. |
Writer: 김현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