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위

ShamanEpics

red

Ku조리라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20년 9월 29일 (화) 19:09 판 (연구 데이터)

연구 목적

서사무가 사이의 연관성 확인

연구 대상

  • 무가 권역별 서사무가
    • 북한
    • 중서부(서울, 경기, 인천, 충청)
    • 동해안 및 경상도
    • 전라
    • 제주

연구 방법

개별적 서사무가 연구

대상 작품 사이의 인물, 사건, 배경, 서사 측면에서의 연관성 확인

연구 데이터

  • 북한
    • 강신무
    • 궁상이굿 / 도랑선비 / 치원대양산복
    • 고형에 유사
    • 타 지역에 없는 무가 자료 많음
    • 북한 권역의 무가 중 함경도 지역의 작품은 제주도 무가와 연관되는 작품이 있음
  • 중서부(서울,인천, 경기, 충청)
    • 강신무
    • 의례성에 집중
    • 엄숙성이 높음
    • 성주무가 존재
    • 현재 무가 구연의 왕성도 낮음
  • 동해안 및 경상도
    • 세습무
    • 연희와 오락성 강조
    • 손님굿 활발
    • 인간중심적
    • 심청굿 존재
  • 전라
    • 세습무
    • 장자풀이와 칠성풀이 전승
    • 바리공주와 당금애기 약화
  • 제주
    • 일반신본풀이
      • 천지왕 / 삼승할망 / 마누라 / 초공 / 이공 / 삼공 / 차사 / 맹감 / 지장 / 세경 / 문전 / 군웅
    • 당신본풀이
    • 조상신본풀이
    • 가장 독보적이고 활발한 전승
    • 생동감 높음
    • 바리공주 전승되지 않음
    • 당금애기의 완벽한 형태가 전승
    • 육지와 판이
  • 전국적 전승의 서사무가
    • 바리공주
      • 제주도에서만 전승되지 않고, 나머지 네 권역에서 모두 바리공주라는 이름으로 전승
    • 당금애기
      • 지역마다 호칭이 상이함
        • ex) ‘성인노리푸념’(평안북도 강계), ‘삼태자(三胎子)풀이’(평안남도 평양), ‘셍굿’(함경남도 함흥), ‘제석본풀이’ 또는 ‘당금아기’(경기지방), ‘시준풀이’·‘시준굿’ 또는 ‘당고마기’(동해안지방), ‘제석풀이’(충청북도지방), ‘제석굿’(전라남도지방), ‘초공본풀이’(제주도)
  • 함경도 무가와 제주도 무가 사이의 연관성
    • 함경도의 '치원대 양상복' - 제주도의 '세경본풀이'
    • 함경도의 '짐가제굿' - 제주도의 '차사본풀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