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위

"겨울풍경"의 두 판 사이의 차이

red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8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개요===
 
===개요===
 
겨울풍경은 1977년 3월 <<한국문학>>에 발표된 시이다. 이후 황순원전집 『세월』에 수록된다.
 
겨울풍경은 1977년 3월 <<한국문학>>에 발표된 시이다. 이후 황순원전집 『세월』에 수록된다.
 +
  
 
===전문===
 
===전문===
 +
{| class="wikitable" style="width:40%; margin: auto;
 +
|
 +
<big>'''겨울풍경'''</big> / 황동규
 +
 +
 
눈은 내리고<br/>
 
눈은 내리고<br/>
 
해거름에서 담배 한 대 참은 족히 지나간 시간<br/>
 
해거름에서 담배 한 대 참은 족히 지나간 시간<br/>
철부지 아이들의 떠드는 모양 멀리 물러나고<br/>
+
철부지 아이들의 떠드는 모양 멀리 물러나고 <br/>
 
팔 낀 연인들 어룽히 드러났다 그냥 풀리어드는<br/>
 
팔 낀 연인들 어룽히 드러났다 그냥 풀리어드는<br/>
 +
그 속에서 마음껏 노래를 불렀노라.<br/>
 
뭉크보다 조금은 더 어둑신한 속에<br/>
 
뭉크보다 조금은 더 어둑신한 속에<br/>
 
노인이 하나 서 있다<br/>
 
노인이 하나 서 있다<br/>
 
눈은 내리고<br/>
 
눈은 내리고<br/>
 +
|}
  
 
===상세===
 
===상세===
겨울풍경은 1977년에 발표된 황순원의 시 중 하나로 당시에 쓰인 여타 다른 시와 함께 황순원 노년시의 특징을 보이고 있다.<br/>
+
'''노년시'''<br/>
 +
겨울풍경은 [[1977년]]에 발표된 황순원의 시 중 하나로 당시에 쓰인 여타 다른 시와 함께 황순원 노년시의 특징을 보이고 있다.<br/><br/>
 +
'''작품 해설'''<br/>
 
눈이 내리고 있는 저녁 해거름의 어둠 속에서 서 있는 노인은 화자 자신의 모습이다. 해거름에서 담배 한 대 참이 족히 지난 시간, 어둠이 짙게 물들어 오는 배경 속에 서 있는 노인은 그 어둠과 일체화된다. 뭉크의 그림처럼 약간 흐릿한 경계선으로 해체된 구도이다. <br/>
 
눈이 내리고 있는 저녁 해거름의 어둠 속에서 서 있는 노인은 화자 자신의 모습이다. 해거름에서 담배 한 대 참이 족히 지난 시간, 어둠이 짙게 물들어 오는 배경 속에 서 있는 노인은 그 어둠과 일체화된다. 뭉크의 그림처럼 약간 흐릿한 경계선으로 해체된 구도이다. <br/>
 
이 시는 배경이 시사하는 것처럼 어둡다. 철부지 아이들의 모양도 물러나고 팔 낀 연인들의 모습도 풀려져 노인 한 사람만 서 있는 겨울 풍경화이다. 그것은 한쪽으로는 죽음의 어둠이 가까이 다가오는 것을 반영하는 황순원 자신이 지닌 내면 의식의 그림자이기도 하다.<ref>최동호, 『황순원 문학과 인간 탐구』, 서정시학, 2015.</ref><br/>
 
이 시는 배경이 시사하는 것처럼 어둡다. 철부지 아이들의 모양도 물러나고 팔 낀 연인들의 모습도 풀려져 노인 한 사람만 서 있는 겨울 풍경화이다. 그것은 한쪽으로는 죽음의 어둠이 가까이 다가오는 것을 반영하는 황순원 자신이 지닌 내면 의식의 그림자이기도 하다.<ref>최동호, 『황순원 문학과 인간 탐구』, 서정시학, 2015.</ref><br/>
또한 제목 '겨울풍경'에서 알 수 있듯이 인생의 겨울을 마무리하는 노년 화자의 허허로운 마음 풍경이 고스란히 전해진다. 특히 "눈은 내리고"라는 시행이 첫 행과 마지막 행에 수미상관으로 배치되면서 쓸쓸한 노년의 셔울 풍경이 눈 내리는 해거름 무렵과 어울려 자연스럽게 생을 마감하려는 듯한 원숙미를 보여준다.<ref>오태호, 「황순원의 노년문학에 나타난 실존의식 연구」『현대소설연구』, 한국현대소설학회, 2015.</ref>
+
또한 제목 '겨울풍경'에서 알 수 있듯이 인생의 겨울을 마무리하는 노년 화자의 허허로운 마음 풍경이 고스란히 전해진다. 특히 "눈은 내리고"라는 시행이 첫 행과 마지막 행에 수미상관으로 배치되면서 쓸쓸한 노년의 셔울 풍경이 눈 내리는 해거름 무렵과 어울려 자연스럽게 생을 마감하려는 듯한 원숙미를 보여준다.<ref>오태호, 「황순원의 노년문학에 나타난 실존의식 연구」,『현대소설연구』, 한국현대소설학회, 2015.</ref>
 +
 
 +
===각주===

2020년 6월 24일 (수) 22:57 기준 최신판

개요

겨울풍경은 1977년 3월 <<한국문학>>에 발표된 시이다. 이후 황순원전집 『세월』에 수록된다.


전문

겨울풍경 / 황동규


눈은 내리고
해거름에서 담배 한 대 참은 족히 지나간 시간
철부지 아이들의 떠드는 모양 멀리 물러나고
팔 낀 연인들 어룽히 드러났다 그냥 풀리어드는
그 속에서 마음껏 노래를 불렀노라.
뭉크보다 조금은 더 어둑신한 속에
노인이 하나 서 있다
눈은 내리고

상세

노년시
겨울풍경은 1977년에 발표된 황순원의 시 중 하나로 당시에 쓰인 여타 다른 시와 함께 황순원 노년시의 특징을 보이고 있다.

작품 해설
눈이 내리고 있는 저녁 해거름의 어둠 속에서 서 있는 노인은 화자 자신의 모습이다. 해거름에서 담배 한 대 참이 족히 지난 시간, 어둠이 짙게 물들어 오는 배경 속에 서 있는 노인은 그 어둠과 일체화된다. 뭉크의 그림처럼 약간 흐릿한 경계선으로 해체된 구도이다.
이 시는 배경이 시사하는 것처럼 어둡다. 철부지 아이들의 모양도 물러나고 팔 낀 연인들의 모습도 풀려져 노인 한 사람만 서 있는 겨울 풍경화이다. 그것은 한쪽으로는 죽음의 어둠이 가까이 다가오는 것을 반영하는 황순원 자신이 지닌 내면 의식의 그림자이기도 하다.[1]
또한 제목 '겨울풍경'에서 알 수 있듯이 인생의 겨울을 마무리하는 노년 화자의 허허로운 마음 풍경이 고스란히 전해진다. 특히 "눈은 내리고"라는 시행이 첫 행과 마지막 행에 수미상관으로 배치되면서 쓸쓸한 노년의 셔울 풍경이 눈 내리는 해거름 무렵과 어울려 자연스럽게 생을 마감하려는 듯한 원숙미를 보여준다.[2]

각주

  1. 최동호, 『황순원 문학과 인간 탐구』, 서정시학, 2015.
  2. 오태호, 「황순원의 노년문학에 나타난 실존의식 연구」,『현대소설연구』, 한국현대소설학회,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