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위

The Museum of the World

red

장준규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20년 4월 14일 (화) 15:56 판 (개요)

개요

The world of museum.PNG

"해외에 나가면 꼭 들르는 곳, 박물관이다. 특히 서울에서 8,870km나 떨어진 영국을 여행하며 대영박물관을 가지 않은 채 귀국하는 것은 값비싼 비행기 삯에 대한 예의가 아니다. 그렇다면 과거의 역사와 문화가 살아 숨 쉬고 있다는 박물관에서 그 숨결을 제대로 느끼는 여행객은 얼마나 될까? 소셜 미디어에 남길 인증샷을 위해 방문하거나 여행의 통과의례로 들르는 것은 아닐까? 아무것도 모른 채 드넓은 박물관을 영역 표시하듯 돌아다니는 것도 세계3대 박물관에 대한 예의가 아니다. 더 편하고 쉽게 박물관에 담긴 가치를 느낄 방법은 없을까? 인터넷으로 일일이 작품을 하나씩 찾아보지 않고 말이다.
구글 문화 연구소(Google Cultural Institute, google.com/culturalinstitue)는 전 세계 문화유산을 누구나 인터넷으로 접속할 수 있도록 기술을 구축하는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현재 60개국 700개 이상의 기관이 이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있으며, 대영박물관은 구글 문화 연구소와 함께 ‘The British Museum with Google’ 프로젝트를 진행했다. 기원전 200만 년부터 기원후 2000년까지의 대영박물관 컬렉션을 아름다운 별자리로 표현했는데, 이는 WebGL(Web Graphics Library) 기술 덕분이다. WebGL은 자바스크립트로 만드는 웹 기반 그래픽 라이브러리이며 인터렉티브한 3D 그래픽을 웹상에서 표현할 수 있게 해준다. 하지만 IE 10 이하 구 버전의 브라우저는 WebGL을 지원하지 않으니, 멋진 그래픽을 제대로 즐기려면 최신 버전의 IE나 크롬, 파이어폭스 등의 브라우저를 사용하길 바란다. 형형색색의 조약돌들이 모이며 데이터를 전부 불러오면, 조약돌들이 터지며 은빛이 아닌 다색 은하수가 편쳐진다. 별자리 영상을 보여준 후, 본격적으로 대영박물관의 작품을 볼 수 있는 일직선의 타임라인이 나오는데 x축은 5대륙, y축은 시간을 나타낸다. 특정 작품을 클릭하면 그것과 관련 있는 작품들이 선으로 연결되고, 자세히 보기 버튼을 누르면 작품의 설명과 오디오 콘텐츠를 즐길 수 있다. 화면 오른쪽에 작품 테마를 예술, 삶과 죽음, 힘과 정체성, 종교, 갈등 등 다섯 가지로 분류해 원하는 테마의 작품을 쉽게 볼 수 있다.
대영박물관을 방문하기 전날, 동행과 함께 도미토리 침대에 누워 ‘The British Museum with Google’에 접속해 내일 볼 작품들을 미리 살펴보자. 아는 만큼 보인다는 말처럼 이전에는 볼 수 없었던 작품의 다른 의미, 면을 볼 기회가 될 수도 있다."[1]

Who 누가

대영박물관구글 아트 앤 컬쳐 프로젝트의 합작으로 만든 웹 그래픽 라이브러리(Web Graphics Library). 인류의 역사를 증명하는 다양한 유물들을 다섯 가지의 카테고리[2]로 나누어 소개하고 있다.

공식 사이트는 긴 삼차원 공간에 연표식으로 유물을 정리한 형태이며 연표 위에 유물들은 점으로 나타나는데 각 점들에 부여된 링크를 통해 하나의 유물을 소개하는 방식을 채택했다. 또 이 유물들은 각자 분류된 카테고리를 선으로 연결하고 있다.

When 언제

구글 아트 앤 컬쳐의 전신인 구글 아트 프로젝트와 대영박물관이 주도하여 2010년에 제작되었다.

Where 어디서

웹 상에서 문화예술을 즐기기 위해.

What 무엇을

(내용 작성)

How 어떻게

(내용 작성)

Why

(내용 작성)

Comment 논평

(내용 작성)


참조

  1. 출처 (주)웹스미디어 컴퍼니, 「대영박물관을 누워서 관람하는 법」
  2. 예술(Arts and design), 생활(Living and dying), 권력(Power and identity), 종교(Religion and belief), 무역과 전쟁(Trade and confli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