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자로 군자보기 : 논어에서 찾는 군자의 길
red
탐구의 목적
유가에서의 '君子'는 뛰어난 도덕성과 능력을 갖추었으며 성인에 도달하고자 노력하는 인간을 말한다. 춘추전국시대를 경험한 공자는 시대의 혼란을 극복하기 위해 도덕적인 인간상의 추구가 필요하다고 보았다. 그러나 공자는 스스로를 포함하여, 모든 인간이 도덕성을 완벽히 갖춘 성인(成人)이 되는 것은 어렵다고 보았기 때문에 인간은 성인을 닮기 위해, 즉 군자가 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1]
『논어』에는 이러한 공자의 사상이 반영되어, ‘군자’가 되기 위해
갖추어야 하는 다양한 덕목, 군자로서 지켜야 하는 규범 등이 107회에 걸쳐 제시되고 있다.
『논어』에 출현하는 군자를 이해하는 것은
곧 공자가 궁극적으로 도달하고자 했던 목표을 이해하는 것이며, 이는 공자의 사상연구에 있어 핵심이 된다.
본 조에서는 『논어』에 출현하는 '君子'의 구체적 발화 맥락을 분석하고
그것을 토대로 仁, 義, 禮, 智 등 여러 공기어와 맺는 관계를 중심으로 데이터를 편찬하였다.
이러한 네트워크 분석을 시도함으로써
『논어』에서 언급되는 ‘君子’의 의미를 종합적으로 살펴 "君子로 가는 길"에 대해 탐구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탐구의 과정
데이터 수집
동양고전종합 DB와 https://ctext.org/plugins/texttools/#regex를 이용하여 『논어』의 학이편부터 위령공편까지에 대하여 '군자'가 언급된 모든 구절을 찾았다.
공자뿐만 아니라 증자, 자하 등 화자에 상관없이 『논어』에서 '군자'가 언급된 구절을 모두 데이터 처리에 포함시켰다.
학이편-위령공편에서 '군자'가 출현한 장은 총 62장으로 다음과 같았다.
편 | 장 |
---|---|
학이 | 학이시습, 기위인야, 군자부중, 군자식무구포 |
위정 | 군자불기, 선행기언, 군자주이 |
팔일 | 군자무소쟁, 의봉인청견 |
이인 | 부여귀시, 군자지어천하, 군자회덕, 군자유어의, 군자욕눌 |
공야장 | 군자재약인, 유군자지도사 |
옹야 | 자화사어제, 여위군자유, 질승문즉야, 인자수고, 군자박학 |
술이 | 성인오부득, 진사패문, 문막오유인야, 군자탄탕탕 |
태백 | 공이무례, 조지장사, 가이탁륙척지고 |
자한 | 부자성자, 자욕거구이 |
향당 | 군자불이감추 |
선진 | 선진어예악, 논독시여, 이오일일장호이 |
안연 | 군자불우불구, 인개유형제, 군자질이이의, 군자성인, 여살무도, 이문회우 |
자로 | 대자이위정, 군자화이, 군자이사, 군자태이 |
헌문 | 예선사, 군자이불인, 군자상달, 부재기위, 군자치기언, 군자도자삼, 수기이경 |
위령공 | 위령공문진, 직재사어, 군자의위, 군자병무능, 군자질몰세, 군자구제기, 군자긍이부쟁, 군자불이언거인, 군자모도, 군자불가소지, 군자정이 |
1차 데이터 처리
'군자를 언급하는 문장 구조는 네 가지 - 정의, 대비, 우화, 대화 - 로 분류하였다. 귀납적인 문장구조의 분류는 다음 논문을 참고하였다. 김권환. "『논어』의 군자와 소인 : 성장과 쇠퇴의 정향을 가진 과정적 인간상." 동양철학연구 78, no. 78 (2014): 37-68.
1. 정의 (Define)
군자의 특성을 직접 규정하는 경우가 있었다.
팔일편 의봉인청견장.
군자는 밥 한 끼를 먹을 만한 짧은 시간에도 인(仁)을 떠남이 없으니, 경황 중에도 이 인(仁)을 반드시 행하며, 위급한 상황에 처했을 때도 이 인(仁)을 반드시 행한다.
헌문편 군자치기언장.
군자(君子)는 말은 신중하게 하고, 행동은 충분하게 한다.
2. 소인과의 대비 (Contrast)
도덕성이 뛰어난 군자와 대비되는 '소인'이 함께 출현하여 대조적으로 서술된 경우가 있었다. '소인'은 개인적인 이익을 먼저 생각하는, 도덕성이 부족한 일반이하의 사람을 일컫는다.
이인편 군자유어의장.
군자(君子)는 의(義)에 밝고, 소인(小人)은 이익(利益)에 밝다.
술이편 군자탄탕탕장.
군자(君子)는 평탄하고 여유가 있으며, 소인(小人)은 늘 근심한다.
3. 우화 (Exemplify)
4. 대화 (Conversation)
2차 데이터 처리
번호 | 공기어 | 속성 |
---|---|---|
1 | 질(質) | positive |
2 | 인(仁) | positive |
3 | 능(能) | neutral |
4 | 예(禮) | positive |
5 | 악(樂) | positive |
6 | 우(憂) | negative |
7 | 구(懼) | negative |
8 | 덕(德) | positive |
9 | 지(知) | neutral |
10 | 언(言) | neutral |
11 | 행(行) | neutral |
12 | 문(文) | neutrall |
13 | 비(鄙) | negative |
14 | 도(道) | positive |
15 | 안(安) | negative |
16 | 의(義) | positive |
17 | 신(信) | positive |
18 | 쟁(爭) | neutral |
19 | 당(黨) | negative |
20 | 식(食) | neutral |
21 | 공(恭) | positive |
22 | 신(慎) | neutral |
23 | 학(學) | positive |
24 | 민(敏) | positive |
25 | 기(器) | negative |
26 | 주(周) | positive |
27 | 부(富) | negative |
28 | 빈(貧) | positive |
29 | 혜(惠) | neutral |
30 | 경(敬) | positive |
Neo4j 네트워크 그래프 작성
탐구의 결과 및 의의
- ↑ 이철승. "『논어』속 군자관의 논리 구조와 정치의식." Tongbanghak 29, no. 29 (2013): 7-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