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위

군자로 군자보기 : 논어에서 찾는 군자의 길

red

Snu장은재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20년 11월 29일 (일) 21:00 판 (탐구의 목적)

탐구의 목적

유가에서의 '君子'는 뛰어난 도덕성과 능력을 갖추었으며 성인에 도달하고자 노력하는 인간을 말한다. 춘추전국시대를 경험한 공자는 시대의 혼란을 극복하기 위해 도덕적인 인간상의 추구가 필요하다고 보았다. 그러나 공자는 스스로를 포함하여, 모든 인간이 도덕성을 완벽히 갖춘 성인(成人)이 되는 것은 어렵다고 보았기 때문에 인간은 성인을 닮기 위해, 즉 군자가 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1]


『논어』에는 이러한 공자의 사상이 반영되어, ‘군자’가 되기 위해 갖추어야 하는 다양한 덕목, 군자로서 지켜야 하는 규범 등이 107회에 걸쳐 제시되고 있다. 『논어』에 출현하는 군자를 이해하는 것은 곧 공자가 궁극적으로 도달하고자 했던 목표을 이해하는 것이며, 이는 공자의 사상연구에 있어 핵심이 된다.


본 조에서는 『논어』에 출현하는 '君子'의 구체적 발화 맥락을 분석하고 그것을 토대로 仁, 義, 禮, 智 등 여러 공기어와 맺는 관계를 중심으로 데이터를 편찬하였다. 이러한 네트워크 분석을 시도함으로써 『논어』에서 언급되는 ‘君子’의 의미를 종합적으로 살펴 "君子로 가는 길"에 대해 탐구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탐구의 과정

데이터 수집

동양고전종합 DB와 https://ctext.org/plugins/texttools/#regex를 이용하여 『논어』의 학이편부터 위령공편까지에 대하여 '군자'가 언급된 모든 구절을 찾았다.

공자뿐만 아니라 증자, 자하 등 화자에 상관없이 『논어』에서 '군자'가 언급된 구절을 모두 데이터 처리에 포함시켰다.

학이편-위령공편에서 '군자'가 출현한 장은 총 62장이었다.

1차 데이터 처리

군자가 출현하는 문장의 유형은 네 가지가 있었다.

1. 정의 (Define)

2. 소인과의 대비 (Contrast)

3. 우화 (Exemplify)

4. 대화 (Conversation)

2차 데이터 처리

2차 공기어
번호 공기어 속성
1 질(質) positive
2 인(仁) positive
3 능(能) neutral
4 예(禮) positive
5 악(樂) positive
6 우(憂) negative
7 구(懼) negative
8 덕(德) positive
9 지(知) neutral
10 언(言) neutral
11 행(行) neutral
12 문(文) neutrall
13 비(鄙) negative
14 도(道) positive
15 안(安) negative
16 의(義) positive
17 신(信) positive
18 쟁(爭) neutral
19 당(黨) negative
20 식(食) neutral
21 공(恭) positive
22 신(慎) neutral
23 학(學) positive
24 민(敏) positive
25 기(器) negative
26 주(周) positive
27 부(富) negative
28 빈(貧) positive
29 혜(惠) neutral
30 경(敬) positive

Neo4j 네트워크 그래프 작성

탐구의 결과 및 의의

  1. 이철승. "『논어』속 군자관의 논리 구조와 정치의식." Tongbanghak 29, no. 29 (2013): 7-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