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위

"SixMinistriesOfJoseon"의 두 판 사이의 차이

red

(육조거리와 출퇴근 풍경)
(육조거리와 출퇴근 풍경)
1번째 줄: 1번째 줄:
 
<font face="함초롬바탕">
 
<font face="함초롬바탕">
  
==육조거리와 출퇴근 풍경==
+
=='''육조거리와 출퇴근 풍경'''==
{{Blockquote|<big>「남소(南所)<ref>남소(南所): 오위(五衛)의 위장(衛將)이 숙위(宿衛)하던 위장소(衛將所)의 하나로, 창덕궁의 금호문(金虎門)과 경희궁의 개양문(開陽門) 안에 있었는데, 궁궐의 남쪽에 위치했기 때문에 남소라 불렸다.</ref>에서 감회를 쓰다(南所寫懷)」<br/><br/>
+
{{Blockquote|<big>「남소(南所)<ref>남소(南所): 오위(五衛)의 위장(衛將)이 숙위(宿衛)하던 위장소(衛將所)의 하나로, 창덕궁의 금호문(金虎門)과 경희궁의 개양문(開陽門) 안에 있었는데, 궁궐의 남쪽에 위치했기 때문에 남소라 불렸다.</ref>에서 감회를 쓰다(南所寫懷)」<br/><br/><br/>
 
'''晨光騰紫闕, 峩弁趨彤墀'''<br/>궁궐에 새벽빛 밝아오니 고관들 조정으로 달려가네.<br/><br/>
 
'''晨光騰紫闕, 峩弁趨彤墀'''<br/>궁궐에 새벽빛 밝아오니 고관들 조정으로 달려가네.<br/><br/>
 
'''老卒鉥前塗, 舍我南廂陲'''<br/>늙은 병졸이 앞길을 인도하여 나를 남쪽 전각 끝에 두었네.<br/><br/>
 
'''老卒鉥前塗, 舍我南廂陲'''<br/>늙은 병졸이 앞길을 인도하여 나를 남쪽 전각 끝에 두었네.<br/><br/>
16번째 줄: 16번째 줄:
 
<br/><br/>
 
<br/><br/>
 
</big>
 
</big>
|출처=[http://db.itkc.or.kr/inLink?DCI=ITKC_MP_0265A_0110_040_0360_2017_002_XML 『於于集後集』卷二 「南所寫懷」] }}
+
|출처=<big>[http://db.itkc.or.kr/inLink?DCI=ITKC_MP_0265A_0110_040_0360_2017_002_XML 『於于集後集』卷二 「南所寫懷」]</big>}}
  
 
==호조 서리 이윤선의 업무와 일상==
 
==호조 서리 이윤선의 업무와 일상==

2020년 10월 1일 (목) 21:52 판

육조거리와 출퇴근 풍경

Quote-left.png 「남소(南所)[1]에서 감회를 쓰다(南所寫懷)」


晨光騰紫闕, 峩弁趨彤墀
궁궐에 새벽빛 밝아오니 고관들 조정으로 달려가네.

老卒鉥前塗, 舍我南廂陲
늙은 병졸이 앞길을 인도하여 나를 남쪽 전각 끝에 두었네.

懸盾警夜所, 植鎩句陳司
야간 경계하는 처소에서 방패 들고 궁궐 호위하는 관소[2]에서 창을 세웠네.

列帥盡虎頭, 酣戰眞雄姿
줄지어 선 장수는 모두 범의 두상[3]이요 싸움에 익숙하니 참으로 씩씩한 자태로다.

駑材眷蒭豆, 僚底摧雙眉
노둔한 사람은 말먹이나 돌보며 동료들 밑에서 두 눈썹 내렸네

東瞻騎省峙, 北矖粉署危
동쪽을 바라보면 병조가 우뚝하고 북쪽을 바라보면 분서(粉署)[4]가 높다랗네.

銅龍狀蠖略, 金馬光陸離
동룡문(銅龍門)[5]은 나아갈 듯한 모습이요 금마문(金馬門)[6]은 눈부시게 번쩍거리네.

昔我雲翮矯, 今何金骨緇
나도 예전엔 높이 나는 새처럼 굳셌는데 지금은 어찌하여 승려처럼 나약해졌나.

將星耀華髮, 擁甲如貙貔
대장은 백발이 빛나고 맹수 같은 갑사를 거느리네.

平生嗜文術, 浪讀古人詩
나는 평생 문장 좋아하여 그저 고인의 시만 읽었네.

從此學投筆, 六弢綜正奇
이제부터 투필(投筆)[7]을 배워서 『육도(六韜)』의 정기(正奇)[8]를 다스려야지.

Quote-right.png
출처: 『於于集後集』卷二 「南所寫懷」


호조 서리 이윤선의 업무와 일상

예조 낭관 권상일의 장생전 수리 일지

병조에서 이조의 낭관으로, 윤기의 이상과 현실

육조 당상, 그 빛과 그늘

봉심과 회창 그리고 가옥조사, 출장을 빙자한 외유

연지와 누정, 휴식과 위안의 공간

주석

  1. 남소(南所): 오위(五衛)의 위장(衛將)이 숙위(宿衛)하던 위장소(衛將所)의 하나로, 창덕궁의 금호문(金虎門)과 경희궁의 개양문(開陽門) 안에 있었는데, 궁궐의 남쪽에 위치했기 때문에 남소라 불렸다.
  2. 궁궐 호위하는 관소: 원문의 '구진사(句陳司)'. 궁궐을 호위하는 금군(禁軍)을 말한다. '구진(句陳)'은 별자리 이름으로 자미궁(紫微宮)을 호위하는 별이다.
  3. 범의 두상: 후한(後漢)의 반초(班超)가 어린 시절 관상가가 “그대는 제비의 턱에 범의 머리로 날아서 고기를 먹는 상이니, 이는 만리후에 봉해질 상이다.”라고 한 데서 비롯된 말이다. 『後漢書』 卷47 「班超列傳」
  4. 분서(粉署): 하얗게 벽을 칠한 관청이라는 뜻으로 중국 상서성(尙書省)의 별칭인데, 우리나라는 의정부 및 중앙 관서를 뜻한다.
  5. 동룡문(銅龍門): 창경궁 세자전 옆에 있던 문이다.
  6. 금마문(金馬門): 창덕궁 후원에 있던 문이다.
  7. 투필(投筆): 붓을 던진다는 말로, 종군(從軍)을 뜻한다. 후한(後漢)의 명장 반초(班超)가 젊었을 때 집이 가난하여 글씨를 써 주는 품팔이 생활을 하다가 붓을 던지며 말하기를 “대장부가 별다른 지략이 없다면 부개자(傅介子)나 장건(張騫)을 본받아 이역에 나아가 공을 세워 봉후가 되어야지, 어찌 오래도록 필연(筆硯) 사이에만 종사할 수 있겠느냐.”라고 하더니, 훗날 서역(西域)에 나아가 공을 세워서 정원후(定遠侯)에 봉해졌다. 『後漢書』 卷47 「班超列傳」
  8. 정기(正奇): 병법(兵法)의 용어로서, 정면으로 접전을 벌이는 것을 ‘정(正)’이라 하고 매복(埋伏)이나 기습(奇襲) 등의 방법을 쓰는 것을 ‘기(奇)’라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