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위

"ShamanEpics"의 두 판 사이의 차이

red

(연구 데이터)
(연구 데이터)
67번째 줄: 67번째 줄:
 
! 유형 || 작품 || 서사단락
 
! 유형 || 작품 || 서사단락
 
|-
 
|-
| rowspan="12"| 일반신본풀이 || 천지왕
+
| rowspan="12"| 일반신본풀이 || rowspan="10"| 천지왕 || 혼합되었던 천지의 분리로 천지개벽
 +
|-
 +
| 천지왕과 총명부인의 결연 및 지상행
 +
|-
 +
| 수명장자의 악행 징치
 +
|-
 +
| 천지왕의 하늘행
 +
|-
 +
| 총명부인의 대별왕과 소별왕 출산
 +
|-
 +
| 대별왕과 소별왕의 하늘행 및 천지왕과 조우
 +
|-
 +
| 대별왕과 소별왕의 해와 달 쏘기
 +
|-
 +
| 대별왕과 소별왕의 이승차지 내기 (수수께끼, 꽃 피우기)
 +
|-
 +
| 소별왕의 이승차지
 +
|-
 +
| 혼란스러운 이승을 대별왕이 정리
 
|-
 
|-
 
| 삼승할망
 
| 삼승할망
85번째 줄: 103번째 줄:
 
| 지장
 
| 지장
 
|-
 
|-
| 세경
+
| rowspan="19"| 세경 || 자청비 부모의 등장
 +
|-
 +
| 부모의 불공 후 자청비 탄생
 +
|-
 +
| 자청비와 문도령의 만남
 +
|-
 +
| 자청비가 남장한 자청도령의 등장
 +
|-
 +
| 자청도령과 문도령의 글공부
 +
|-
 +
| 문도령의 귀가로 인한 자청비의 정체 및 서로의 사랑 확인
 +
|-
 +
| 문도령과의 이별
 +
|-
 +
| 정수남이의 등장
 +
|-
 +
| 정수남이와 자청비의 문도령을 찾아가는 여정
 +
|-
 +
| 정수남이의 자청비 희롱
 +
|-
 +
| 정수남이의 죽음
 +
|-
 +
| 자청비의 서천꽃밭행
 +
|-
 +
| 정수남이의 부활
 +
|-
 +
| 자청비의 부모로부터 버림
 +
|-
 +
| 주모할망(마고할미)와 만남
 +
|-
 +
| 자청비와 문도령의 재회 실패
 +
|-
 +
| 자청비의 하늘옥황행
 +
|-
 +
| 자청비의 며느리 시험
 +
|-
 +
| 세경신 좌정
 
|-
 
|-
 
| 문전
 
| 문전

2020년 9월 29일 (화) 21:11 판

연구 목적

서사무가 사이의 연관성 확인

연구 대상

  • 무가 권역별 서사무가
    • 북한
    • 중서부(서울, 경기, 인천, 충청)
    • 동해안 및 경상도
    • 전라
    • 제주

연구 방법

개별적 서사무가 연구

대상 작품 사이의 인물, 사건, 배경, 서사 측면에서의 연관성 확인

연구 데이터

  • 북한
    • 강신무
    • 궁상이굿 / 도랑선비 / 치원대양산복
    • 고형에 유사
    • 타 지역에 없는 무가 자료 많음
    • 북한 권역의 무가 중 함경도 지역의 작품은 제주도 무가와 연관되는 작품이 있음
  • 중서부(서울,인천, 경기, 충청)
    • 강신무
    • 의례성에 집중
    • 엄숙성이 높음
    • 성주무가 존재
    • 현재 무가 구연의 왕성도 낮음
  • 동해안 및 경상도
    • 세습무
    • 연희와 오락성 강조
    • 손님굿 활발
    • 인간중심적
    • 심청굿 존재
  • 전라
    • 세습무
    • 장자풀이와 칠성풀이 전승
    • 바리공주와 당금애기 약화
  • 제주
    • 일반신본풀이
      • 천지왕 / 삼승할망 / 마누라 / 초공 / 이공 / 삼공 / 차사 / 맹감 / 지장 / 세경 / 문전 / 군웅
    • 당신본풀이
    • 조상신본풀이
    • 가장 독보적이고 활발한 전승
    • 생동감 높음
    • 바리공주 전승되지 않음
    • 당금애기의 완벽한 형태가 전승
    • 육지와 판이
  • 전국적 전승의 서사무가
    • 바리공주
      • 제주도에서만 전승되지 않고, 나머지 네 권역에서 모두 바리공주라는 이름으로 전승
    • 당금애기
      • 지역마다 호칭이 상이함
        • ex) ‘성인노리푸념’(평안북도 강계), ‘삼태자(三胎子)풀이’(평안남도 평양), ‘셍굿’(함경남도 함흥), ‘제석본풀이’ 또는 ‘당금아기’(경기지방), ‘시준풀이’·‘시준굿’ 또는 ‘당고마기’(동해안지방), ‘제석풀이’(충청북도지방), ‘제석굿’(전라남도지방), ‘초공본풀이’(제주도)
  • 함경도 무가와 제주도 무가 사이의 연관성
    • 함경도의 '치원대 양상복' - 제주도의 '세경본풀이'
    • 함경도의 '짐가제굿' - 제주도의 '차사본풀이'
제주도 서사무가
유형 작품 서사단락
일반신본풀이 천지왕 혼합되었던 천지의 분리로 천지개벽
천지왕과 총명부인의 결연 및 지상행
수명장자의 악행 징치
천지왕의 하늘행
총명부인의 대별왕과 소별왕 출산
대별왕과 소별왕의 하늘행 및 천지왕과 조우
대별왕과 소별왕의 해와 달 쏘기
대별왕과 소별왕의 이승차지 내기 (수수께끼, 꽃 피우기)
소별왕의 이승차지
혼란스러운 이승을 대별왕이 정리
삼승할망
마누라
초공
이공
삼공
차사
맹감
지장
세경 자청비 부모의 등장
부모의 불공 후 자청비 탄생
자청비와 문도령의 만남
자청비가 남장한 자청도령의 등장
자청도령과 문도령의 글공부
문도령의 귀가로 인한 자청비의 정체 및 서로의 사랑 확인
문도령과의 이별
정수남이의 등장
정수남이와 자청비의 문도령을 찾아가는 여정
정수남이의 자청비 희롱
정수남이의 죽음
자청비의 서천꽃밭행
정수남이의 부활
자청비의 부모로부터 버림
주모할망(마고할미)와 만남
자청비와 문도령의 재회 실패
자청비의 하늘옥황행
자청비의 며느리 시험
세경신 좌정
문전
군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