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위

"박동근"의 두 판 사이의 차이

red

(황순원과의 관계)
5번째 줄: 5번째 줄:
  
 
===업적===
 
===업적===
고향인 함경북도 회령군에서 학교를 졸업한 후 평양연극영화대학 배우과에 입학하였다. 이 기간 장막극 ‘동지들’에서 주인공 마장손의 역을 맡아 출연하였다. 대학 졸업후 조선예술영화촬영소 배우로 되였다. 이 기간 영화에서 단역을 맡기도 하였다. 그때 예술영화촬영소에서 무대에 올린 경희극 ‘산울림’의 주인공으로 출연하였다.
+
*고향인 함경북도 회령군에서 학교를 졸업한 후 평양연극영화대학 배우과에 입학하였다.  
 +
 
 +
이 기간 장막극 ‘동지들’에서 주인공 마장손의 역을 맡아 출연하였다. 대학 졸업후 조선예술영화촬영소 배우로 되였다.
 +
 
 +
이 기간 영화에서 단역을 맡기도 하였다.  
 +
 
 +
그때 예술영화촬영소에서 무대에 올린 경희극 ‘산울림’의 주인공으로 출연하였다.
 +
 
 +
 
 +
*그후 청진연극단으로 내려가서 본격적인 무대생활을 하였다.
 +
 
 +
1917년 국립연극단 배우로 소환되어 여러 편의 혁명연극들에 출연하여 성과를 올렸다.
 +
 
 +
'혈분만국회' 오성학교 교장 장세환 역, '3인 1당'의 로승지 역, 혁명연극 '경축대회' 중의원 사사끼이찌로 역 등을 맡아서 원만히 완성하여 좋은 평을 받았다.
 +
 
 +
이밖에도 예술영화 '조선의 별', '새벽길' 등에도 출연하였다.
 +
 
 +
그후 영화화면과 무대를 떠나 북한의 텔레비죤련속드라마 <첫 기슭에서>, <나의 선생님>, <두 지배인>, <불변하라>, <열망> 등에 얼굴을 내비쳤다. 공훈배우이다.  
  
  
 
====황순원과의 관계====
 
====황순원과의 관계====
 
황순원과 함께 동경학생예술좌에서 활동하였다. 박동근은 1936년 12월 1일자로 창간된 ‘동경학생예술좌(座)’의 기관지 성격을 띤 연극잡지 《막(幕)》의 편집 겸 발행인을 담당하였다.
 
황순원과 함께 동경학생예술좌에서 활동하였다. 박동근은 1936년 12월 1일자로 창간된 ‘동경학생예술좌(座)’의 기관지 성격을 띤 연극잡지 《막(幕)》의 편집 겸 발행인을 담당하였다.

2020년 6월 24일 (수) 11:16 판

박동근.jpg

인물

연극배우 (1937. 5. 30~?)

업적

  • 고향인 함경북도 회령군에서 학교를 졸업한 후 평양연극영화대학 배우과에 입학하였다.

이 기간 장막극 ‘동지들’에서 주인공 마장손의 역을 맡아 출연하였다. 대학 졸업후 조선예술영화촬영소 배우로 되였다.

이 기간 영화에서 단역을 맡기도 하였다. 

그때 예술영화촬영소에서 무대에 올린 경희극 ‘산울림’의 주인공으로 출연하였다.


  • 그후 청진연극단으로 내려가서 본격적인 무대생활을 하였다.

1917년 국립연극단 배우로 소환되어 여러 편의 혁명연극들에 출연하여 성과를 올렸다.

'혈분만국회' 오성학교 교장 장세환 역, '3인 1당'의 로승지 역, 혁명연극 '경축대회' 중의원 사사끼이찌로 역 등을 맡아서 원만히 완성하여 좋은 평을 받았다.

이밖에도 예술영화 '조선의 별', '새벽길' 등에도 출연하였다.

그후 영화화면과 무대를 떠나 북한의 텔레비죤련속드라마 <첫 기슭에서>, <나의 선생님>, <두 지배인>, <불변하라>, <열망> 등에 얼굴을 내비쳤다. 공훈배우이다.


황순원과의 관계

황순원과 함께 동경학생예술좌에서 활동하였다. 박동근은 1936년 12월 1일자로 창간된 ‘동경학생예술좌(座)’의 기관지 성격을 띤 연극잡지 《막(幕)》의 편집 겸 발행인을 담당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