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위

"김형경"의 두 판 사이의 차이

red

(새 문서: 파일:김형경.jpg ==인물 소개== 본명은 김정숙이다. 1960년 1월 22일 강원도 강릉시에서 출생하여 강릉여자중학교와 강릉여자고등학교를...)
 
20번째 줄: 20번째 줄:
 
==황순원과의 관계==
 
==황순원과의 관계==
  
황순원이 경희대학교 국문과 교수로 일하였던 시절 그의 제자 중 한 명이다.
+
황순원이 경희대학교 국문과 교수로 일하였던 시절 그의 제자 중 한 명이다. 2015년에 황순원 탄생 100주년을 기리며  황순원에게 직접 가르침을 받은 제자 작가 5인이 「소나기」 속편을 『대산문화』(대산문화재단)에 발표하였는데, 김형경도 그 중 한 명이다. 후에 경희대학교 출신 젊은 작가 4인의 작품까지 포함하여 『소년, 소녀를 만나다―황순원의 「소나기」 이어쓰기』로 문학과지성사에서 출간되었다.

2020년 6월 13일 (토) 16:15 판

김형경.jpg

인물 소개

본명은 김정숙이다. 1960년 1월 22일 강원도 강릉시에서 출생하여 강릉여자중학교와 강릉여자고등학교를 졸업한 뒤, 1982년 경희대학교 국문학과를 졸업하였다. 대학을 졸업한 뒤에는 여수여자중학교 교사를 지냈고, 중앙일보사 출판제작국에 근무하기도 하였다. 독학으로 명리학을 공부하여 사주를 잘 풀어내는 작가로 알려져 있다.

업적

1983년 《문예중앙》 신인상에 시 「이 강산 돌이 되어」가 당선되어 문단에 등단하였고, 1985년 《문학사상》에 중편소설 「죽음잔치」가 당선되었다. 1987년 단편소설 「경우의 수」와 「태풍주의보」를 발표하였으며, 1991년 창작집 「단종은 키가 작다」가 출간되었다. 1993년 《국민일보》 장편소설 공모전에 「새들은 제 이름을 부르며 운다」가 당선되었다.

1994년 단편소설 「뿌리의 세 종류」, 「푸른 나무의 기억」, 「검은 돛배」, 「별 잡고 길을 물어」 등을 발표하였고, 1995년 장편소설 「바다가 될 때까지」, 성장소설 「세월」(전3권)이 출간되었다.

40대 이후 정신분석 치료를 받고 2년 동안 유럽·뉴질랜드·타히티섬·베이징·뉴칼레도니아 등을 여행하면서 쓴 여행에세이 「사람풍경」(2004)이 있다.

이외의 작품에 시집 「모든 절망은 다르다」(1989), 소설집 「푸른 나무의 기억」(1996), 장편소설 「피리새는 피리가 없다」(전2권, 1999), 「사랑을 선택하는 특별한 기준」(전2권, 2003), 「성에」(2004) 등이 있다.


평가

절제된 문체, 감각적 묘사, 시적인 리듬, 싱싱한 이미지 등이 특징이다. 자신의 삶과 사랑에 대해 탐구하는 여성들을 소설로 그려내는 작가로 불리기도 하였다.


황순원과의 관계

황순원이 경희대학교 국문과 교수로 일하였던 시절 그의 제자 중 한 명이다. 2015년에 황순원 탄생 100주년을 기리며 황순원에게 직접 가르침을 받은 제자 작가 5인이 「소나기」 속편을 『대산문화』(대산문화재단)에 발표하였는데, 김형경도 그 중 한 명이다. 후에 경희대학교 출신 젊은 작가 4인의 작품까지 포함하여 『소년, 소녀를 만나다―황순원의 「소나기」 이어쓰기』로 문학과지성사에서 출간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