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위

"論語精義"의 두 판 사이의 차이

red

(一章)
(「學而」)
9번째 줄: 9번째 줄:
 
<br/>
 
<br/>
 
<big>
 
<big>
〔식별자: '''AAB010101'''〕<br/>
+
====식별자: '''AAB010101'''====
○伊川解曰, "習, 重習也. 時復思繹, 浹洽於中, 則說也. 以善及人, 而信從者衆, 故可樂. 雖樂於及人, {{Tag易經|[[AnalectsQuotation#不見是而無悶|不見是而無悶]]}}, 乃所謂君子." 又語錄曰, "所以學者, 將以行之也. 時習之, 則所學者在我, 故說. 習如禽之習飛." 又曰, "{{Tag禮記|[[AnalectsQuotation#鷹乃學習|鷹力學習]]}}之義, {{Tag論語|[[AnalectsQuotation#子路有聞, 未之能行, 唯恐有聞|子路有聞, 未之能行, 唯恐有聞]]}}. 說在心, 樂主發散, 在外." 又曰, "說先於樂者, 樂由說而後得, 然非樂, 不足以語君子."<br/><br/>
+
=====식별자: '''AAB01010101'''=====
〔식별자: '''AAB010102'''〕<br/>
+
○伊川解曰, "習, 重習也. 時復思繹, 浹洽於中, 則說也. 以善及人, 而信從者衆, 故可樂. 雖樂於及人, {{Tag易經|[[AnalectsQuotation#不見是而無悶|不見是而無悶]]}}, 乃所謂君子."
 +
=====식별자: '''AAB01010102'''=====
 +
又語錄曰, "所以學者, 將以行之也. 時習之, 則所學者在我, 故說. 習如禽之習飛."
 +
=====식별자: '''AAB01010103'''=====
 +
又曰, "{{Tag禮記|[[AnalectsQuotation#鷹乃學習|鷹力學習]]}}之義, {{Tag論語|[[AnalectsQuotation#子路有聞, 未之能行, 唯恐有聞|子路有聞, 未之能行, 唯恐有聞]]}}. 說在心, 樂主發散, 在外."
 +
=====식별자: '''AAB01010104'''=====
 +
又曰, "說先於樂者, 樂由說而後得, 然非樂, 不足以語君子."
 +
<br/><br/>
 +
====식별자: '''AAB010102'''====
 
○范<ref>范: 범조우(范祖禹). 1041-1098년. 북송 성도(成都) 화양(華陽) 사람. 자는 순보(淳甫) 또는 몽득(夢得)이다. 인종(仁宗) 가우(嘉祐) 8년(1063) 진사(進士)가 되었다. 사마광(司馬光) 밑에서 『자치통감(資治通鑑)』을 편수했고, 책이 완성되자 비서성정자(秘書省正字)에 임명되었다. 철종(哲宗)이 즉위하자 저작좌랑(著作佐郞)이 되어 『신종실록(神宗實錄)』 편찬의 검토관을 맡았고, 급사중(給事中)과 한림학사(翰林學士)를 역임했다. 철종이 친정(親政)하자 섬주지주(陜州知州)로 나갔다. 소성(紹聖) 초에 그가 지은 『실록』이 신종을 비난하고 사마광이 신법(新法)을 변경한 사실을 두둔했다는 여론이 일자 무안군절도부사(武安軍節度副使)로 폄적(貶謫)되어 소주별가(昭州別駕)를 거쳐 영주(永州)에 안치되었다. 젊어서 정호(程顥)와 정이(程頤)를 사사했으며, 사마광의 학문을 추종했다. 『중용(中庸)』을 중시하여 성(誠)과 성에 이르는 구체적인 방법인 충서(忠恕)를 강조했다. 또한 노장학(老莊學)은 충서의 도에 위배된다고 하여 배척했다. 저서에 『논어설(論語說)』과 『당감(唐鑑)』이 있는데, 이정(二程)의 설을 수용한 것이 많다. 『당감』은 당나라 고조에서 소선제(昭宣帝)까지 3백 년 동안의 정치적 득실을 논한 책이다. 그 밖의 저서에 『중용론(中庸論)』과 『범태사집(范太史集)』이 있다. 시호는 정헌(正獻)이다. -임종욱, 김해명(2010), 『중국역대인명사전』.</ref>曰,"學先王之道, 將以行之也. 學而習之, 知所以修身,知所以治人,則說矣. 習之言試也. 易重險之卦曰: {{Tag易經|[[AnalectsQuotation#習坎|習坎]]}}. 水之於險也, 必洊至而不已, 然後能乘險而流焉, 君子於難事也, 亦然. 故其象曰: {{Tag易經|[[AnalectsQuotation#常德行, 習敎事|常德行, 習敎事]]}}. 夫必有常也, 而後能立. 孔子習周公者也, 顔淵習孔子者也, 人君習堯舜, 是亦堯舜而已矣. 子曰: {{Tag論語|[[AnalectsQuotation#性相近也, 習相遠也|性相近也, 習相遠也]]}}. 伊尹曰: {{Tag書經|[[AnalectsQuotation#習與性成|習與性成]]}}.<ref>『상서ㆍ伊訓ㆍ太甲(上)』 “9. 伊尹曰 玆乃不義 習與性成이로소니 予 弗狎于弗順이라하고 營于桐宮야 密邇先王其訓야 無俾世迷케하니라”</ref> 學者之習, 所以反其性也. 習之而串, 則與性一矣. 易曰: ‘兌, 說也.’而兌之象,‘以朋友講習.’ 朋友講習,所以求道,故可說之. 善莫善於講習,不亦說者, 比於說矣, 猶未正夫說也. 學而知之者, 次也, 所以求爲聖人, 及其成功, 則無習, 無習則亦無說矣. 孟子曰: ‘一鄕之善士, 斯友一鄕之善士;一國之善士,斯友一國之善士;天下之善士,斯友天下之善士.’才小者,所友近,才大者,所友遠. 君子之學,有同道者自遠而來,則亦可以樂矣. 夫說自外至,樂由中出,故好之者,不如樂之者. 習在己,而有得於外;朋友在人,而有得於內. 君子之道求爲可充也, 能如此者,其惟好學者乎? 在孔子則弟子自遠而至是也. 君子不病人之不己知, 小人唯恐人之不知也. 潛龍之德, ‘不見是而無悶’, ‘君子依乎中庸, 不見知而不悔, 惟聖者能之’, 此皆藏其德而修身者也. 人莫得而知之, 是以道不行, 時不遇, 獨立乎世, 未嘗有悶, 斃而後已, 亦無悔焉. 下焉者, 爲善而必蘄乎人知, 有諸內必形諸外, 未有不知者也. 不知而慍, 則不知於命, 無以爲君子. 故人不知而不慍, 斯可以爲君子矣."<br/><br/>
 
○范<ref>范: 범조우(范祖禹). 1041-1098년. 북송 성도(成都) 화양(華陽) 사람. 자는 순보(淳甫) 또는 몽득(夢得)이다. 인종(仁宗) 가우(嘉祐) 8년(1063) 진사(進士)가 되었다. 사마광(司馬光) 밑에서 『자치통감(資治通鑑)』을 편수했고, 책이 완성되자 비서성정자(秘書省正字)에 임명되었다. 철종(哲宗)이 즉위하자 저작좌랑(著作佐郞)이 되어 『신종실록(神宗實錄)』 편찬의 검토관을 맡았고, 급사중(給事中)과 한림학사(翰林學士)를 역임했다. 철종이 친정(親政)하자 섬주지주(陜州知州)로 나갔다. 소성(紹聖) 초에 그가 지은 『실록』이 신종을 비난하고 사마광이 신법(新法)을 변경한 사실을 두둔했다는 여론이 일자 무안군절도부사(武安軍節度副使)로 폄적(貶謫)되어 소주별가(昭州別駕)를 거쳐 영주(永州)에 안치되었다. 젊어서 정호(程顥)와 정이(程頤)를 사사했으며, 사마광의 학문을 추종했다. 『중용(中庸)』을 중시하여 성(誠)과 성에 이르는 구체적인 방법인 충서(忠恕)를 강조했다. 또한 노장학(老莊學)은 충서의 도에 위배된다고 하여 배척했다. 저서에 『논어설(論語說)』과 『당감(唐鑑)』이 있는데, 이정(二程)의 설을 수용한 것이 많다. 『당감』은 당나라 고조에서 소선제(昭宣帝)까지 3백 년 동안의 정치적 득실을 논한 책이다. 그 밖의 저서에 『중용론(中庸論)』과 『범태사집(范太史集)』이 있다. 시호는 정헌(正獻)이다. -임종욱, 김해명(2010), 『중국역대인명사전』.</ref>曰,"學先王之道, 將以行之也. 學而習之, 知所以修身,知所以治人,則說矣. 習之言試也. 易重險之卦曰: {{Tag易經|[[AnalectsQuotation#習坎|習坎]]}}. 水之於險也, 必洊至而不已, 然後能乘險而流焉, 君子於難事也, 亦然. 故其象曰: {{Tag易經|[[AnalectsQuotation#常德行, 習敎事|常德行, 習敎事]]}}. 夫必有常也, 而後能立. 孔子習周公者也, 顔淵習孔子者也, 人君習堯舜, 是亦堯舜而已矣. 子曰: {{Tag論語|[[AnalectsQuotation#性相近也, 習相遠也|性相近也, 習相遠也]]}}. 伊尹曰: {{Tag書經|[[AnalectsQuotation#習與性成|習與性成]]}}.<ref>『상서ㆍ伊訓ㆍ太甲(上)』 “9. 伊尹曰 玆乃不義 習與性成이로소니 予 弗狎于弗順이라하고 營于桐宮야 密邇先王其訓야 無俾世迷케하니라”</ref> 學者之習, 所以反其性也. 習之而串, 則與性一矣. 易曰: ‘兌, 說也.’而兌之象,‘以朋友講習.’ 朋友講習,所以求道,故可說之. 善莫善於講習,不亦說者, 比於說矣, 猶未正夫說也. 學而知之者, 次也, 所以求爲聖人, 及其成功, 則無習, 無習則亦無說矣. 孟子曰: ‘一鄕之善士, 斯友一鄕之善士;一國之善士,斯友一國之善士;天下之善士,斯友天下之善士.’才小者,所友近,才大者,所友遠. 君子之學,有同道者自遠而來,則亦可以樂矣. 夫說自外至,樂由中出,故好之者,不如樂之者. 習在己,而有得於外;朋友在人,而有得於內. 君子之道求爲可充也, 能如此者,其惟好學者乎? 在孔子則弟子自遠而至是也. 君子不病人之不己知, 小人唯恐人之不知也. 潛龍之德, ‘不見是而無悶’, ‘君子依乎中庸, 不見知而不悔, 惟聖者能之’, 此皆藏其德而修身者也. 人莫得而知之, 是以道不行, 時不遇, 獨立乎世, 未嘗有悶, 斃而後已, 亦無悔焉. 下焉者, 爲善而必蘄乎人知, 有諸內必形諸外, 未有不知者也. 不知而慍, 則不知於命, 無以爲君子. 故人不知而不慍, 斯可以爲君子矣."<br/><br/>
  
30번째 줄: 38번째 줄:
  
 
<br/><br/>
 
<br/><br/>
 +
 
==「爲政」==
 
==「爲政」==
 
<br/>
 
<br/>

2020년 12월 8일 (화) 02:49 판

『논어』 페이지로 가기

「學而」


一章


식별자: AAB010101

식별자: AAB01010101

○伊川解曰, "習, 重習也. 時復思繹, 浹洽於中, 則說也. 以善及人, 而信從者衆, 故可樂. 雖樂於及人, 不見是而無悶『易經』, 乃所謂君子."

식별자: AAB01010102

又語錄曰, "所以學者, 將以行之也. 時習之, 則所學者在我, 故說. 習如禽之習飛."

식별자: AAB01010103
又曰, "鷹力學習『禮記』之義, 子路有聞, 未之能行, 唯恐有聞『論語』. 說在心, 樂主發散, 在外."
식별자: AAB01010104

又曰, "說先於樂者, 樂由說而後得, 然非樂, 不足以語君子."

식별자: AAB010102

○范[1]曰,"學先王之道, 將以行之也. 學而習之, 知所以修身,知所以治人,則說矣. 習之言試也. 易重險之卦曰: 習坎『易經』. 水之於險也, 必洊至而不已, 然後能乘險而流焉, 君子於難事也, 亦然. 故其象曰: 常德行, 習敎事『易經』. 夫必有常也, 而後能立. 孔子習周公者也, 顔淵習孔子者也, 人君習堯舜, 是亦堯舜而已矣. 子曰: 性相近也, 習相遠也『論語』. 伊尹曰: 習與性成『書經』.[2] 學者之習, 所以反其性也. 習之而串, 則與性一矣. 易曰: ‘兌, 說也.’而兌之象,‘以朋友講習.’ 朋友講習,所以求道,故可說之. 善莫善於講習,不亦說者, 比於說矣, 猶未正夫說也. 學而知之者, 次也, 所以求爲聖人, 及其成功, 則無習, 無習則亦無說矣. 孟子曰: ‘一鄕之善士, 斯友一鄕之善士;一國之善士,斯友一國之善士;天下之善士,斯友天下之善士.’才小者,所友近,才大者,所友遠. 君子之學,有同道者自遠而來,則亦可以樂矣. 夫說自外至,樂由中出,故好之者,不如樂之者. 習在己,而有得於外;朋友在人,而有得於內. 君子之道求爲可充也, 能如此者,其惟好學者乎? 在孔子則弟子自遠而至是也. 君子不病人之不己知, 小人唯恐人之不知也. 潛龍之德, ‘不見是而無悶’, ‘君子依乎中庸, 不見知而不悔, 惟聖者能之’, 此皆藏其德而修身者也. 人莫得而知之, 是以道不行, 時不遇, 獨立乎世, 未嘗有悶, 斃而後已, 亦無悔焉. 下焉者, 爲善而必蘄乎人知, 有諸內必形諸外, 未有不知者也. 不知而慍, 則不知於命, 無以爲君子. 故人不知而不慍, 斯可以爲君子矣."


二章



「爲政」




주석, Footnote

  1. 范: 범조우(范祖禹). 1041-1098년. 북송 성도(成都) 화양(華陽) 사람. 자는 순보(淳甫) 또는 몽득(夢得)이다. 인종(仁宗) 가우(嘉祐) 8년(1063) 진사(進士)가 되었다. 사마광(司馬光) 밑에서 『자치통감(資治通鑑)』을 편수했고, 책이 완성되자 비서성정자(秘書省正字)에 임명되었다. 철종(哲宗)이 즉위하자 저작좌랑(著作佐郞)이 되어 『신종실록(神宗實錄)』 편찬의 검토관을 맡았고, 급사중(給事中)과 한림학사(翰林學士)를 역임했다. 철종이 친정(親政)하자 섬주지주(陜州知州)로 나갔다. 소성(紹聖) 초에 그가 지은 『실록』이 신종을 비난하고 사마광이 신법(新法)을 변경한 사실을 두둔했다는 여론이 일자 무안군절도부사(武安軍節度副使)로 폄적(貶謫)되어 소주별가(昭州別駕)를 거쳐 영주(永州)에 안치되었다. 젊어서 정호(程顥)와 정이(程頤)를 사사했으며, 사마광의 학문을 추종했다. 『중용(中庸)』을 중시하여 성(誠)과 성에 이르는 구체적인 방법인 충서(忠恕)를 강조했다. 또한 노장학(老莊學)은 충서의 도에 위배된다고 하여 배척했다. 저서에 『논어설(論語說)』과 『당감(唐鑑)』이 있는데, 이정(二程)의 설을 수용한 것이 많다. 『당감』은 당나라 고조에서 소선제(昭宣帝)까지 3백 년 동안의 정치적 득실을 논한 책이다. 그 밖의 저서에 『중용론(中庸論)』과 『범태사집(范太史集)』이 있다. 시호는 정헌(正獻)이다. -임종욱, 김해명(2010), 『중국역대인명사전』.
  2. 『상서ㆍ伊訓ㆍ太甲(上)』 “9. 伊尹曰 玆乃不義 習與性成이로소니 予 弗狎于弗順이라하고 營于桐宮야 密邇先王其訓야 無俾世迷케하니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