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위

AnalectsAndEducation

red


탐구의 목적

<논어>는 ‘무엇을 배우고 익혀야 할 것인가’, ‘어떻게 살아야 할 것인가’에 대한 공자의 가르침을 담고 있어 그 자체로 역사적인 교과서이자 교육이론서다. <논어>에서 공자가 삶의 철학을 제자들에게 전달하는 것을 통해 교육자의 모습을 엿볼 수 있으며, 후대의 인물들 역시 이를 통해 가르침을 받는다. 교육은 백년지대계라는 말이 무색하게 다양한 교육 이론이 범람하는 시대에 <논어>에서 나타난 교육관은 현대에 새로운 관점과 나아가야 할 방향성을 제시한다.
따라서 ‘교육’이라는 키워드로 <논어>를 분석하며, 고대 유가의 교육관을 배우고 현대의 교육에 대한 통찰을 얻고자 한다.

탐구의 대상

<논어>에서 나타난 교육과 학문에 대해 탐구한다. 구체적으로는 ‘學(배움)’, ‘敎(가르침)’와 ‘도(道)’를 포함한 어휘와 관련된 맥락을 데이터로 정리해, 궁극적인 목적인 도와 교육 간 관계를 대주제로 삼는다. 또한 도(道)에 다다르기 위해 배움과 가르침에 어떤 태도로 임해야하는지, 배움과 가르침이 다양한 주체에 따라 어떻게 다르게 나타나는지에 주목하여 <논어>를 읽고자 한다.

탐구의 방법

자료 수집

1. ‘學(배움)’, ’敎(가르침)’, ‘習(익히다)’ 를 핵심 개념어로 설정해 논어 DB 에서 이를 포함하는 구절을 모두 추출했다. 개념어 선정에 있어서는 교육의 전반 과정을 생각하였다. 교육의 과정에서 가르치는 과정과 배우는 과정이 있으며, 교사는 가르침과 훈육을 담당하고 제자는 그 가르침과 훈육을 받아들여 배우고 익힌다. 이를 바탕으로 배울 학, 가르칠 교, 익힐 습을 선정하였다.
2. 데이터 정리 후 <논어>에서의 교육의 궁극적인 목표 중 주요한 개념이 도(道)임으로 해석하고, 도(道)와 교육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최종적으로 ‘인간 삶과 사회의 궁극적인 목표인 ‘도(道)’와 교육 간 관계’라는 맥락과 관련 없는 구절을 제외하고 최종적으로 ‘學(배움)’과 ’敎(가르침)’ 을 포함한 구절 데이터를 탐구 대상으로 삼았다.

변수 설정

자료를 변수는 다음과 같이 4개로 설정했다.


개념어: ‘學(배움)’ 과 ‘敎(가르침)’ 등 교육과 관련한 핵심 키워드. 이 개념어를 바탕으로 맥락을 분석한다.
키워드: ‘교육과 도’ 라는 맥락에서 해당 구절에서 가장 중심이 되는 내용이자 여러 구절 간 관계성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해주는 키워드
주체: 교육 (배움 또는 가르침) 을 행하는 주체
단계: 교육의 단계를 1) 배움의 선행 조건 2) 배움에 임하는 올바른 태도, 3) 배움의 진정한 목표, 4) 올바른 배움의 결과, 그리고 5) 가르침에 임하는 올바른 태도와 6) 가르침의 진정한 목표 7) 가르침의 결과로 나누어 구절이 어떤 단계를 담고 있는지
내용: 구절 내용 요약

편찬데이터

개념어 키워드 주체 단계 내용
1 1 익힘, 군자 군자 배움의 태도 남이 알아주지 않아도 배우고 수시로 익힘
6 효도, 공손
성실, 사랑
배움의 조건 효도, 공손, 언행 삼감, 성실, 사랑이 글을 배우는 것보다 선행되어야 함
7 충, 신의, 효 배움의 목표 어진 이를 존경하고, 부모에 효도하고, 임금에 충성하고, 친우에 신의를 가진다면
배운 것과 다름없음
14 언행, 안, 호(好) 군자 배움의 태도 편함을 추구하지 않고, 언행을 삼가며, 도가 있는 이에게 배우고자 한다면
학문을 좋아하는 것
2 15 생각 배움의 태도 배움과 생각은 동시에 있을 때 완성됨
18 언행, 녹봉 자장 배움의 태도
배움의 결과
언행을 삼가면 녹봉은 자연스럽게 따라올 것
20 효, 사랑, 공경
충성, 권면
계강자 가르침의 태도
가르침의 결과
백성은 대하기를 장엄하게 하면 공경하고, 효와 사랑을 베풀면 충성하며
잘하는 자로 하여금 가르치게 하면 권면해짐
5 14 호(好) 공문자 배움의 태도 명민하면서도 배움을 좋아하고 아랫사람에게 묻기를 부끄러워하지 않아
문(文)이라 시호함
27 호(好) 공자 배움의 태도 배움을 좋아하는 것에 지지 않을 자신이 있음
6 2 호(好),이과(貳過),천노(遷怒) 안회 배움의 태도 배움을 좋아하고, 같은 잘못을 되풀이하지 않으며, 노여움을 옮기지 않았음
25 문(文), 예(禮)
도(道)
군자 배움의 결과 문(文)을 배우고 예(禮)로 요약하면 도(道)에 어긋나지 않음
7 2 호(好), 게으름 배움의 태도
가르침의 태도
마음 속에 기억하고 배우기를 좋아하며 남을 가르치기를 게을리 하지 않아야 함
3 강마 배움의 조건
배움의 태도
덕을 닦고, 학문을 강마하며, 의를 행하고 불선을 고치는 것이 중요함
24 학문, 실천
충실, 신의
공자 가르침의 태도
가르침의 목표
학문(文)‧실천(行)‧충실(忠)‧신의(信)의 네 가지로 가르치셨음
33 호(好), 게으름
인(仁), 성(聖)
공자 가르침의 태도 인(仁)과 성(聖)의 도를 행하고 가르침을 게을리하지 않으셨음
8 12 녹봉 배움의 태도 녹봉에 뜻을 두지 않고 배워야 함
13 호(好), 도(道)
부끄러움
배움의 태도 배움을 좋아하고 도(道)를 잘 행해야 함
나라에 도(道)가 없을 때 벼슬을 하고 부유한 것은 부끄러운 일임
17 근면, 두려움 배움의 태도 배움은 따라가지 못할 듯이 부지런히 하면서도 또한 잃을까 두려워해야 함
9 18 배움의 태도 학문은 산을 쌓는 것과 같아서 배움은 땅을 고르는 것처럼 꾸준히 노력해야 함
29 함께, 나아감
섬(立), 권도
도(道)
배움의 태도
배움의 목표
권도를 행함에 있어서 결국은 배움도, 도에 이르고 섬(立)도 스스로 해야 함
11 24 인민, 사직 배움의 목표 학문이 완성되지 않고 벼슬을 하는 것은 스스로를 망치는 일임
13 9 백성, 부유 염유 가르침의 태도 백성 중에 부유하고도 가르침을 못 받은 자가 있다면 가르쳐야 함
29 선인, 백성 가르침의 결과 선인이 7년동안 백성을 가르치면 전쟁에 나아가게 할 수 있음
30 백성, 전쟁 가르침의 태도 가르치지 않은 백성을 전쟁에 내보내는 것은 백성을 버리는 것임
14 25 위기(爲己)
위인(爲人)
배움의 목표 남들에게 알려지기 위한 학문이 아닌 자기 수양을 위한 학문을 해야 함
47 진전(進展)
속성(速成)
배움의 태도 빨리 나아가는 것보다 학문을 제대로 진전하는 것이 중요함
15 2 이치 배움의 결과 진정한 배움은 하나의 이치로써 모든 것을 꿰뚫는 것임
30 생각 배움의 태도 생각과 배움은 병행되어야 함
31 녹봉, 도(道)
군자, 가난
군자 배움의 목표 배움의 목표는 녹봉과 가난에서 벗어남이 아닌 도(道)를 행함임
38 선악 가르침의 결과 가르치면 선악의 구분이 없어짐
16 9 배움의 순위 배움의 태도 어려움을 겪고도 배우지 않으면 백성으로서 최하가 됨
13 시(詩), 예(禮)
말(言), 섬(立)
배움의 결과 시를 배워야 남과 말할 수 있고, 예를 배워야 설(立) 수 있음
17 4 군자, 소인
도(道), 사랑
자유 배움의 결과 군자가 도(道)를 배우면 사람을 사랑하고 소인이 도(道)를 배우면 부리기 쉬움
8 인(仁), 지혜
신의, 정직
용기, 굳셈
호(好)
자유 배움의 목표 인(仁)에 배움이 없으면 어리석게 되고
지혜에 배움이 없으면 방자하게 되고
신의에 배움이 없으면 진리를 해치게 되고
정직에 배움이 없으면 급하게 되고
용기에 배움이 없으면 어지럽게 되며
굳셈에 배움이 없으면 경솔하게 됨
19 5 지(知), 호(好) 배움의 태도 날마다 모르는 것을 새로 알면서도 배웠던 것을 잊지 않아야 함
6 지(志), 문(問)
생각, 인(仁)
배움의 태도
배움의 목표
널리 배우고, 뜻을 독실히 하고, 절실하게 묻고 가까운 것부터 생각하면
인(仁)에 다다를 수 있음
7 군자, 도(道) 군자 배움의 태도 공인들이 공장에서 일에 몰두하는 것처럼 군자는 배움에 몰두하여
도(道)를 이루어야 함
13 벼슬 자하 배움의 태도 벼슬을 하고 여력이 있으면 배워야 하고, 배우고 여력이 있으면 벼슬을 해야 함
22 도(道) 자공 배움의 태도 문왕 무왕의 도(道) 중에서 큰 것은 현명한 자가 기억하고, 작은 것은 그렇지 못한 자들이 기억하고 있으니 누구에게서든 배울 수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