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난영
이난영 | |
본명 | 이옥례(李玉禮) 호적명 : 이옥순(李玉順) |
---|---|
예명 | 일본식 이름 오카 란코(岡 蘭子) |
출생 | 1916년 6월 6일 일제 강점기 전라남도 목포 |
사망 | 1965년 4월 11일 (48세) 대한민국 서울 |
직업 | 가수, 前 연극배우 |
장르 | 트로트 |
활동 시기 | 1930년 ~ 1965년 |
배우자 | 김해송 |
가족 | 자녀는 4남 3녀 오빠 이봉룡(가수 겸 작곡가) 조카딸 이민자(가수) |
종교 | 천주교(세례명: 마리아) |
목차
개요
엘레지[1]의 여왕으로 알려진 이난영은 1935년 9월 <목포의 눈물>을 통해 일제 시대 우리 대중음악의 전성기의 시작을 열었다고 평가받는다. 광복 이전에 이난영이 발표한 노래는 약 225곡으로 일제강점기에 활동했던 남자 가수와 여자 가수를 통틀어서 가장 많은 노래를 발표한 것으로 보인다.[2] 1965년 4월 49세로 세상을 떠났으나 일제 치하에서 늘 한복을 입고 생전에 1000여 곡 이상을 발표했던 일제 강점기라는 특수한 역사가 만들었던 불세출의 슈퍼스타로 그녀의 업적을 기려 1966년 목포에 그녀의 <목포의 눈물> 기념비가 세워지고 매년 '난영 가요제'가 열린다.[3]
내용
연보
이난영의 인기
남자가수 | 순위 | 여자가수 | ||||
---|---|---|---|---|---|---|
이름 | 소속회사 | 득표수 | - | 이름 | 소속회사 | 득표수 |
채규엽 | 콜럼비아 | 1,844표 | 1등 | 왕수복 | 폴리돌 | 1,903표 |
김용환 | 폴리돌 | 1,335표 | 2등 | 선우일선 | 폴리돌 | 1,166표 |
고복수 | 오케 | 6744표 | 3등 | 이난영 | 오케 | 873표 |
강홍식 | 콜럼비아 | 468표 | 4등 | 전옥 | 폴리돌 | 387표 |
최남용 | 태평 | 333표 | 5등 | 김복희 | 빅타 | 348표 |
이난영 1935년 9월 신보로 <목포의 노래>가 발매되면서 대대적인 히트를 기록, 고복수와 함께 오케 레코드의 간판 스타 가수가 되었다. 당시 이 노래는 5만장 이상이 팔려 나갔는데 당시 축음기 대수로 본다면 경이적인 판매고를 올린 것으로 보인다. 이후 얼마 되지 않아 『삼천리』에서 조사한 '레코드 인기 가수 투표 결선 발표'에서 신민요 가수인 왕수복, 신일선의 뒤를 이어 3위를 차지했는데 이는 <목포의 눈물>의 실적이 충분히 반영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1939년 그녀의 남편인 김해송이 아내를 위해 작곡한 블루스 조의 음악인 <다방의 푸른 꿈>으로 이미지 변신을 보이며 히트, 1942년 오빠 이봉룡이 작곡한 <목포는 항구다>의 대대적인 히트로 다시 한번 최고의 인기가수에 자리한다. 당시 1943년 월간 잡지 『조광』의 한 글에서 음반사 별로 인기 유행 가수로 오케레코드의 이난영을 언급했는데 오케 레코드의 인기 여가수 이난영이라기 보다는 조선악극단의 이난영으로 더 유명하다고 언급하고 있다.
현경섭의 유품 중에는 1939 년과 1940년에 현경섭이 거의 매일 쓴 일기장이 포함되어 있는데, 현경섭의 삶뿐만 아니라 그와 함께 활동하던 다른 가수들에 대한 언급도 확인할 수 있다. 현경섭은 공연에서 이난영이 있는가와 없는가에 따라 관객의 반응이 얼마나 달랐는지를 일기장에 적어서 당시 이난영의 인기를 증명해주었다.[6]
“소개를 새롭게 할 것 없이 이난영은 조선유행가계의 큰언니다. 조선 의 유행가란 이난영으로부터 출발했고 이난영으로하여금 존재한대도 과 언이 아닐 만큼 열여섯살부터 지금까지 부른 노래도 수없지만 걸작도 많다.”[7] |
||
출처: 『동아일보』, 1940.03.31 |
이난영을 둘러싼 이야기들
등단 곡
현재 인터넷 등에서 이난영의 등단 곡을 <불사조>로 언급한 것 을 종종 볼 수 있다. 하지만 1933년 11월에 발매된 <불사조>가 이난영의 첫번째 흥행 성공 노래는 맞으나 등단 곡은 아니다. 이난영의 등단 곡은 1933년 9월에 태평 음반회사에서 발매된 <시드는 청춘>과 <지나 간 옛꿈>을 들 수 있다. 그리고 1933년 10월에 오케 음반회사에서 발매 된 <향수>도 오케 음반회사의 입사곡이자 등단 곡으로 언급할 수 있다.
태평 음반회사와 오케 음반회사의 등단 곡을 모두 언급하는 이유는 이난영의 전속계약 문제와 관련이 있다. 전속가수제도때문에 당시의 가수들은 여러 음반 회사에서 동시에 활동할 수 없었다. 이난영은 처음에 태양극단에서 막간 가수로 활동했고 태평 음반회사에서 노래를 녹음하였다. 하지만 이난영의 노래를 들은 오케 음반회사의 이철은 그 녀가 태평 음반회사와 정식으로 전속 계약을 맺기 전에 그녀를 오케 음반회사로 데려오려고 변장을 시키고, 태평 음반회사 사람들과 자동차 추격전을 벌이는 등의 암투를 벌였다.[8] 결국 이난영은 오케 음반회사 와 전속계약을 맺었고 그 이후로 그녀는 거의 모든 노래를 오케 음반회사에서 발매했다. |
||
출처: 장유정, ⌜행(幸)과 불행(不幸)으로 보는 가수 이난영의 삶과 노래⌟,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33집,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16 |
친일 행적
현재까지 이난영이 부른 군국가요로 확실한 것은 징병제 실시 기념으로 제작한 <이천오백만의 감격>[10]이다.남인수와 이난영이 함께 부른 이 노래에서 남인수가 주창을, 이난영이 남인수와 함께 후렴을 불렀 다. 물론 이난영이 주창이 아닌 부창을 했다고 해서 이난영이 군국가요를 불렀다는 사실이 사라지지는 않는다.<이천 오백만의 감격> 외에 제목에서 군국가요로 추정되는 노래는 김정구와 함께 부른 <아세아의 합창>과 남인수와 함께 노래한 <희망 젖은 총성>이다. 하지만 현재까지 음원이나 가사지 등을 확인할 수 없는 상태라 군국가요로 단정하기 어려운 면이 있다.
그 외에 <신춘엽서>와 <열녀비>도 군국가요로 볼 수 있는 여지가 있다. <신춘엽서>는 그 가사가 온전하게 밝혀지지 않았지만,[11] 일종의 군국가요 모음집인 『오케가요극장』에 군국가요 다섯곡과 함께 실려 있다.[12]하지만 <신춘엽서>와 <열녀비> 모두 전형적인 군국가 요가 보여주는 행진곡풍의 노래는 아니다. 게다가 가사만 볼 때, 오히려 다르게 해석할 여지가 있어 군국가요로 확신하기 어렵기도 하다. 일부 알려진 <신춘엽서>의 가사는 전선에 간 남편에게 보내는 아내의 편지 내용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오히려 이러한 편지 내용은 전쟁으로 해체된 가족의 비극을 보여주기도 하는 것이다. 이는 <열녀비>도 유사하다고 할 수 있다.[13] |
||
출처: 장유정, ⌜행(幸)과 불행(不幸)으로 보는 가수 이난영의 삶과 노래⌟,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33집,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16 |
<목포의 눈물> 작사가
연출가이자 기획자
참고문헌
박도현, ⌜1930년대 레코드사 마케팅에 나타난 대중음악의 고찰⌟, 경희대학교아트・퓨전디자인대학원, 2011.
박수현, ⌜1930년대 한국 대중 음악 산업의 고찰-오케 레코드 사를 중심으로⌟, 단국대학교대중문화예술대학원, 2004.
이영준, 『한국가요사 이야기』, 아름출판사, 1994년.
장유정, ⌜행(幸)과 불행(不幸)으로 보는 가수 이난영의 삶과 노래⌟,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33집,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16.
『삼천리』
『별건곤』
이난영, 위키백과
두산백과
한국사데이터베이스 한국근현대잡지자료 db.history.go.kr/item/level.do?itemId=ma
주석
- ↑ "엘레지",
『두산백과』online , 두산백과. 온라인 참조: "엘레지",『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네이버. - ↑ 장유정, ⌜행(幸)과 불행(不幸)으로 보는 가수 이난영의 삶과 노래⌟,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33집,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16
- ↑ 이영준, ⌜한국가요사 이야기⌟, 아름출판사, 1994년, p450
- ↑ 『레코-드 가수 인기투표』, 삼천리 제7권 제9호, 1935년 10월호
- ↑ 박도현, ⌜1930년대 레코드사 마케팅에 나타난 대중음악의 고찰⌟, 경희대학교아트・퓨전디자인대학원, 2011.
- ↑ 장유정, ⌜행(幸)과 불행(不幸)으로 보는 가수 이난영의 삶과 노래⌟,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33집,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16
- ↑ 「
춘계독자위안회 오-케-호화진용 당야출연예술가소개」, 『동아일보』, 1940.03.31. 5면,
『네이버 뉴스라이브러리』online , 네이버. - ↑ 이난영을 사이에 두고 벌어진 오케 회사와 태평회사의 암투는 ⌜레코드의 열광시대⌟, 『별건곤』 1933년 11월호에 상세하게 소개되었다.
- ↑ 여산,⌜인기가수의 예술・사생활・연애-화발풍다우의 이난영 양⌟, 『삼천리』, 삼천리사, 1935년 8월호
- ↑ <이천오백만의 감격>(조명암 작사, 김해송 작곡, 남인수·이난영 노래, 1943) 이난영이 남인수와 함께 노래한 <이천오백만의 감격> 가사는 다음과 같다. 1. <남인수> 역사 깊은 반도 산천 충성이 맺혀 영광의 날이 왔다 광명이 왔다/ 나라님 부르심을 감히 받들어 힘차게 나아가자 이천오백만 (후렴)<남인수·이난영> 아 감격의 피 끓는 이천오백만 아 감격의 피 끓는 이천오백만 2. <남인수> 동쪽 하늘 우러러서 성수(聖壽)를 빌고 한 목숨 한 마음을 님께 바치고/ 미영(米英)의 묵은 원수 격멸의 마당 정의로 나아가자 이천오백만 (후렴) <남인수·이난영> 아 감격의 피 끓는 이천오백만 아 감격의 피 끓는 이천오백만 3. <남인수> 喜べ榮あるこの朝(あした)皇尊(すめらみこと)の御民(みたみ)わ れ われら今日(きょう)より兵(へい)となり 行(ゆ)くぞ戰(いくさ)の海 (うみ)の果(は)て (후렴)<남인수·이난영> ああ誰(だれ)かここに進(す す)まざる ああ誰かここに進まざる
- ↑ 영화배우 유계선(劉桂仙)이 낭독한 대사와 이난영의 노래로 이루어진 <신춘엽서>의 일부 가사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유계선 대사) 신춘엽서 아내가 전지로 떠나간 남편에게 보내는 새해 인사 별다른 부탁이 없다 별다른 맹세가 없다 이것은 이미 송별하던 정거장에서 흔들며 노래 하던 깃발속에 말없이 주고 받는 것이었다. 그래서 오직 ***를 보낸다는 아내의 심정 (이난영 노래) 묵은 해를 보내고 새 봄날 새 아침에/ 이 편지를 씁니다/ 안녕하세요 안녕하세요/ *** 애국*엔 따뜻한 정성으로/ ***를 보내오니 받으오소서
- ↑ 『오케가요극장』에 실린 노래들은 <신춘엽서>를 위시하여, <지원병의 어머니>, <강남의 나팔수>, <총후(銃後)의 자장가>, <아들의 혈서>, <목단강(牧丹江) 편지>의 총 6곡이다.
- ↑ 문제가 될 소지가 있는 <열녀비>의 3절 가사는 다음과 같다. “꽃피는 하루 아침 떠나가신 대장부여/ 나라에 바치신 몸 못 오시는 그날도/ 열녀비 썩는 고개 손을 들어 기다렸소”
기여
- KJG21KHU: 최초 작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