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포대교 생명의 전화
DH Edu
개요
- 2011년 7월 마포대교에 SOS생명의전화라는 이름으로 전화기가 설치되었다. 마포대교 SOS생명의전화는 투신자살을 예방하고 신고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이 전화기를 통해 긴급 상담 전화를 할 수 있으며 투신 시도의 상황을 목격한 사람은 이를 신고할 수 있다. 긴급 전화 상담를 통해 자살을 하지 않도록 유도하여 자살 예방용 난간이 제공하지 못하는 더 근본적인 해결책을 제공할 수 있다. 마포대교 SOS생명의전화는 24시간 365일동안 운영되고 있다. 마포대교와 한남대교에서 SOS생명의전화가 시범적으로 1년 운영된 후 SOS생명의전화는 다른 한강 다리에도 빠르게 설치되었다.
운영
- 마포대교에 설치된 SOS생명의전화를 더불어 SOS생병의전화 사업은 주로 한국생명의전화와 생명보험사회공헌재단에 의해 운영되고 있다. 또 서울특별시 소방재난본부와 연계하여 협업관계에 있다.
- SOS생명의전화 상담은 한국생명의전화 소속 상담 봉사자 7명이서 맡고 있어 인원이 적은 편이다. 특히 2013년에 관련 기사[1]에 나와 있는 상담 봉사자 인원은 2020년에 작성된 기사[2] 속에서도 바뀌지 않고 있다.
- 2022년을 기준으로 서울시 관할 19개 한강 다리에 74대의 전화기가 운영되고 있다. [4] 마포대교는 한남대교와 더불어 SOS생명의전화가 설치된 가장 첫 번째 한강 다리 중에 하나이다. 이후 원효대교와 한강대교에 전화기를 설치했고, 그다음 나머지 다른 다리에도 전화기가 설치되었다. 마포대교 SOS생명의전화의 경우 도로 양방향에 각각 2대씩 총 4대의 SOS생명의전화기가 설치되어있다.
설치 배경
- 마포대교는 2009년도부터 2021년까지 매년 투신 자살 건수가 가장 많은 한강 다리였다. 이처럼 마포대교에 한강 투신 자살이 많이 일어나기 때문에 자살 예방을 위한 장치의 설치가 필요했다. 특히 2011년과 2013년 사이에 서울특별시에서 마포대교를 '생명의 다리'로 조성하며 마포대교에서의 자살을 막기 위해 노력했다. 이때 SOS생명의전화기와 더불어 자살예방문구와, '한번만 더' 동상[5], CCTV 등이 설치 되었다.
이용 방법
- SOS생명의전화기를 보면 수화기의 오른편으로 두 개의 버튼이 있다. 위쪽에 있는 빨간색 119 버튼을 클릭하면 119구조대가 출동한다. 지나가는 시민이 자살을 시도하는 것으로 보이는 사람을 목격할 경우 이 버튼을 눌러서 119에 신고할 수 있다. 빨간색 199 버튼 아래에 있는 초록색 생명의 전화 버튼을 누르면 전문 상담원과 통화 연결을 할 수 있다. 그러나 생명의전화 상담을 받고자 한다면 SOS 생명의 전화기를 직접 이용하지 않고 1588-9191에 핸드폰으로 전화를 걸어서 상담을 시도하는 방법도 존재한다.
- SOS 전화 상담이 이루어졌다면 전문 상담원은 상담 초기에 위기 상황인지의 여부를 평가한다. 상담원이 위기 상황이라고 평가 할 경우 119신고 접수를 하도록 규정되어있다.[6] 이후 상담을 이어가며 상담원은 전화를 건 사람이 자살하지 않도록 유도하거나 구조대가 도착할 때까지 시간을 끌어 구조에 힘쓴다. 119신고가 이루어지면 119구조대, 119수난구조대, 112경찰관이 출동한다. 위기 상황이 아닌 일반 상황의 경우 상담만 할 수 있다.
- 최종적으로 구조가 이루어졌다면 후속 처리 후에, 또는 일반 상황의 경우 상담이 종료된 후에 SOS생명의전화 이용자의 안전한 귀가가 목표이다.
마포대교 자살 예방 효과
- SOS생명의전화는 위기 상황의 경우 119신고를 빠르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자살 시도자를 구조하는 성공할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 특히 마포대교 SOS생명의전화를 통한 투신 신고는 전체 투신 신고의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어[7] 마포대교의 자살 예방 효과가 더 크다. 실제로 마포대교에 SOS생명의전화와 CCTV가 설치된 이후 투신 신고가 많아지면서 총 투신 사건이 증가했으나 투신자 구조율이 이전해 56.1%에서 94.8%로 증가했다[8].
- 2011년 7월 개통 날짜부터 2020년 12월 31까지 마포대교에서 이루어진 전화 상담의 건수는 총 5166건이다.
SOS 생명의 전화 상담자
- 생명보헌사화공헌재단과 한국생명의전화에서 제시한 지난 SOS생명의전화 사업을 통해 모은 데이터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SOS생명의전화를 주로 10대에서 20대가 이용했다[9]. 20대는 32.7%를 차지했고 10대[10]는 30.8%를 차지해서 10대와 20대를 합친 연령대가 총 지난 이용자 수의 63.5%를 형성하고 있다[11]. 고등학생(17~19세)들이 10대 연령대의 84%의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12]. 자살 시도의 원인 중 '이성교제'등의 '대인관계'와 '진로 및 학업 문제'가 가장 큰 비율을 차지했는데 이는 주로 나이가 많지 않은 연령대가 SOS생명의전화상담을 이용했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13]. 남자(56.5%)가 여자(36.8)보다 SOS생명의전화를 더 많이 이용했는데 이는 전체 한강 투신 자살자 중에 남자가 여자가 더 많다는 점 동일한 맥락이다. 마포대교가 5242건(65%), 한강대교 622건(8%), 양화대교 358건(4%)순으로 SOS생명의전화 상담의 건수가 많게 나타났다[14].
주석
- ↑ https://www.bigkinds.or.kr/v2/news/newsDetailView.do?newsId=01100901.20131225041506001
- ↑ https://www.bigkinds.or.kr/v2/news/newsDetailView.do?newsId=02100501.20200123172109001
- ↑ https://www.bigkinds.or.kr/v2/news/newsDetailView.do?newsId=02100501.20200123172109001
- ↑ 전국을 기준으로는 20개의 다리에 총75대가 운영되고 있다.
- ↑ https://news.seoul.go.kr/safe/?p=7422
- ↑ https://www.lifeline.or.kr/business/sos.php
- ↑ https://www.fnnews.com/news/201311271644031405
- ↑ https://www.fnnews.com/news/201311271644031405
- ↑ https://www.bigkinds.or.kr/v2/news/newsDetailView.do?newsId=02100701.20200824101024001
- ↑ 참고로 전화상담을 이용한 여학생의 사례 https://www.bigkinds.or.kr/v2/news/newsDetailView.do?newsId=01101101.2012090110009013686
- ↑ https://www.bigkinds.or.kr/v2/news/newsDetailView.do?newsId=02100701.20200824101024001
- ↑ https://www.bigkinds.or.kr/v2/news/newsDetailView.do?newsId=02100701.20200824101024001
- ↑ https://www.bigkinds.or.kr/v2/news/newsDetailView.do?newsId=02100701.20200824101024001
- ↑ https://www.bigkinds.or.kr/v2/news/newsDetailView.do?newsId=02100701.20200824101024001
참고문헌
기여
- CES22KU: 최초 작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