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일상 영정 및 한유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6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진행중}}
 
 
{{문화유산정보
 
{{문화유산정보
 
|사진=전일상영정및한유도.jpg
 
|사진=전일상영정및한유도.jpg
 
|사진출처=[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2113401270000 전일상 영정 및 한유도],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사진출처=[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2113401270000 전일상 영정 및 한유도],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전일상영정및한유도
 
|대표명칭=전일상영정및한유도
|영문명칭=
+
|영문명칭=Portrait and Painting of Jeon Il-sang
 
|한자=田日祥影幀및閒遊圖
 
|한자=田日祥影幀및閒遊圖
|주소=충청남도 홍성군
+
|주소=충청남도 홍성군 구항면 거북로 422-41(홍주성역사관 소장)
 
|소장처=
 
|소장처=
 
|지정번호=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127호
 
|지정번호=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127호
22번째 줄: 21번째 줄:
  
 
=='''해설문'''==
 
=='''해설문'''==
===기존 국문===
+
===국문===
없음.
+
전일상 영정 및 한유도는 조선 후기 무신 전일상(1700~1753)의 초상과 한가롭게 더위를 피하고 있는 풍경을 그린 그림이다. 한유도(閒遊圖)는 1748년(영조 24) 화가 김희겸(?~1763)이 그렸다.  
  
===수정 국문===
+
전일상은 5대에 걸쳐 무관을 배출한 홍성군 구항면의 담양 전씨 집안에서 태어났다. 1661년(숙종 1) 무과에 급제한 뒤, 전라우수사와 경상좌병사를 비롯하여 여러 관직을 두루 거쳤다.
====초고====
 
이 그림들은 화가 김희겸(金喜謙)이 1748년에 그린 것으로 전일상(田日祥, 1700~1753)의 초상화 1점과 한가로이 더위를 피하고 있는 풍경을 그린 한유도(閒遊圖) 1점이다.
 
  
전일상은 5대를 연이은 무관 집안에서 태어난 조선 후기 무신으로 여러 관직을 역임하였고, 1728년 이인좌(李麟佐, 1695~1728)가 난을 일으켰을 때 전공을 세웠다.
+
초상화는 가로 90.2㎝, 세로 142.4㎝의 크기로 비단에 그렸다. 가슴에 두 마리 학을 수놓은 관복을 입고, 호랑이 가죽을 깐 의자에 앉아 있는 당당한 무사의 모습이다.  
  
「전일상영정(田日祥影幀)」은 비단에 채색하여 그린 그림으로, 오사모(烏紗帽)에 청포단령(靑袍團領)의 관복을 입고 호피를 깐 의자에 앉아 있는 모습이다.  
+
한유도는 가로 87.5㎝, 세로 119.5㎝의 크기로, 종이에 옅은 채색으로 그렸다. 정자 위에 앉아 편한 옷차림으로 한가로이 더위를 피하고 있는 모습이다. 오른손에 잡고 있는 매와 정자 기둥에 걸려 있는 칼, 정자 앞에 있는 흰 말 등이 무인의 모습을 잘 보여주고 있다.  
  
「한유도」는 종이에 옅은 채색으로 그린 그림으로, “무진년 6월에 제작함(戊辰年六月日製)”이라는 관지와 “김희겸”이라는 백문방인(白文方印)이 찍혀 있다. 무진년은 전일상이 전라우수사(全羅右水使)를 지냈던 1748년이다. 이 그림에는 무인의 호걸스런 모습이 표현되었다.
+
여인과 마부에 비해 전일상의 얼굴은 초상화를 그리듯 매우 상세하여 대조적이다. 18세기 양반들의 더위를 피하는 풍습과 풍속화에 초상화 기법을 활용한 특징을 살필 수 있다.  
  
이 그림들은 한 가문에 문화재급 회화가 있는 특이한 경우이며, 「한유도」의 경우 풍속도 중에서 매우 오래된 것으로 그림에 나타난 생활상이나 문물의 묘사는 당시의 문화나 생활을 엿볼 수 있는 좋은 자료이다.
+
===영문===
 +
'''Portrait and Painting of Jeon Il-sang'''
  
====1차 수정====
+
These two paintings depict Jeon Il-sang (1700-1753), a military official of the Joseon period (1392-1910). One is a portrait, and the other depicts Jeon in a pavilion as he escapes the summer heat. The latter one was painted in 1748 by Kim Hui-gyeom (?-1763), a painter at the Royal Bureau of Painting.
조선 후기의 무신 전일상(田日祥, 1700~1753)의 초상화 1점과 전일상이 한가로이 더위를 피하고 있는 풍경을 그린 한유도(閒遊圖) 1점이다. 두 그림 모두 도화서*의 화원이었던 김희겸(金喜謙, ?~1763)이 1748년에 그렸다.
 
  
전일상은 지금의 홍성군 구항면의 담양전씨 집성촌에서 태어났다. 5대를 연이은 무관 집안 출신답게 그 역시 무신으로 여러 관직을 역임하였다.
+
Jeon Il-sang was born in a clan village of the Damyang Jeon clan that is located in today’s Guhang-myeon Township. He was born into a five-generation military official family. He served several official posts, including as the leader of the navies of Jeolla-do and Gyeongsang-do Provinces.
  
전일상의 초상화는 가로 90.2㎝, 세로 142.4㎝의 크기로 비단에 채색하여 그렸다. 흉배에 두 마리의 학을 수놓은 관복을 차려 입고 호피를 깐 의자에 앉아 있는 모습이다.  
+
The portrait was made on silk canvas that measures 90.2 cm in height and 142.4 cm in width. Jeon is portrayed as a dignified warrior, wearing his official robes and seated on a chair covered with tiger fur.
  
한유도는 종이에 옅은 채색으로 그렸다. 굽이쳐 흐르는 냇물 옆에 정자가 서 있고, 정자에는 전일상이 편한 옷차림으로 앉아 여인들의 시중을 받고 있다. 전일상이 오른손에 잡고 있는 매, 정자 기둥에 걸려 있는 칼, 정자 앞에 있는 흰 말 등은 모두 전일상이 무예를 닦은 사람임을 상징한다. 여인들과 마부는 간략하게 표현한 데 비해 전일상의 얼굴은 초상화를 그리듯 자세히 그린 것이 대조적이다. 화폭 왼쪽에는 “무진년 6월에 제작함(戊辰年六月日製)”이라는 글씨와 김희겸의 도장이 찍혀 있다.  
+
The painting was made on paper canvas that measures 119.5 cm in height and 87.5 cm in width. The painting features an elevated pavilion in the upper left next to a winding stream in the lower right. Jeon Il-sang sits on the floor of the pavilion, leaning over the balustrade. He is accompanied by four ladies providing enjoyment in the form of music, food, and drink. He is depicted with symbols of a military official, such as the peregrine falcon in his right hand, the knife hanging on the pillar of the pavilion, and the white horse in front of the pavilion. Compared to the simply expressed ladies and horse, Jeon Il-sang’s face is depicted in detail as if it is a portrait. This painting provides insight into how the upper class of the 18th century escaped the summer heat and shows a new painting form in which portrait painting techniques are applied to genre paintings.
  
----
+
===영문 해설 내용===
*도화서(圖畵署): 조선시대에 그림 그리는 일을 관장하기 위하여 설치되었던 관청.
+
조선시대의 무신 전일상(1700-1753)의 초상화와 전일상이 한가로이 더위를 피하고 있는 풍경을 그린 그림이다. 한유도는 1748년 도화서의 화원 김희겸(?~1763)이 그렸다.
  
====자문의견====
+
전일상은 지금의 홍성군 구항면의 담양전씨 집성촌에서 태어났다. 5대를 연이은 무관 집안 출신이며, 그 역시 전라도와 경상도의 수군을 지휘하는 등 여러 관직을 두루 거쳤다.
#분야별 자문위원 1
 
#*전일상의 초상화는 가로 90.2㎝, 세로 142.4㎝의 크기로->전일상 초상화의 크기는 가로 90.2㎝, 세로 142.4㎝이고,
 
#분야별 자문위원 2
 
#*종2품 당상요직에 해당하는 경상좌병사를 역임하였다.
 
#*면에 묘사된 전일상은 관모와 관복을 입고 호피를 깐 의자에 앉아 있는 모습이다. 18세기 이후의 조선후기 초상화가 대부분 측면관으로 인물을 묘사하고 있다는 점에서 정면을 향한 모습을 묘사한 이 초상화의 구도는 고식을 따르는 특징을 보여준다. 그림에 표현된 전일상의 호방하고 당당한 체구에서 엄청나게 힘이 장사였다는 그의 특징이 잘 나타나 있다.
 
#*18세기 양반들의 피서하는 풍습을 살 필 수 있는 이 그림은 풍속도 가운데 시대가 앞서는 작품으로 화면에 보이는 문물의 묘사 등에서 당시 문화나 생활상을 살 필 수 있는 좋은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2차 수정====
 
조선 후기의 무신 전일상(田日祥, 1700~1753)의 초상화 1점과 전일상이 한가로이 더위를 피하고 있는 풍경을 그린 「한유도(閒遊圖)」 1점이다. 두 그림 모두 조선시대에 그림 그리는 관청인 도화서(圖畵署)의 화원(畫員) 김희겸(金喜謙, ?~1763)이 1748년에 그렸다.
 
 
 
전일상은 지금의 홍성군 구항면의 담양전씨 집성촌에서 태어났다. 5대를 연이은 무관 집안 출신답게 그 역시 무신으로 전라우수사(全羅右水使) 등 여러 관직을 역임하였다.
 
 
 
전일상의 초상화는 가로 90.2㎝, 세로 142.4㎝이고 비단에 채색하여 그렸다. 화면에 묘사된 전일상은 관모와 관복을 입고 호피를 깐 의자에 앉아 있다. 전일상의 호방하고 당당한 체구에서 엄청나게 힘이 장사였다는 그의 특징이 잘 나타나 있다.
 
 
 
「한유도」는 종이에 옅은 채색으로 그렸다. 굽이쳐 흐르는 냇물 옆에 정자가 서 있고, 정자에는 전일상이 편한 옷차림으로 앉아 여인들의 시중을 받고 있다. 전일상이 오른손에 잡고 있는 매, 정자 기둥에 걸려 있는 칼, 정자 앞에 있는 흰 말 등은 모두 전일상이 무예를 닦은 사람임을 상징한다. 여인들과 마부는 간략하게 표현한 데 비해 전일상의 얼굴은 초상화를 그리듯 자세히 그린 것이 대조적이다. 18세기 양반들의 피서하는 풍습을 살 필 수 있는 이 그림은 풍속화에 초상화 기법을 활용한 새로운 양식을 보여 주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문맥요소'''==
 
===Nodes===
 
 
 
===Links===
 
  
 +
초상화는 가로 90.2㎝, 세로 142.4㎝ 크기의 비단에 채색하여 그렸다. 호랑이 가죽을 깐 의자에 관복을 입고 앉아 있으며, 당당한 무사의 모습이 나타난다.
  
 +
한유도는 가로 87.5㎝, 세로 119.5㎝ 크기의 종이에 채색하여 그렸다. 굽이쳐 흐르는 냇물 옆에 정자가 서 있고, 정자에는 전일상이 난간에 기대 앉아 있다. 전일상의 옆에는 음악을 연주하고 음식과 술을 대접하고 있는 네 명의 여인이 그려져 있다. 전일상이 오른손에 잡고 있는 매, 정자 기둥에 걸려 있는 칼, 정자 앞에 있는 흰 말 등은 모두 전일상이 무예를 닦은 사람임을 상징한다. 여인들과 마부는 간략하게 표현한 데 비해 전일상의 얼굴은 초상화를 그리듯 자세히 그린 것이 대조적이다. 18세기 양반들이 더위를 피하는 풍습을 살필 수 있으며, 풍속화에 초상화 기법을 활용한 새로운 양식을 보여준다.
  
 
=='''참고자료'''==
 
=='''참고자료'''==
83번째 줄: 62번째 줄:
 
[[분류:초상화]]
 
[[분류:초상화]]
 
[[분류:회화]]
 
[[분류:회화]]
 +
[[분류:2020 영문집필]]
 +
[[분류: 2020 국문집필]] [[분류: 2020 국문초안지원사업]]

2021년 2월 5일 (금) 16:34 기준 최신판

전일상영정및한유도
Portrait and Painting of Jeon Il-sang
전일상 영정 및 한유도,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전일상영정및한유도
영문명칭 Portrait and Painting of Jeon Il-sang
한자 田日祥影幀및閒遊圖
주소 충청남도 홍성군 구항면 거북로 422-41(홍주성역사관 소장)
지정번호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127호
지정일 1987년 12월 30일
분류 유물/일반회화/인물화/초상화
시대 조선시대
수량/면적 2점
웹사이트 전일상 영정 및 한유도,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전일상 영정 및 한유도는 조선 후기 무신 전일상(1700~1753)의 초상과 한가롭게 더위를 피하고 있는 풍경을 그린 그림이다. 한유도(閒遊圖)는 1748년(영조 24) 화가 김희겸(?~1763)이 그렸다.

전일상은 5대에 걸쳐 무관을 배출한 홍성군 구항면의 담양 전씨 집안에서 태어났다. 1661년(숙종 1) 무과에 급제한 뒤, 전라우수사와 경상좌병사를 비롯하여 여러 관직을 두루 거쳤다.

초상화는 가로 90.2㎝, 세로 142.4㎝의 크기로 비단에 그렸다. 가슴에 두 마리 학을 수놓은 관복을 입고, 호랑이 가죽을 깐 의자에 앉아 있는 당당한 무사의 모습이다.

한유도는 가로 87.5㎝, 세로 119.5㎝의 크기로, 종이에 옅은 채색으로 그렸다. 정자 위에 앉아 편한 옷차림으로 한가로이 더위를 피하고 있는 모습이다. 오른손에 잡고 있는 매와 정자 기둥에 걸려 있는 칼, 정자 앞에 있는 흰 말 등이 무인의 모습을 잘 보여주고 있다.

여인과 마부에 비해 전일상의 얼굴은 초상화를 그리듯 매우 상세하여 대조적이다. 18세기 양반들의 더위를 피하는 풍습과 풍속화에 초상화 기법을 활용한 특징을 살필 수 있다.

영문

Portrait and Painting of Jeon Il-sang

These two paintings depict Jeon Il-sang (1700-1753), a military official of the Joseon period (1392-1910). One is a portrait, and the other depicts Jeon in a pavilion as he escapes the summer heat. The latter one was painted in 1748 by Kim Hui-gyeom (?-1763), a painter at the Royal Bureau of Painting.

Jeon Il-sang was born in a clan village of the Damyang Jeon clan that is located in today’s Guhang-myeon Township. He was born into a five-generation military official family. He served several official posts, including as the leader of the navies of Jeolla-do and Gyeongsang-do Provinces.

The portrait was made on silk canvas that measures 90.2 cm in height and 142.4 cm in width. Jeon is portrayed as a dignified warrior, wearing his official robes and seated on a chair covered with tiger fur.

The painting was made on paper canvas that measures 119.5 cm in height and 87.5 cm in width. The painting features an elevated pavilion in the upper left next to a winding stream in the lower right. Jeon Il-sang sits on the floor of the pavilion, leaning over the balustrade. He is accompanied by four ladies providing enjoyment in the form of music, food, and drink. He is depicted with symbols of a military official, such as the peregrine falcon in his right hand, the knife hanging on the pillar of the pavilion, and the white horse in front of the pavilion. Compared to the simply expressed ladies and horse, Jeon Il-sang’s face is depicted in detail as if it is a portrait. This painting provides insight into how the upper class of the 18th century escaped the summer heat and shows a new painting form in which portrait painting techniques are applied to genre paintings.

영문 해설 내용

조선시대의 무신 전일상(1700-1753)의 초상화와 전일상이 한가로이 더위를 피하고 있는 풍경을 그린 그림이다. 한유도는 1748년 도화서의 화원 김희겸(?~1763)이 그렸다.

전일상은 지금의 홍성군 구항면의 담양전씨 집성촌에서 태어났다. 5대를 연이은 무관 집안 출신이며, 그 역시 전라도와 경상도의 수군을 지휘하는 등 여러 관직을 두루 거쳤다.

초상화는 가로 90.2㎝, 세로 142.4㎝ 크기의 비단에 채색하여 그렸다. 호랑이 가죽을 깐 의자에 관복을 입고 앉아 있으며, 당당한 무사의 모습이 나타난다.

한유도는 가로 87.5㎝, 세로 119.5㎝ 크기의 종이에 채색하여 그렸다. 굽이쳐 흐르는 냇물 옆에 정자가 서 있고, 정자에는 전일상이 난간에 기대 앉아 있다. 전일상의 옆에는 음악을 연주하고 음식과 술을 대접하고 있는 네 명의 여인이 그려져 있다. 전일상이 오른손에 잡고 있는 매, 정자 기둥에 걸려 있는 칼, 정자 앞에 있는 흰 말 등은 모두 전일상이 무예를 닦은 사람임을 상징한다. 여인들과 마부는 간략하게 표현한 데 비해 전일상의 얼굴은 초상화를 그리듯 자세히 그린 것이 대조적이다. 18세기 양반들이 더위를 피하는 풍습을 살필 수 있으며, 풍속화에 초상화 기법을 활용한 새로운 양식을 보여준다.

참고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