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서울 여운형 묘소

HeritageWiki
Mkichukova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21년 7월 29일 (목) 16:57 판 (영문)

이동: 둘러보기, 검색


서울 여운형 묘소
Yeo Un-hyeong’s Tomb, Seoul
대표명칭 서울 여운형 묘소
영문명칭 Yeo Un-hyeong’s Tomb, Seoul
한자 서울 呂運亨 墓所
지정번호 국가등록문화재 제530호
지정일 2013년 2월 21일
분류 등록문화재/기타/인물기념시설
수량/면적 573㎡
웹사이트 서울 여운형 묘소,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일제 강점기 독립운동가이자 정치가인 여운형(1886~1947)의 묘소이다.

1886년 5월 25일 경기도 양평군 신원리 묘골에서 태어났다. 태양을 치마폭에 품은 태몽을 꾸었다고 하여 그의 할아버지가 몽양이라는 호를 지었다고 한다. 1907년 일본에서 빌린 국채를 갚아 국권을 회복하자는 국채보상운동이 전개되자 양평에 지회를 만들어 활동하며 구국 활동에 첫발을 내디뎠다. 1908년, 23세 때 집안 대대로 모셔 온 신주를 모두 땅에 묻고 제사를 지내지 않겠다고 하였으며, 노비를 해방시켜 주는 등 자신이 배워 옳다고 생각한 대로 봉건적 악습을 깨뜨리는 데 앞장서기도 하였다. 1914년 중국으로 건너가 독립운동을 하였고, 1918년 11월에는 신한청년당을 만들어, 파리강화회의에 김규식을 민족대표로 파견하였다. 이 일로 2·8 독립선언과 3·1 운동 등 항일 독립운동에 영향을 끼쳤으며,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에도 주도적인 역할을 하였다. 1919년 11월에는 도쿄 제국호텔에서 조선 독립의 타당성과 필요성을 주장한 명연설로 일본 내각을 뒤흔들기도 하였다.

1929년 상하이에서 일본 경찰에 체포되어 국내로 보내져 옥살이를 한 뒤, 1933년 조선중앙일보 사장에 취임하였다. 또한, 지금의 대한체육회인 조선체육회와 대한올림픽위원회의 전신인 조선올림픽위원회 등 각종 체육 단체에서 회장이나 위원장을 맡았다. 여운형은 운동 경기를 항일 운동이자 민족 운동의 하나로 여겨 특히 청년들에게 체육으로 독립 정신을 일깨워 주었다. 1936년 조선중앙일보는 베를린 올림픽 마라톤 대회에서 우승한 손기정 선수의 사진에서 옷의 일장기를 지우고 보도한 일로 폐간되었다.

1944년에는 비밀 독립운동 조직인 건국동맹을 결성하였고, 해방 뒤 건국준비위원회로 전환하여 사회 혼란을 막고 새 국가 건설에 이바지하였다. 1946년 신탁 통치 안을 두고 민족이 좌우로 대립하여 분단될 위기에 처하자 좌우 합작 운동을 주도하였다. 미군정이 통치하는 현실에서 통일 정부를 세우기 위하여, 노동자와 농민은 물론 자본가와 지주까지도 포괄하는 개방적이고 대중적인 정당을 만들어 좌우 세력의 균형을 이루려 노력하였다. 이 과정에서 좌우 세력으로부터 12차례 공격을 당하였고, 끝내 1947년 7월 19일 혜화동 교차로에서 우익 세력의 총에 맞아 숨졌다. 장례는 해방 뒤 최초의 인민장으로 치렀다. 국가에서 여운형의 공훈을 기려 2005년 건국훈장 대통령장을 주었으며, 2008년에 건국훈장 대한민국장을 다시 주었다.

여운형의 시신은 포르말린으로 방부 처리되어 철로 만든 관에 안치되었는데, 이는 통일된 조국에 다시 묻어 달라는 유언에 따른 것이다. 여운형의 묘소에는 묘비, 제물을 차려 놓는 상석, 향로를 올리는 향로석, 한 쌍의 돌기둥인 망주석 등 돌로 만든 석물들이 있으며, 원형 봉분 아래쪽에는 병풍석을 둘렀다.

영문

Yeo Un-hyeong’s Tomb, Seoul

This is the tomb of Yeo Un-hyeong (1886-1947), a Korean politician and independence activist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1910-1945).

Yeo Un-hyeong is from Yangpyeong in Gyeonggi-do. It is said that his grandfather had given him the pen name Mongyangi, saying that he had dreamt a precognitive dream in which the sun was sitting (?) in a skirt.

In 1907, he initiated the National Debt Repayment Movement for repaying the national debt received (accumulated?) from Japan and recovering (Korea's?) sovereignty, making an association in Yangpyeong where he was active. In 1908, he led the breaking of evil feudal customs by burying all the spirit tablets of his ancestors which were enshrined for generations in the family, saying that he won't perform ancestral rituals, and liberating the slaves. In 1914, he went to China to participate in the movement for Korea’s independence and in 1918, he made the New Korea Youth Association and also played a leading role in the establishment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In November 1919, he also shook the Japanese cabinet with an eloquent speech in Imperial Hotel in Tokyo, insisting on the validity of and need for independence of the Joseon Dynasty (1392-1910) (or of Korea?).

After he was imprisoned upon being arrested in Shanghai in 1929 by the Japanese police and sent to Korea, he was appointed as president of the Korean Central Daily (Newspaper?) in 1933. In addition, he was in charge of various physical training organizations as a president or chairperson, such as Joseon Sports Council, today's Korean Sport & Olympic Committee, and the Korea Olympic Committee (then known as Joseon Olympic Committee). Yeo Un-hyeong regarded sports games as one with the anti-Japanese movement and the national movement, so he reminded (?) the spirit of independence through physical training to the young generation in particular. In 1936, Korean Central Daily was discontinued due to covering a photograph in which the national flag of Japan on the clothes of Son Gi-jeong who participated in and won the Berlin Olympics marathon competition as a representative of Japan, was erased.

In 1944, he formed the National Foundation League, a secret independence movement union, and after the liberation of Korea in 1945, when this organization changed to Committee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National Government, he played a role in preventing social disorder and building the new nation. In 1946, the trusteeship of Korea by the U.S. and Soviet Union was proposed, and the nation was in danger of being divided, so he led a movement for left-right coalition.

영문 해설 내용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가이자 정치가인 여운형(1886~1947)의 묘소이다.

여운형은 경기도 양평 출신이다. 태양을 치마폭에 품은 태몽을 꾸었다고 하여 그의 할아버지가 몽양이라는 호를 지었다고 한다.

1907년 일본에서 빌린 국채를 갚아 국권을 회복하자는 국채보상운동이 전개되자 양평에 지회를 만들어 활동하였다. 1908년에는 집안 대대로 모셔 온 조상들의 위패를 모두 땅에 묻고 제사를 지내지 않겠다고 하였으며, 노비를 해방시켜 주는 등 봉건적 악습을 깨뜨리는 데 앞장서기도 하였다. 1914년 중국으로 건너가 독립운동을 하였고, 1918년에는 신한청년당을 만들었으며,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에도 주도적인 역할을 하였다. 1919년 11월에는 도쿄 제국호텔에서 조선 독립의 타당성과 필요성을 주장한 명연설로 일본 내각을 뒤흔들기도 하였다.

1929년 상하이에서 일본 경찰에 체포되어 한국으로 보내져 옥살이를 한 뒤, 1933년 조선중앙일보 사장에 취임하였다. 또한, 지금의 대한체육회인 조선체육회와 대한올림픽위원회의 전신인 조선올림픽위원회 등 각종 체육 단체에서 회장이나 위원장을 맡았다. 여운형은 운동 경기를 항일 운동이자 민족 운동의 하나로 여겨 특히 청년들에게 체육으로 독립 정신을 일깨워 주었다. 1936년 조선중앙일보는 베를린 올림픽 마라톤 대회에서 일본 대표로 참가하여 우승한 손기정의 사진에서 옷의 일장기를 지우고 보도한 일로 폐간되었다.

1944년에는 비밀 독립운동 조직인 건국동맹을 결성하였고, 해방 뒤 이 단체는 건국준비위원회로 전환하여 사회 혼란을 막고 새 국가를 세우는 데 이바지하였다. 1946년 신탁 통치 안을 두고 민족이 분단될 위기에 처하자 좌우 합작 운동을 주도하였다. 미군정이 통치하는 현실에서 통일 정부를 세우기 위하여, 노동자와 농민은 물론 자본가와 지주까지도 포괄하는 개방적이고 대중적인 정당을 만들어 좌우 세력의 균형을 이루려 노력하였다. 이 과정에서 좌우 세력으로부터 12차례 공격을 당하였고, 끝내 1947년 혜화동 교차로에서 우익 세력의 총에 맞아 숨졌다. 장례는 해방 뒤 최초의 인민장으로 치렀다. 국가에서 여운형의 공훈을 기려 2005년 건국훈장 대통령장을 주었으며, 2008년에 건국훈장 대한민국장을 다시 주었다.

여운형의 시신은 포르말린으로 방부 처리되어 철로 만든 관에 안치되었는데, 이는 통일된 조국에 다시 묻어 달라는 유언에 따른 것이다. 여운형의 묘소에는 묘비, 상석, 향로석, 망주석 등의 석물들이 있으며, 원형 봉분 아래쪽에는 병풍석을 둘렀다.

문맥요소

Nodes

Links

참고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