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남해 지족해협 죽방렴

HeritageWiki
My9univ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21년 4월 23일 (금) 12:09 판 (Nodes)

이동: 둘러보기, 검색


남해 지족해협 죽방렴
Jukbangnyeom Fishing Facility at Jijok Strait, Namhae
남해 지족해협 죽방렴,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남해 지족해협 죽방렴
영문명칭 Jukbangnyeom Fishing Facility at Jijok Strait, Namhae
한자 南海 只族海峽 竹防簾
주소 경상남도 남해군 창선면 지족해협 일원
지정번호 명승 제71호
지정일 2010년 8월 18일
분류 자연유산/명승/자연경관
소유자 국유
관리자 남해군
수량/면적 5,370,785㎡
웹사이트 남해 지족해협 죽방렴,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기존 국문

남해 지족해협은 시속 13~15km의 거센 물살이 지나는 좁은 물목으로, 멸치를 대표 어종으로 하는 이 일대의 어로작업은 「죽방렴」으로 불리는 고유한 어획법을 시행하고 있으며, 현재 23개소의 죽방렴이 설치된 우리나라 전통적 어업경관의 모습을 잘 보여주는 곳이다. 대나무 발 그물을 세워 고기를 잡는다는 의미에서 비롯된 것으로 대나무 어살 이라고도 하며, 물때를 이용하여 고기가 안으로 들어오면 가두었다가 필요한 만큼 건지는 재래식 어항으로 이곳에서 잡힌 생선은 최고의 횟감으로 손꼽히고 있으며, 물살이 빠른 바다에 사는 고기는 탄력성이 높아 그 맛이 뛰어나다. 또한, 산과 바다가 공존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갯벌생태, 수변 경관, 죽방렴 등 다양한 볼거리의 체험이 풍부하여 2010년 10월 18일 국가지정 명승으로 지정되었다.

수정 국문

초고

남해 지족해협은 남해안에 위치한 두 섬인 남해도와 창선도가 마주하고 있는 좁은 해협이다. 남해도와 창선도는 각각 하동과 사천과도 마주하고 있는 까닭에 하동, 사천, 남해도, 창선도 사이에는 호수와도 같은 잔잔한 해역이 형성된다. 이렇게 형성된 해역에는 다양한 어종이 몰려든다. 하지만 남해안 또한 하루에 두 번씩 밤낮으로 밀물과 썰물이 교차하기 때문에 좁은 지족해협은 13~15km의 거센 물살이 지나는 통로로서 기능하게 된다.

죽방렴은 지족해협에서 행해지는 전통어로 방식을 부르는 말이다. 지족해협은 수심이 깊지 않고 좁은 지형을 지니고 있으며 밀물과 썰물 때에는 물살이 빠르다. 이 지족해협에 밀물이 들어오는 방향으로 V자 형태의 참나무로 기둥을 박고 좁아지는 끝부분에 대나무 발과 그물을 쳐 놓는다. 밀물이 시작되면 물고기들은 V자 통발 속으로 들어가게 되고, 물이 빠지면 통발 입구가 막혀 고기들이 빠져나가지 못하게 된다.

이러한 어로 방식은 ‘전통어로방식-어살(漁箭)’이라는 이름으로 국가무형문화재로 지정되었는데, 어살은 얕은 물가에 싸리, 참대, 장목 따위를 둘러 꽂고 그 가운데에 그물을 달아서 물고기가 들어가면 빠져나가지 못하게 만든 장치를 사용한 어로행위를 통칭한다. 삼국시대의 어량(魚梁)과 고려시대의 방렴(防簾) 및 조선시대의 어살 등의 기록을 통해 볼 때 비슷한 방식의 어로행위가 전국적으로 행해졌던 것으로 보인다.

현재 지족해협에는 약 20여 개소의 죽방렴이 설치되어 있다. 이곳에서 잡힌 생선은 신선도가 뛰어나 최고의 품질로 손꼽히고 있으며, 특히 멸치는 비늘이 벗겨지지 않고 오랫동안 살아 있을 정도로 싱싱해서 회로도 먹는데, 말린 것은 죽방멸치라고 하여 남해의 특산품이 되고 있다.

1차 수정

남해 지족해협은 남해도와 창선도 사이의 좁은 물목으로 시속 13~15km의 거센 물살이 지나는 곳이다. 죽방렴은 이 일대에서 고기를 잡는 데 쓰는 전통 어로 방식을 부르는 말이다. V자형으로 참나무 기둥을 박고 대나무를 발처럼 엮어 세워 그물을 쳐 놓는 형태이며, 물때를 이용해 고기가 안으로 들어오면 가두었다가 필요한 만큼 건진다.

현재 지족해협에는 약 20여 개소의 죽방렴이 설치되어 있고, 5월에서 7월 사이에 많은 고기가 잡힌다. 주요 어종으로는 멸치, 갈치, 학꽁치, 도다리, 숭어 등이 있으며, 이곳에서 잡힌 생선은 신선도가 뛰어나 최고의 품질로 손꼽힌다. 특히 멸치는 비늘이 벗겨지지 않고 오랫동안 살아 있을 정도로 싱싱해서 회로도 먹는데, 말린 것은 죽방멸치라고 하여 남해의 특산품이 되고 있다.

아름다운 지족해협의 자연 경관과 우리나라 전통 어로 방식을 보여주는 문화 경관으로서의 가치를 인정받아 2010년 명승으로 지정되었다.

문맥요소

Nodes

ID Class Label Description
남해_지족해협_죽방렴 Place 남해_지족해협_죽방렴
죽방렴 Concept 죽방렴 대나무를 활용한 전통어로 방식
전통어로방식-어살 Concept 전통어로방식-어살 썰물 때 빠져나가지 못하는 물고기를 잡는 어구(漁具) 또는 어법(漁法)
C00-0138-0100 Heritage (국가무형문화재_제138-1호)전통어로방식-어살 국가무형문화재 제138-1호로 지정되어 있다.
E00-0071-0000 Heritage (명승_제71호)남해_지족해협_죽방렴 명승_제71호로 지정되어 있다.

Links

Source Target Relation
남해_지족해협_죽방렴 죽방렴 isRelatedTo
죽방렴 전통어로방식-어살 type
전통어로방식-어살 C00-0138-0100 isDesignatedAs
남해_지족해협_죽방렴 E00-0071-0000 isDesignatedAs

참고자료